고전 문학사
by 송화은율* 고전 문학사 시대구분
1. 국문학의 여명기
(918년 고려건국 이전) - 고대국가, 삼국, 통일신라
2. 한문 문학과 국문 문학의 갈등기
(1392 조선 건국 이전) - 고려
3. 국문 문학의 정착과 시가의 난숙
(1592 임진왜란 이전) - 조선 전기
4. 평민 의식의 성장과 산문 문학의 발달
(1894 갑오경장 이전) - 조선 후기
I. 국문학의 여명기(상고시대의 문학)
· 지역 : 만주 일대와 한반도 전역
· 문화 : 청동기 시대 이후
· 국가 : 고대 국가. 통일 신라
1. 국중 대회와 건국 신화
(1) 건국 신화(건국 서사시)
: 민족의 이동과 천신족의 우월감, 건국과정 및 원초적인 세계관의 집약적 반영
고대 국가 |
신 화 | 기 타 |
고조선 | 단군신화 | 우리 나라의 건국 신화, 선택된 땅에 천손(天孫)에 의해 건국됨. 홍익 인간의 이념 제시 |
고구려 | 주몽신화 | 동명왕의 출생에서부터 건국의 성업까지를 묘사한 본장의 주석에 나오는 설화 |
가 야 | 가락국 신화 | 알에서 태어난 6명의 아이들 중 가락국의 왕이 된 김해 김씨의 시조 설화 |
신 라 | 박혁 거세, 김알지, 석탈해 | *박혁거세 신화(신라)-나정 근처에서 발견한 알에서 태어나 6촌 사람들의 추대로 임금이 됨. 박씨의 시조 설화 *석탈해 신화(신라)-알에서 나와 버려진 뒤 남해왕의 사위가 되고 나중에 임금으로 추대된 석(昔) 씨의 시조 설화 *김알지 신화(신라)-시림의 나무에 걸렸던 금궤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지는 경주 김씨의 시조 설화 |
백 제 | 온조, 비류 | 발굴 진행중 |
* 신라의 시조 이야기 "박혁거세.석탈해.김알지"
[ 신라의 시조 이야기 "박혁거세.석탈해.김알지" ]
신라는 박씨, 석씨, 김씨 성을 가진 사람들이 왕이 되었다. 진한의 한 작은 나라 사로국은 여섯 촌장이 다스리고 있었는데, 이들은 알천 강가에 모여 임금을 구하려고 회의를 하고 있었다. 그 때 양산촌의 나정이라는 우물 옆 숲속에서 찬란한 광채가 나고, 그 곁에 흰 말이 절을 하고 있었는데, 그 곳에서 나온 아이가 바로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이다. 박 같은 알에서 나왔다고 해서 성을 박씨로 삼고 동방을 밝히라는 뜻으로 불구내(한자로 혁거세)라는 이름을 지었다.
또 석탈해는 동쪽 나라에서 알로 태어나 바다에 버려졌는데, 그가 발견된 때 그 배 위에는 까치가 따라 다녔다고 한다. 그래서 한자로 까치 작(鵲)자에서 새 조(鳥)자를 빼고 석(昔)씨로 성을 삼았으며, 스스로 플고 나왔다 하여 탈해로 이름을 지었다.
또 김알지는 탈해왕 때, 계림이라는 숲속에서 흰 닭이 우는 소리를 듣고 발견하였다. 금궤짝에서 나왔다고 해서 성을 김씨로 삼았다 한다. 신라는 이들 세 성씨가 번갈아 임금을 했는데, 17대 내물 마립간 때부터는 김씨만이 임금이 되었다.
* 백제(百濟)의 개국전설(開國傳說)
백제의 개국전설은 북방계의 우리 겨레가 살기 좋은 곳을 찾아 남하한 과정과 그들이 새로운 땅에 정착하여 새 나라를 이룩한 사실을 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삼국사기}는 백제의 건국 과정에 대해서 서로 다른 두 가지의 설화를 전한다. 하나는 본문으로 기록하였고 또 하나는 세주(細註)로 소개하였는데, 전자는 백제의 시조가 온조(溫祚)라고 한 반면 후자는 비류(沸流)가 시조로 되어 있다. .
온조 중심의 개국전설에서는, 비류와 온조는 고구려 건국자인 아버지 주몽과 어머니 졸본왕녀 사이에서 태어났는데 주몽의 원자인 유리(琉璃)가 아버지를 찾아와 태자가 되자 둘이 함께 남하하여 형 비류는 습하고 짜서 지리가 좋지 않은 미추홀(彌鄒忽)에, 동생 온조는 천험지리(天險地利)의 하남 위례성(慰禮城)에 각각 도읍하여 나라를 세웠다고 한다. 그 뒤에 비류가 편안히 살 수가 없어 참회하고 죽자 온조가 이를 통합하여 국호를 십제(十濟)에서 백제(百濟)로 고쳤다는 것이다 [자료1]. 한편 비류 중심 설화에서는, 비류와 온조는 북부여왕 해부루(解扶婁)의 서손(庶孫)인 아버지 우태(優台)와 졸본인 연타발(延陀勃)의 딸인 어머니 소서노(召西奴) 사이에서 태어났고, 우태가 죽은 뒤 주몽이 졸본으로 망명해 오자 소서노는 그에게 개가(改嫁)하여 고구려 건국을 도왔으며, 결국 원자인 유유(孺留)가 내려와 왕위를 계승하자 비류는 동생을 이끌고 남하하여 미추홀에 정착한 것으로 되어 있다
백제의 시조에 대해서는 이 외에 또 구태설(仇台說)이 있다. 북사(北史)}와 {수서(隋書)}에는 동명(東明)의 후예인 구태가 대방(帶方)의 고지(故地)에 나라를 세우고 국호를 백제라 했다고 전한다. {주서(周書)}에도 백제는 부여의 별종(別種)이라면서 구태가 세운 나라라 하였다. 이처럼 백제의 개국 시조가 온조, 비류, 구태로 다르게 전하는 까닭은 백제왕의 혈통이 중간에 바뀌었거나 국가로서의 면모가 일신된 데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백제 초기사를 이해하는 지금까지의 입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연속설(連續說)이고 또 하나는 단절설(斷絶說)이다. 연속설에서는 백제가 처음부터 북방에서 남하한 부여족에 의해 삼한(三韓) 제국(諸國)의 한 나라로 건국되어 순조로운 성장 발전을 지속한 것으로 파악한다. 반면 단절설에서는 처음에 백제는 한인(韓人) 토착세력에 의해서 건국되었으나 4세기 초에 이르러 남쪽으로 이동해 온 부여족에 의해서 왕권을 탈취당한 결과 새로운 백제로 탈바꿈하게 되었다고 이해한다. 어느 쪽 견해가 옳은 지는 더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백제국의 발전은 초기의 성읍국가 단계와 후기의 중앙집권국가 단계로 구분하여 파악해야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백제의 왕계(王系)와 관련해서는 7대 사반왕(沙伴王)에서 8대 고이왕(古王)으로의 왕위계승 관계가 주목되고 있는데, 이를 온조왕계 내부의 직계에서 방계로의 변화로 보는 견해와 온조계에서 비류계로의 왕실교체로 파악하는 견해가 대립되어 있다. 또 근초고왕(近肖古王)은 고이왕계가 아닌 온조왕계였다고 보아 그의 즉위는 또 한번의 왕실교체가 있었음을 뜻한다고 파악하기도 한다. 이처럼 백제 초기사의 진상은 아직 제대로 밝혀지지 않은 과제로 남아 있다.
(2) 국중 대회(제천의식)
: 농사를 잘 되게 하고 국가의 번영을 꾀하는 제천의식에서 집단 가무가 행해졌는데 여기서 문학의 모태인 원시 종합 예술이 행해짐
: 원시 종합 예술(Ballad Dance)의 집단가무는 문학, 음악, 무용, 연극의 미분화 상태의 종합 예술임
분화상태 | 분화이전 |
문학 | 노래 가사 |
음악 | 노래 |
무용 | 춤 |
연극 | 가무(노래와 춤) |
고대 국가 | 제천의식 |
부여 | 영고 |
고구려 | 동맹 |
예 | 무천 |
마한 | 오월제, 시월제 |
2. 고대 가요
(1) 고대 가요의 정의
원시 종합 예술에서 분화된 개인적이고 서정적인 내용을 노래한 시가(詩歌)
(2) 고대 가요의 형성
원시 종합 예술에서 분화된 고대 가요는 집단적이고 서사적인 시가에서 개인적이고 서정적인 시가로의 변화를 보여 주고 있다. 이들은 한역(漢譯)되거나 구전(口傳)되어 오다가 훨씬 후대에 기록 문학으로 정착된 것이 많기 때문에 정확한 내용이나 연대는 알기가 어렵다.
향가(鄕歌) 문학이 고대 가요의 다채로운 형식과 달리 정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 것은 삼국 시대 중엽의 일 것으로 추측된다.
(3) 고대 가요의 특징
1) 고대 가요는 집단의 활동이나 의식(儀式)과 관련된 측면이 많아 의식요, 노동요의 성격을 지니고 집단적인 가무의 형태로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
2) 시대가 지날수록 개인적 서정에 중점이 놓여지게 됨에 따라 점차 서정성 짙은 개인적 서정시 시대로 진입하게 되었다.
3) 고대 시가에는 설화가 삽입되어 전하는데, 이는 시가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았음을 보여 주는 증거이다.
4) 당시에는 기록의 수단이 없었으므로 구전되다가 후대에 한자, 이두, 한글로 정착되는 과정에서 원래의 형태가 많이 변용(變容)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5) 우리 시가의 기본적 형식으로 두 토막씩 넉 줄 또는 네 토막씩 두 줄로 된 노래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4) 고대 가요의 문학사적 의의
1) 고대 가요는 우리 국문학 사상 최초의 서정 시가 형태로 기본적인 형식을 갖추고 있다.
2) 고대 가요는 집단적 서사시에서 개인적 서정시로의 이행을 보여준다.
3) 고대 가요의 주된 내용은 사회적 갈등, 노동, 종교적, 개인의 애정 문제 등 고대 사회가 지니고 있었을 다양한 삶의 문제들을 드러내고 있다.
(5) 고대 가요 작품
1) 작품이 전하는 고대 가요
작 품 명 | 작 자 | 연 대 | 형 식 | 성 격 | 주 제 및 내 용 |
공무도하가 (公無渡河歌) |
백수광부의 처 | 고조선 | 4언 4구체 | 개인적 서정시 |
물에 뻐져 죽은 남편의 죽음을 애도함. |
구 지 가 (龜 旨 歌) |
구간 등 | 신라 유리왕 |
한시(이두) | 집단적 서사적 |
왕의 출현을 기원함-영신군가 |
황 조 가 (黃 鳥 歌) |
유리왕 | 고구려 유리왕 |
4언 4구체 | 개인적 서정시 |
아내를 잃은 실연의 슬픔을 노래함. |
해 가 (海 歌) |
백성들 | 신라 성덕왕 |
4언 4구체 | 집단적 서사적 |
용왕에 납치된 수로부인을 구출함. |
정 읍 사 (井 邑 詞) |
어느 행상의 처 | 백제 | 3연 6구 속악 |
개인적 서정시 |
행상 나간 남편을 염려하는 마음. 한글로 표기되어 전함. |
2) 삼국(三國)의 부전 가요
※ 고구려, 백제, 신라의 문학 특성
고 구 려 백 제 신 라
환경 유목이 가능한 평원 농경평야 농경평야
문화 유목민(기마민족)특성 고구려에서 남하한 유목 농경문화
민족과 토착 농경민족의
이중문화
예술 단순 복잡,화려 단순
언어 부여어 (알타이 북방어와 남방어의 남부 韓族語
공통 조어에 가까움) 이중 언어 생활
문학 서사문학 발달 서정적 가요문학 발달 서정적 가요문학
발달
동명왕,온달, 정읍사 (不傳:무등산 향가(균여전11수
미천왕설화+황조가 선운산,방등산,지리산) 삼국유사14수)
* 삼국(三國)의 부전(不傳) 가요(歌謠)
작 품 명 | 작 자 | 연 대 | 성 격 | 출 전 | 내 용 |
내원성가 (來遠城歌) |
미상 | 고구려 | 고려사 악지 문헌비고 |
항복한 오랑캐를 내원성에 정착시키고 지어 부른 노래 | |
연양가 (延陽歌) |
미상 | 고구려 | 고려사 악지 증보문헌비고 |
연양현의 한 머슴이 충성을 다짐한 노래임. | |
명주가 (溟洲歌) |
미상 | 고구려 | 고려사 악지 | 공부하러 갔던 청년이 그 곳 처녀와 헤어진 뒤 다시 만남을 노래함. | |
지리산가 (智異山歌) |
미상 | 백제 | 고려사 악지 | 구례현의 한 여인이 지조를 노래한 것임. | |
선운산가 (禪雲山歌) |
미상 | 백제 | 고려사 악지 | 남편이 돌아오지 않으매 선운산에 올라가 부른 노래임. | |
무등산가 (無等山歌) |
미상 | 백제 | 고려사 악지 | 무등산에 성을 쌓고 그 기쁨을 읊은 노래임. | |
도솔가 (도率歌) |
미상 | 신라 유리왕 |
최초의 정형시 |
삼국사기 삼국유사 |
민속환강(民俗歡康)을 노래함. |
원사 (怨詞) |
천관녀 (天官女) |
신라 진평왕 |
동국여지승람 | 김유신에게 버림받은 기생 천관이 부른 노래임. | |
회소곡 (會蘇曲) |
미상 | 신라 유리왕 |
노동요 | 삼국사기 | 길쌈내기에서 진 편이 이긴 편에게 대접하며 부른 노래임. |
치술령곡 (鵄述嶺曲) |
미상 | 신라 눌지왕 |
망부석 | 증보문헌비고 | 망부석의 슬픈 사연을 애도하여 부른 노래임. |
대악 (碓樂) |
백결선생 (百結先生) |
신라 자비왕 |
노동요 | 삼국사기 | 섣달 그믐날 떡방아를 찧는 소리로 아내를 위로한 노래임. |
목주가 (木州歌) |
미상 | 신라 | 효도가 | 고려사 악지 | 목주에 사는 한 효녀가 부렀다는 효심의 노래임. |
1. 高句麗의 不傳 歌謠
(1) 내원성(來遠城)
압록강변의 고을인 靜州 의 성 이름이다. ‘오랑캐가 멀리서 귀순해오는 성’이라는 뜻으로 지어졌다. 고구려 때에 북쪽 오랑캐들이 귀순해 오면 내원성에 머물러 정착하게 했으며 노래를 지어 기념한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 때 이미 궁중악으로 채택되고, 이어 통일신라로 전해졌다. 무력 시위의 행렬 음악에 사용하여 오랑캐 정벌보다는 그들이 스스로 귀순해 오는 것을 기쁜 마음으로 노래했으리라 추측된다.
원래는 군사들이 지어부른 민요였겠는데 나라의 위엄을 자랑하는 데 소용되기 때문에 무력 시위의 행렬음악에 편입되지않았던가 상상해 본다. 그런데 오랑캐 정벌을 자랑하기보다 오랑캐가 귀순해 오는것을기념했으니,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이 가장 큰 승리라는 생각을 나타냈다고 보아도 좋다.(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88)
(2) 연양(延陽)
평안북도 영변의 옛 이름인 연산부(延山府)의 지명이다. 남에게 쓰여져 죽기를 무릅쓴다는 내용을 나무에 비유해 노래했다. 신세타령조의 노동요가 충성을 내용으로 했기에 나라에서 채택했다고 보아진다.
‘나무가 불을 도우노라면, 그야 스스로를 해치는 화를 불러오지만, 긴요하게 쓰이는 것이나 다행으로 여기면서, 재가 되어 다 없어질망정 사양하지 않으리’라고 한 대목은 노래말의 번역이라고 보아도 좋다. 남에게 쓰이는 바 되었다는 것은 노비의 신세로 떨어졌다는 뜻이 아닌가 한다. 원래는 그런 처지에서 신세타령을 하면서 부른 노동요일 것 같은 이 노래를 충직하게 주인을 섬기는 사설이 들어 있다고 평가했음인지 고구려 때 나라에서 채택했을 듯하다.(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88)
2. 百濟의 不傳 歌謠
산이름의 제목이 많아 산으로 들어가거나 산에 올라가서 원통한 사연을 하소연할 수밖에 없었던 독특한 경향을 보인다. 또한 여인이 지었다는 작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여성에게 가중되는 고난의 모습을 엿보게도 하기도 하며, 모두 배경설화가 있는 점이 흥미있다.
(1) 무등산
산성을 쌓자 백성들이 편안하게 살 수 있게 되었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축성 작업에 동원되었던 백성들의 애환을 담았을 노래 가사를 통치자들의 구미에 맞게 개작되었으리라 추측된다.
(2) 지리산
구례현 사람의 딸이 미모가 뛰어나자 백제 왕이 차지하려고 했다. 그러나 여인은 죽기를 다해 따르지 않았다는 내용의 노래이다. 궁중악에서는 왕의 횡포보다는 여인의정절을 내세웠던 작품으로 받아들여졌던 것으로 보인다.
학자에 따라서는 이와 동일한 사건인 도미의 아내를 겁탈하려던 개루왕의 이야기와 같은 내용이아니었던가 추측하기도 한다.(이병기,백철, “국문학전사”, 신구문화사, 1957 ; 조재훈, ‘지리산가소고’, “백제문화”11, 공주사범대 백제문화연구소, 1978)
이 노래에 따르는 사연은 도미(都彌)라는 사람의 아내가 개루왕의 겁탈에 항거하다 가까스로 살아났다는 이야기와 자못 상통해 같은 사실에 대한 두가지 전승이라는 견해도 있다.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88)
(3) 방등산
신라말 방등산 도적에게 잡혀간 여인이 자기를 구하러 오지 않는 남편을 원망하여 부른 노래라고 한다. 그러나, 아마도 남편을 그리워하는 노래였으리라고 보아야 하는 것이 옳으리라 본다.
이 노래는 후백제의 것이라고 보아야 마땅하다. 도적이라고 일컬는 무리는 후백제의 군사일 수 있다. 고려의 입장에서 후백제의 정권이야말로 도적 같은 짓이나 이런 노래가 생겼다고 하면 명분이 선다. ...도적떼가 성한 판에 남편인들 어쩔 도리가 없다. 오히려 남편을 그리워하면서 노래를 불렀다 하면 어울린다. 백성의 민요를 채택하면서 사연이나 사설을 바꾸어 놓을 때 다소 무리가 생겼을 수 있다.(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88)
(4) 선운산
민요 본래 모습의 내용이었으리라고 추측된다. 고창군 사람이 부역을 나가도 돌아오지 않자 아내가 산에 올라가 남편을 기다리며 부른 노래이다.
노래말을 남아 있지 않으나, 후대까지 길쌈을 하면서 신세타령을 늘어놓는 데서 흔히 들을 수 있는 사연이 아니었던가 하는 생각이 든다.(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88)
3. 新羅의 不傳 歌謠
(1) 목주(木州) [목주는 현재 청주에 속한 고을]
목주는 효녀가 지은 노래이다. 딸이 부친과 계모에게 효성한 것으로 소문났다. 그러나 부친이 계모의 참소에 혹하여 딸에게 나가라고 하였는데 딸은 차마 가지 못하고 집에 머물러 있으면서 부모 봉양을 더욱 근면하고 태만하지 않았으나 그럴수록 부모는 더욱 노하여 드디어 내쫓았다. 딸은 부득이 하직하고 떠나갔다. 딸이 어떤 산중에 이르러 석굴 속에 사는
노파를 만나서 그런 사정을 말한 후 그 곳에 있을 것을 청하니 노파가 그의 곤궁한 사정을 불쌍히 여기고 허락하였다. 처녀는 그를 자기 부모 섬기듯이 섬겼다. 그래서 노파의 사랑을 받게 되었고 그의 아들과 결혼하게 되었다. 그 부부는 한 마음으로 근면 절약하여 부자가 되었다.
그 후 딸은 친정 부모가 매우 가난하게 지낸다는 말을 듣고 시집으로 모셔다가 지극히 잘 봉양하였으나 그 부모는 오히려 기브게 생각하지 않았다.
효녀가 이 노래를 지어 자기의 효성이 부족하다고 원망하였다.
(2) 명주(溟州)
강릉의 옛 지명이다. 시련을 극복하고 사랑을 성취한 설화의 모티브를 지니고 있는 노래이다.
고려사 악지에는 고구려의 노래로 실려 있으나, 이 노래의 창작 연대와 국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고구려에는 과거제도가 없었다는 것과 명주와 왕래가 잦았던 곳은 서라벌이라는 점이 그 이유이다. 통일신라 때 생겨 궁중악으로 채택되고 고려로 전해진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을 펴기도 한다.(김선풍, ‘명주가’, “한국 시가의 민속학적 연구”, 형설 출판사, 1977)
또한 허균의 ‘성소부부고’, 增補文獻備考, 二十一都懷古詩 등의 내용을 살펴보면 당연히 신라 노래로 분류되어야 한다. (윤원식, 임치균, 조동일 등의 견해)
문학 교과서나 기타 참고서에서는 고구려 노래로 분류하고 있으나, 여기서는 그간의 학문적 성과에 힘입어 신라 노래로 분류하고자 한다.
어느 선비가 과거를 보러가다가 명주에서 규수를 만난다. 사랑을 하게 되고 청혼할 것을 약속하고 서울로 가게 된다. 그러나 처녀는 다른 사람에게 시집갈 위기에 접한다. 물고기 뱃속에 편지가 들어가고, 그 편지를 받은 선비가 급히 와 <명주>라는 노래를 부른다. 처녀의 부모는 이 노래를 듣고 선비와 결혼을 시킨다는 내용의 노래이다.
시련을 극복하고 사랑을 성취한 설화이다. 노래 또한 사랑의 노래일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그 서생이 지어 불렀다면서 민간에서 전승되던 사랑노래인 민요를 궁중악으로 채택했다면, 그런 것은 잔치 때 흥을 돋우자고 불렀을 법하다.(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88)
3. 향가의 발전
(1) 정의와 형성
1) 정의 : 향가는 신라 가요로서 우리의 문자가 없었던 시대에 향찰로 표기된 노래
① 좁은 의미 ; 사뇌가(詞腦歌)로서 삼국 통일(6세기경)부터 고려 중기인 13세기까지 존재한 문학 장르이다.
② 넓은 의미 ; 기원전 후기부터 있었던 노래로서 중국 한시에 대한 우리 고유의 가요를 일컫는 문학 장르이다.
현전하는 신라 노래들은 모두 사뇌가 중심이기 때문에 향가를 곧 사뇌가(詞腦歌)라고도 일컫는다. 사뇌가라는 말은 특히 10구체 향가를 일컫는 말로 향가라는 한자어 명칭이 생기기 전에 이미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2) 형성 : 삼국사기에 의하면 유리왕 5년(A.D 28)에 도솔가가 지어진 것이 가악(歌樂)의 시초라 하였으나, 오늘날 전해지는 신라 가요는 6세기 통일 신라 이후의 것들이다. 따라서, 신라 26대 진평왕 전후(6~7C경)부터 시작되어 고려 광종 때까지 계속되었다.
(2) 향가의 표기
향가는 한자의 음(音)과 훈(訓)을 빌어 쓴 향찰(鄕札)로 표기되었다. 이는 신라 시대의 우리말 표기법이다. 특히 향가의 표기에 이용되었기 때문에 향가식 표기법이라고도 하고, 또 향가 문학을 향찰 문학이라고 한다. 신라인들이 문화를 받아들이면서도 그 문화에 예속되지 않고, 우리 고유 문화를 확립시키려했던 강력한 주체 의식(主體意識)의 발로로서 이 때부터 국문학의 주체성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향찰(鄕札)이란?
한자의 음(音)과 훈(訓)을 빌어서 우리말의 문장 전체를 그대로 적던 방법이다. 향가에 사용되어 ‘향가식 표기’라고도 한다. 대개 실사(實辭){의미가 담긴 부분]는 훈차(訓借)하고 허사(虛辭){조사 등과 같이 의미가 담겨 있지 않은 부분]는 음차(音借)하였으며, 고유 명사는 음과 훈을 섞어서 사용하였다. 예) 他密只 嫁良置古(타밀지가량치고) 그 지 얼어두고 <서동요>
․이두(吏讀)란?
향찰과 비슷하나 한문을 전제로 하고 향찰식 표기를 보조 수단으로 사용하였다. 한자의 음과 훈을 빌어, 한문을 국어의 어순으로 배열하기 위하여 주로 조사, 접미사, 부사, 동사 등에 사용하던 문자이다. 예) 必干 七出乙 犯爲去及 三不出有去乙
비록 을 하거나 잇거늘
(3) 향가의 특징
1) 형식 : 향가의 형식에는 4구체, 8구체, 10구체 등이 있는데 10구체가 가장 정제(整齊)된 형식
① 4구체 - 전래(傳來)의 민요(民謠)가 정착된 노래이다.
예)서동요, 풍요, 헌화가(獻花歌), 도솔가
② 8구체 - 경주(慶州)가 아닌 지방에서 유행된 노래이다.
예)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처용가(處容歌)
③ 10구체 - 가장 정제된 형태로서, 특히 낙구(落句)에 ‘아으(阿也, 阿邪, 阿耶)’ 등의 감탄사를 상투적으로 배치한 부분은 후대에 발생한 시조(時調)의 종장(終章) 첫 구에 흔히 나타나며, 가사(歌辭)의 낙구에도 나타난다.
(4) 향가의 성격
향가의 장르적 성격은 단순하지 않다. ‘풍요(風謠)’ 같은 작품은 민요이고, ‘처용가(處容歌)’는 무가(巫歌)인 듯하나, 대부분이 서정적이다. 특히 10구체는 격조(格調) 높은 서정시로서 세련된 수사와 투철한 시 정신을 갖추고 있다.
(5) 향가의 내용
향가는 숭고한 이상을 추구하는 마음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① 민요와 동요
② 축사(逐邪)의 노래
③ 연군(戀君)의 노래
④ 설도(說道)의 노래
⑤ 안민 치국(安民治國)의 노래
⑥ 신불(神佛)에의 발원(發願)을 나타내는 불교 신앙
⑦ 추모(追慕)의 노래 등으로 나타난다.
(6) 표현 방법
향가의 표현은 명랑하고 신비롭고 숭고한 기개가 넘친다. 수사는 소박하고 원숙하며 평화롭다. 따라서, 저속하거나 침울하거나 예리하고 정적(靜的)인 면이 없는 점에서 고려 가요와는 대조적인 면을 엿볼 수 있다.
(7) 작자
향가 작자로는 승려(僧侶), 화랑(花郞), 여류(女流), 무명씨 등으로 여러 계층에 걸쳐 있는데, 현전하는 향가의 작자로는 승려가 가장 많다.
(8) 향가집
신라 진성여왕 2년(888)에 각간(角干) 위홍(魏弘)과 대구 화상(大矩和尙)에 의하여 편찬된 ‘삼대목(三代目)’이 있었으나 현재 전하지 않는다. ‘삼대(三代)’란 상(上), 중(中), 하(下)의 삼대를 뜻하는 것으로 신라 일대의 향가가 수집 기록되어 있으리라 생각되나 정확한 것은 알 길이 없고, 현재 ‘삼국유사’에 14수, ‘균여전’에 11수가 전하고 있다.
(9) 향가의 소멸
향가는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를 마지막으로 소멸하였으나, 고려 16대 예종이 지은 ‘도이장가(悼二將歌)’와 의종 때 정서(鄭敍)가 지은 ‘정과정곡(鄭瓜亭曲)’에서 향가의 잔영(殘影)을 엿볼 수 있다.
(10) 현전하는 향가 일람표
작 품 명 | 작 자 | 연 대 | 형 식 | 내 용 |
서동요 (薯童謠) |
백제 무왕 (百濟武王) |
진평왕 (579~632) |
4구체 | 서동이 선화 공주를 사모하여 아내로 맞기 위해 아이들에게 부르게 한 동요 |
풍요 (風謠) |
만성 남녀 (滿城男女) |
선덕여왕 (632~647) |
4구체 | 양지가 영묘사 장육존상을 주조할 때 장안의 남녀들이 진흙을 나르며 불렀다는 노동요 |
헌화가 (獻花歌) |
실명 노인 (失名老人) |
성덕왕 (702~737) |
4구체 | 소를 몰고 가던 노인이 수로 부인(水路夫人)에게 꽃을 꺾어 바치며 불렀다는 노래. 민요. |
도솔가 (도率歌) |
월명사 (月明師) |
경덕왕 19년 (760) |
4구체 | 두 해가 나타나므로 괴변을 없애기 위해 부른 산화공덕(散華功德)의 노래. 일명 산화가(散花歌) |
모죽지랑가 (慕竹旨郞歌) |
득오 (得烏) |
효소왕 (692~702) |
8구체 | 죽지랑을 사모하여 부른 만가. 추모가 |
처용가 (處容歌) |
처용 (處容) |
헌강왕 5년 (879) |
8구체 | 아내를 침범하는 역신에게 관용을 베풀어 역신을 감복시키는 주술적인 노래. 축신가. |
혜성가 (彗星歌) |
융천사 (融天師) |
진평왕 (579~632) |
10구체 | 이 노래를 지어 내침한 왜구와 큰 별을 범한 혜성을 물리쳤다는 축사(逐邪)의 노래. |
원왕생가 (願往生歌) |
광덕 (廣德) |
문무왕 (661~681) |
10구체 | 죽음을 당해 극락 왕생을 바라는 불교 신앙의 노래. |
원가 (怨歌) |
신충 (信忠) |
효성왕 원년 (737) |
10구체 | 효성왕이 약속을 지키지 않으매 노래를 지어 잣나무에 붙였다는 주가. 일명 원수가(怨讐歌). 8구만 전함. |
제망매가 (祭亡妹歌) |
월명사 (月明師) |
경덕황 (742~765) |
10구체 | 죽은 누이를 추모하여 제(齊)를 올리어 부른 노래. 일명 위망매영재가(爲亡妹營齋歌)라고도 함. |
안민가 (安民歌) |
충담사 (忠談師) |
경덕왕 (742~765) |
10구체 | 군(君)․신(臣)․민(民)이 알 바를 노래한 치국의 노래. 치세 안민(治世安民)의 노래를 지으라는 왕의 요청을 받고 지음. |
찬기파랑가 (讚耆婆郞歌) |
충담사 (忠談師) |
경덕왕 (742~765) |
10구체 | 기파랑을 찬양하여 부른 노래. 추모시. 문답식으로 된 최초의 노래. |
천수대비가 (千手大悲歌) |
희명 (希明) |
경덕왕 (742~765) |
10구체 | 희명이 실명한 아들을 위해 부른 노래. 분황사 관음보살에게 아들이 눈을 뜨게 해 주기를 빈 기도의 노래. |
우적가 (遇賊歌) |
영재 (永才) |
원성왕 (789~798) |
10구체 | 영재가 대현령에서 도둑을 만나 도둑을 회개시킨 설도(說道)의 노래. |
보현십원가 (普賢十願歌) |
균여 대사 (均如大師) |
신라 말~ 고려 초 |
10구체 | 불교의 교리를 대중에게 펴기 위해 지은 노래. 예경제불가, 칭찬여래가, 광수공양가, 참회업장가, 수희공덕가, 청전법륜가, 청불주세가, 상수불학가, 항순중생가, 보개회향가, 총결무진가 등 |
서동요(薯童謠)
善 化 公 主 主 隱 善化公主니믄
他 密 只 嫁 良 置 古 그 지 얼어두고 ⇒ 시상의 발상(원인)
薯 童 房 乙 맛둥바
夜 矣 卯?乙 抱 遣 去 如 바ㅣ 몰 안고 가다. ⇒ 서동과의 밀애(결과)
<작품 해제>
․작자 ; 서동(薯童)
․연대 ; 신라 진평왕 때(599년 이전), 백제 무왕의 젊은 시절
․갈래 ; 4구체(전래되어 온 민요가 정착됨)
․성격 ; 참요(讖謠-예언, 암시하는 노래.), 풍자적(諷刺的)
․주제 ; 선화 공주에 대한 연정(戀情), 선화 공주의 은밀한 사랑, 선화 공주의 비행 풍자, 결혼 계략
․의의 ; ① 현전하는 가장 오래 된 향가 작품이다.
② 민요가 4구체 향가로 정착한 유일한 노래이다.
③ 향가 중 유일한 동요(童謠)이다.
④ 서동 설화가 노래의 배경 설화가 되고 있다.
<시어․시구 풀이>
․善化公主니믄 - 선화 공주님은. 선화 공주는 신라 진평왕의 셋째 딸임.
․ 그 지 - 남 모르게
․얼어 두고 - 정을 통하고, 정을 맺고, 시집가 놓고. ‘얼다’는 ‘시집가다, 혼인하다, 정을 통하다’의 뜻임.
․맛둥바 - 맛둥 도련님을, 서동이를. ‘마’는 ‘감자’, ‘둥’은 ‘아이’로 ‘맛둥’은 ‘薯童’이다(마를 파는 아이). ‘방’은 접미사로 오늘날 ‘-뱅이’(주정뱅이, 게으름뱅이 등)의 ‘뱅’과 같은 것이다. ‘방’은 ‘사람[男子]에 쓰이던 말임.
․바ㅣ[夜矣] - 밤에. ․몰[卯乙] - 몰래. ․안고 가다[抱遺去如] - 안고 가다.
<핵심 노트>
1. 현전하는 최고의 향가로 민요가 4구체 향가로 정착된 것이다.
2. 일종의 참요(讖謠)로 주객(主客)이 전도되어 있다.
3. 소박하고 꾸밈이 없는 애정관과 신분의 제약을 뛰어넘는 사랑의 세계가 담겨 있다.
4. 4구체의 형식으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고대 가요의 형식을 계승하고 있다.
<감상의 길라잡이>
이 노래는 일종의 참요(讖謠)로 서동의 잠재적 갈망을 선화 공주란 상대편에 전가시킨 것이다. 따라서, 주객을 전도시킨 데 수사적 특징이 있다. 국경을 뛰어 넘고 신분의 귀천을 초월한 낭만적인 한 소년의 사랑이 이 노래에 응집되어 있으며,그 꿈이 장애 없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당시 사회적 분위기를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노래에서는 어떤 깊은 문학적 배경은 의식하기 어렵다. 다만, 설화의 내용에서처럼 한 영웅의 일대기가 차지하는 에피소드로 이해할 수 있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서동이 앙숙인 신라의 선화 공주를 연모하여 감자 캐는 아이로 변장하여 신라에 잠입, 이 노래를 아이들에게 퍼뜨려, 부모의 질책을 받고 쫓겨난 공주를 아내로 맞게 되었으며, 그 후 서동은 자라서 백제 무왕이 되었다고 한다. 사랑을 위해 목숨을 건 고대인들의 강한 정열과 순진하고 소박한 노래로서 고대 동요(童謠)의 전형적 형식을 띠고 있다.
<배경 설화>
백재 제30대 무왕(武王)의 이름은 장(璋)이다. 그의 어머니가 과부로, 백제의 서울 남쪽에 있는 연못가에 살고 있었는데, 그 못 속의 용과 관계하여 아들을 낳았다. 이 아이가 뒷날 무왕이다. 워낙 위인이 그릇이 크고 도량이 넓어 장차 큰 인물이 될 바탕을 갖추고 있었으나, 어려서는 마를 태어 팔아 생계를 이어갔으므로 사람들은 그를 마동[薯童]이라 불렀다. 신라 진평왕의 셋째 딸 선화 공주가 세상에 다시 없는 미인이라는 소문을 들은 마동은 중의 행색으로 차리고 신라의 서울 경주로 몰래 들어가, 마를 가져다가 그 곳 아이들에게 나누어 주고 노래(서동요)를 지어서 아이들이 부지런히 부르게 하였다. 얼마 후, 이 노래는 경주 일대에서 모르는 이가 없게 되고, 드디어 궁궐에까지 퍼져 들어가자, 진평왕은 몹시 노여워했고, 만조 백관들도 공주의 비행을 규탄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왕은 공주를 먼 곳으로 귀양을 보내기로 결정하였다. 대궐을 쫓겨나는 공주의 애처로운 모습을 보고 왕비는 딸을 그냥 떠나 보낼 수 없어서 순금 한 말을 왕이 모르게 주어 보냈다. 공주가 귀양살이 길에 올랐을 때, 마동이 나타나 공주에게 인사를 올리고 함께 모시고 가겠다고 하니, 슬픔에 잠긴 공주는 그가 누구인지도 모르지만 믿어지고 기뻐서 동행하도록 했다. 날이 가고 길이 가까워질수록 공주는 마동이 미덥고 좋아져서 두 사람은 급기야 결혼을 했다. 그제서야, 그가 마동임을 알고 자기가 쫓겨나게 된 까닭을 비로소 알게 되었다.<삼국유사(三國遺事) 권2>
<서동요에 대한 이설(異說)>
이 노래에 대한 사연으로 보아 이는 무왕 시대의 것이라는 설[이병도]과 백제가 망할 무렵에 신라 군졸로부터 사찰을 보호하기 위하여 퍼뜨린 연기설화(緣起說話)라는 설[황수영] 등이 있다.
처용가(處 容 歌)
東 京 明 期 月 良
夜 入 伊 遊 行 如 可
入 良 沙 寢 矣 見 昆
脚 烏 伊 四 是 良 羅 ⇒ 역신의 침범
二 肹 隱 吾 下 於 叱 古
二 肹 隱 誰 支 下 焉 古
本 矣 吾 下 是 如 馬 於 隱
奪 叱 良 乙 何 如 爲 理 古 ⇒ 처용의 관용
<작품 해설>
서울 밝은 달밤에 밤 늦도록 놀고 지내다가 들어와 자리를 보니 다리가 넷이로구나. 둘은 내 것이지만, 둘은 누구의 것인고? 본디 내 것이다마는(내 아내이지만) 빼앗긴 것을 어찌하리.(양주동 해독)
<작품 해제>
․작자 ; 처용(處容)
․연대 ; 신라 헌강왕(875-885)
․갈래 ; 8구체 향가(4․4조의 민요조로 됨)
․표현 ; 향찰로 표기, 직서적(直敍的)인 표현
․성격 ; 주술적 무가(巫歌), 축사(逐邪)의 노래
․제재 ; 아내, 역신(疫神)
․주제 ; 귀신을 쫓아냄[축사(逐邪)]
․의의 ; ① 벽사 진경(辟邪進慶-간사한 귀신을 물리치고 경사를 맞이함)의 소박한 민요에서 형성된 무가이다.
② 의식무(儀式舞), 또는 연희의 성격을 띠고 고려와 조선 시대까지 계속 전승되었다.
․출전 ; <삼국유사(三國遺事)> 권2
<시어․시구 풀이>
․ - 서울. 여기서는 경주 ․긔 래 - 밝은 달(밤)에
․밤 드리 - 밤 들게, 밤이 늦도록 ․노니다가 - 노닐다가, 놀며 지내다가
․드러 - 들어와 ․가리 - 다리가, 가랑이가 가[脚] + 이(주격조사)
․네히어라 - 넷이로구나. ․아 - 빼앗겼음을, 빼앗긴 것을.
․내해엇고 - 내 것이어니와, 내 아내의 것이어니와. ‘내 것’이라는 직접소유로 표현하여 강조함.
․엇디릿고 - 어찌 할 수 있으리오?
․드러 자리~가리 네히어라 - 역신이 아내를 범하고 있음을 노래한 것이다.
․아 엇디릿고 - 이미 다른 사람의 여인이 되어 버린 상황에 대한 체념으로 보기도 하며, 자신의 아내까지도 대상에게 바치는 관용적 표현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요점 노트>
1. 벽사 진경(辟邪進慶)의 민속에서 형성된 무가(巫歌)이다.(무가-처용은 무신으로 볼 수 있다.)
2. 고려와 조선조에 걸쳐 의식무, 또는 연희로 계승되었다.
3. 체념과 관용을 바탕으로 무가의 성격을 띠며, 무속적으로 전승되었다.
4. 해가, 원가, 도솔가, 혜성가 등과 함께 주술성(呪術性)이 깃들어 있다.
5. 귀신이 감복한 것은 처용의 관용적 태도 때문이다.
<감상의 길라잡이>
이 노래는 신라 제49대 헌강왕 때 처용랑이 역신(疫神)을 쫓기 위해 지어 부른 8구체 향가이다. 이 노래의 변형이 고려 시대 ‘처용가’로서, <악학궤범(樂學軌範)>과 <악장가사(樂章歌詞)>에 실려 있으므로 향찰(鄕札)로 표기된 어려운 향가를 해독할 수 있는 열쇠를 얻은 것이다.
이 노래의 내용에 대해서 민속학적 관점에서 처용을 무속과 관련지어 보려는 견해와 정치사의 관점에서 처용을 지방 호족(豪族)의 아들로 보려는 견해, 신라 시대에는 멀리 서역(西域) 지방과도 교역이 있었다고 보아 처용을 이슬람 상인으로 보려는 견해 등이 있다. 그러나 민족학적 관점에서 처용을 무속과 관련지어 보려는 견해가 우수하다. 그 까닭은 제 아내가 다른 남자와 자고 있는 것을 보고도 노래를 부르며 춤추며 물러났다고 하는 것은 상식의 범주를 벗어난 무격(巫覡) 사회에만 있는 풍습이기 때문이다. 또한 악신(惡神)이라도 즐겁게 하여 보낸다는 풍습에서 한국인의 여유에 찬 생활의 예지를 볼 수 있다.
이 노래의 절정은 7행과 8행이다. 이는 체념적인 주사(呪詞)로 볼 수 있으나 오히려 처용의 시황(초극적인 이미지)을 부각시킨 것으로 후대로 오면서 벽사(辟邪)의 위력으로 발전한 것을 이해할 만하다. 이를 무가의 일종으로 보아 악신을 보내는 ‘뒷전풀이’로 이해하지 않고는 해석의 실마리를 찾을 수 없을 것이다. 무속에서는 악신이라도 즐겁게 하여 보내는 것이 통례이기 때문이다.
<처용 설화>
헌강왕 시대는 태평 세월이었다. 왕이 어느날 개운표에 나가 놀고 있는데, 구름과 안개가 끼어 앞이 보이지 않았다. 이상하게 여겨 신하에게 물으니 이것은 동해(東海) 용(龍)의 조화이므로 좋은 일을 행할 것을 아뢰었다. 왕이 근처에 절을 세우라 하니, 구름과 안개가 개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 곳을 개운포 (開雲浦)라 이름지었다.
한편, 동해 용은 매우 기뻐하여 아들 일곱 명을 데리고 임금 앞에 나타나서 인사를 하고, 그 중 한 아들을 두고 갔는데, 그가 처용으로서, 왕이 미녀를 아내로 삼아 같이 살게 하였다. 그 아내가 매우 아름다워서, 역신(疫神)이 탐을 내어 사람으로 변하여 처용이 없는 사이에 몰래 동침하였다. 밖에서 돌아온 처용이 이를 보고 처용가의 내용으로 노래를 부르며 춤을 추었다. 처용이 역신의 잘못을 탓하지 않는 것에 탄복한 역신은 그에 감격하여, 앞으로는 처용의 형상을 그린 그림만 보아도 그 문에 들어가지 않겠다고 약속하였는데, 이 때 처용이 처음 부른 노래를 ‘처용가’라 하고, 그 춤을 ‘처용무’라 한다.
<참고 사항>
◆ 처용희(處容戱)
신라․고려․조선 시대에 걸쳐 계속 전승되어 온 구나 의식무(驅儺儀式舞)이면서 연극으로서의 성격도 지니고 있다. 가면을 쓰고 잡귀를 물리치는 것은 구나 의식의 보편적인 방식의 하나이며, 부락 굿에서도 그러한 예를 흔히 찾을 수 있다. 처용은 신(神)인 동시에 인간이며, 인간적인 감정을 지니고 역신(疫神)과 대결한다는 점에서는 처용희를 연극이라고 말한다. 긋에서 연극으로 이행하는 과정을 엿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것이 처용희의 근본적 성격이겠으나, 여러 가지 다른 요소들이 복합되어 실제 공연하던 처용희를 이루었다.
<삼국유사>에 전하는 신라의 처용희는 용신(龍神), 산신, 불교 의식의 복합이고, <악학궤범>에 전하는 처용희는 처용이 오방(五方) 처용으로 되어 연화무학무(蓮花舞鶴舞)와 복합되어 있으며, 여기(女妓)가 처용가에 있어서 봉황음 삼진작(鳳凰吟三眞勺) 등의 다른 노래를 하도록 되어 있다.
고려와 조선의 처용희는 주로 궁중에서 거행되는 세말(歲末)의 나례(儺禮)에서 공연되었으나, 민간의 처용희도 있었다. 의식무(儀式舞)로서의 기능이 유지되기는 했으나, 놀이로서의 성격이 확대되었다. 영조 이후에는 중단되었다가 1920년대에 <악학궤범>에 의거해서 다시 시작해 오늘날에 전한다.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咽 鳴 爾 處 米
露 曉 邪 隱 月 羅 理
白 雲 音 遂 于 浮 去 隱 安 攴 下
沙 是 八 陵?隱 汀 理 也 中
耆 郞 矣 皃 史 是 史 藪 邪
逸 烏 川 理 叱 磧 惡 希
郞 耶 持 以 攴 如 賜 烏 隱
心 未 際?叱 肹 遂 內 良 齊
阿 耶 栢 史 叱 枝 次 高 攴 好
雪 是 毛 冬 乃 乎 尸 花 判 也
열치매 열어 젖히니
나토얀 리 나타난 달이
구룸 조초 가 안디하 흰구름 쫒아 떠가는 것이 아닌가
⇒ 작자가 달에게 묻는 말
새파 나리여 새파란 냇물에
耆郞(기랑) 즈 이슈라 기랑의 모습이 있어라
일로 나릿 지금부터 냇물의 조약돌에
낭(郞) 디니다샤온 기파랑이 지니시던
좇누아져 마음 끝을 따르고자
⇒ 달이 대답하는 내용
아으 잣ㅅ가지 노파 아아, 잣나무 가지 높아
서리 몯누올 화반(花判)이여 서리 모르는 화랑의 장이시여
⇒ 작자의 독백
<작품 풀이> (구름을) 열어 젖히매 나타난 달이 흰구름을 따라 (서쪽으로) 떠 가는 것이 아니냐? 새파란 냇가에 기랑의 모습이 있구나 이로부터 냇가 조약에 낭이 지니시던 마음의 끝을 따르련다. 아아, 잣가지 높아 서리를 모를 화랑이시여.
<작품 해제>
․작자 ; 충담사
․연대 ; 신라 경덕왕(742~765) 때
․갈래 ; 10구체 향가
․표현 ; 은유법, 상징법, 문답법
․성격 ; 추모가, 예찬가, 서정시
․제재 ; 기파랑의 인격
․주제 ; 기파랑의 고매한 인품을 추모, 기파랑의 이상과 절조(節操)에 대한 찬미
․의의 ; ① 향가의 백미(白眉)-‘제망매가’와 더불어 표현 기교와 서정성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② 주술성이나 종교적 색채가 없는 순수한 서정시이다.
․출전 ; <삼국유사(三國遺事)> 권2
<시어․시구 풀이>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 기파랑의 찬미하는 노래. ‘찬(讚)’은 찬미, ‘랑(郞)’은 화랑, ‘가(歌)’는 노래라는 뜻이고 ‘기파(耆婆)’는 범어이다.
․열치매 - 열어 젖히매, 여니까. ‘열치매’의 주어를 작자로 보면 목적어는 ‘창문’이 되고, 주어를 ‘바람’으로 보면, 목적어는 ‘구름’이 된다.
․가 - 떠나가는, 흘러가는 ․안디하 - 아닌가?(의문형), 아니여.
․나리 - 시내, 내. 신라어 ※나리>나이(ㄹ탈락)>내(축약) ․이슈라 - 있도다. 있구나.
․일로 - 이로부터, 이로 해서, 이러므로, 이제부터 ․ - 조약돌에. ․ - 마음의
․ - 한계를, 자취를. 여기서는 기파랑의 훌륭한 인품, 이상(理想)을 가리킴.
․좇누아져 - 따라 가고자. 쫓아 가고 싶구나, 따르고 싶구나.
․잣ㅅ가지 - 잣나무 가지. 여기서는 높은 인격, 고매한 절개, 강직한 성품을 상징하고 있다.
․서리 - 여기서는 시련, 역경 등의 세속적 유혹을 비유. ․몯누올 - 모르실, 모르올
․화반 - 화랑의 우두머리, ‘判’이 ‘반’으로 읽힘은 음차임. 존칭의 뜻인 ‘장(長)’ 또는 ‘님’의 뜻이다.
․열치매~안디하 - (바람이 구름을) 열어 젖히매 나타난 달이 흰구름 쫓아서 떠 가는 것이 아닌가?. ‘달’은 모든 사람들이 우러러보는 존재로 ‘광명’ 혹은 ‘염원’을 상징한다. 달은 서정적 자아가 바라보는 광명의 달이며, 그를 통하여 기파랑의 고결한 자태를 그려볼 수 있는 존재이다. 달=기파랑, 구름=기파랑을 따르는 무리로 해석되기도 한다.
․새파~이슈라 - 냇물에 비친 달이 기랑의 모습처럼 아름답구나. ‘나리’는 기파라의 인품을 상징한다.
※ 1~3행에서는 천상적인 것으로 읊고, 4~5행에서는 지상적인 것으로 연관시키고 있다.
․일로 나리ㅅ~좇누아져 - 이로부터 냇물의 조약돌에 깃들인 것과 같은 기파랑의 원만한 인품의 한구석이나마 따르고 싶구나. 달이 작자에게 답하는 형식을 취한 ‘답사’로서, 작자가 기파랑을 사모하는 정을 간접적으로 암시하고 있다. 여기서 ‘냇물’과 ‘조약돌’은 기파랑의 원만한 인품을, ‘마음의 끝’은 기파랑의 훌륭한 인품을 비유한 말이다.
․아으 잣ㅅ가지~화반이여 - 높은 이상과 굳은 절개로 어떠한 시련이나 유혹도 물리치실 화랑의 우두머리여. 작자의 ‘독백’인 결사(結辭) 부분으로 신라의 이상적인 남성상인 기파랑의 인격을 잣나무에 비유하여 그의 정신적 숭고함을 찬양하고 있다. ‘잣가지’는 기파랑의 고매한 인품을, ‘서리’는 고난과 역경을 각각 은유하는 말이다.
※ 구성과 소재의 상징성
<요점 노트>
① 기파랑의 고매한 인품을 추모하여 부른 노래로 숭고미(崇高美)가 잘 표현되어 있다.
② 대상과의 문답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정신적인 의미가 자연물(냇물, 조약돌, 잣가지)을 통해 표상되고 있다.
③ 수평적인 시선과 수직적인 시선이 교차되고 있으며, 영원한 것과 찰라적인 것, 정신적인 것과 물질적인 것이 흰색과 푸른색의 대조를 통하여 잘 드러나고 있다.
구 분 | 소재(보조관념) | 속성(원관념) | |
문사 | 작자가 달에게 물음(1~3행) | 달 | |
답사 | 달이 작자에게 답함(4~8행) | 냇물 | 맑고 깨끗한 모습 |
조약돌 | 원만하고 강직한 인품 | ||
결사 | 작자의 독백(9~10행) | 잣나무 | 고결한 절개 |
<감상의 길라잡이>
이 노래는 기파랑이 화랑으로서 평소에 지녔던 인품을 직접 언급하지 않고, 자연물인 달과의 문답의 형식을 통하여 은연중에 드러내고 있다. 즉, 이 노래는 달과의 문답을 통하여 기파랑의 인품을 찬양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흰색과 푸른색의 대조를 통하여 기파랑의 인품을 표상하고 있다. 새파란 내와 달과 조약돌의 흰색이 이루는 대조, 서리가 내린 땅과 푸른 색의 잣나무가 그것이다. 공간적으로도 수평적인 것들인 구름, 시내, 냇가, 지상 등과 수직적인 달, 시내 속의 달, 마음의 끝, 잣나무 등이 꽉 짜인 공간적 조형미를 구축하고 있다.
냇물, 조약돌, 서리, 잣나무 등 찬기파랑가가 지닌 이러한 고도의 상징적 표현은 향가의 문학성이 매우 높았음을 짐작하게 하며, 고려 시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애상적인 면이 전혀 없고 미래 지향적이고 진취적인 기상과 의지를 엿볼 수 있게 한다.
모죽지랑가(慕 竹 旨 郞 歌)
去 隱 春 皆 理 米
毛 冬 居 叱 沙 哭 屋 尸 以 憂 音
阿 冬 音 乃 叱 好 支 賜 烏 隱
皃 史 年 數 就 音 墮 支? 行 齊
目 煙 廻 於 尸?七 史 伊 衣
逢 烏 支 惡 知 作 乎 下 是
郞 也 慕 理 尸 心 未 行 乎 尸 道 尸
蓬 次 叱 巷 中 宿 尸 夜 音 有 叱 下 是
간 봄 그리매 간 봄을 그리워함에
모 것 우리 시름 모든 것이 서러워 시름하는구나
⇒ 지나간 젊음에 대한 회한
아 나토샤온 아름다움 나타내신
즈 살쯈 디니져 얼굴이 주름살을 지으려 하는구나
⇒ 늙음의 안타까움
눈 돌칠 이예 눈 깜짝할 사이에
맛보디 지리 만나 뵈올 기회를 지으리라
⇒ 그리움에 대한 충동
郞이여 그릴 녀올 길 낭이여, 그리운 마음의 가는 길에
다봊 잘 밤 이시리 다북쑥 우거진 마을에 잘 밤인들 있으리까
⇒ 만날 수 없음에 대한 탄식
<작품 풀이>
간(지나간) 봄 그리매 / 모든 것사 설어 시름하는데 / 아름다움 나타내신 / 얼굴이 주름살을 지니려 하옵내다. / 눈돌이킬 사이에나마 / 만나뵙도록 지으리이다. / 낭이여 그릴 마음의 녀올 길이 / 다북쑥 우거진 마을에 잘 밤 있으니까? <양주동>
지나간 / 봄 돌아오지 못하니 / 살아계시지 못하여 우올 이 시름. / 전각(殿閣)을 밝히오신 / 모습이 해가 갈수록 헐어 가도다. / 눈이 돌음 없이 저를 / 만나보기 어찌 이루리. / 낭(郎) 그리는 마음의 모습이 가는 길 / 다북 굴헝에서 잘 밤 있으리. <김완진>
<작품 해제>
․작자 ; 득오
․연대 ; 신라 효소왕
․형식 ; 8구체 향가
․성격 ; 추모시, 추념시(追念詩)
․제재 ; 죽지랑의 인품
․주제 ; 죽지랑에 대한 사모, 연모의 정
․의의 ; ① 뛰어난 인품의 화랑의 세계를 보여주는 서정적인 작품이다.
② 여성적인 감정 표현을 보여주는 순수 서정시이다.
․출전 ; <삼국유사(三國遺事)> 권2
<시어․시구 풀이>
․간 봄 - 지나간 봄. ․그리매 - 그리워함에, 그리워서
․우리 시름 - 울어 시름, 슬피 울면서 시름(하고 있는데)
․아 - 아름다움. ‘아름답다’의 명사형(名詞形) ․나토샤온 - 나타내신
․즈 ㅣ - 모양이, 용모가. ※ 즛>짓(전설 모음화)-용모, 모양
․살쯈 - 주름살. ․디니져 - 지니려 하는구나, (주름살이) 잡히려 하는구나.
․눈 돌칠 - 눈을 돌릴, 눈 깜박할. ․이예 - 사이에, 동안에
․맛보디 - 만나 보기를, 만나 뵙도록. ․지ㅗ리 - 지으리, 되오리.
․그릴 - 그리워하는, 그리운. ․녀올 길 - 갈 길이
․다봊 굴허헤 - 다북쑥 굴헝에, 쑥이 무거진 마을에, 험한 구렁에, 무덤에.
․잘 밤 - 잘 밤이 ․이시리 - 있을까?
․간 봄~우리 시름 - 지나간 봄은 죽지랑이 살아 있을 때로서, 그를 그리워하는 마음에 이 세상의 모든 것이 슬퍼한다.
․아 나토샤온~살쯤 디니져 - 아름답던 얼굴은 눈에 선한데, 주름살이 생기고 결국은 죽었구나.
․눈 돌칠~지ㅗ리 - 사람들은 눈 깜짝할 사이에 죽을 것인즉, 나도 저 세상에서 만나 뵈옵기를 지오리(만들 것이다).
․다봊 굴허헤 잘 밤 이시리 - ‘다봊 굴허’는 ‘무덤’ 또는 ‘저 세상’으로, 거기에서 함께 잠들 밤이 있을 것이다. 죽어서 다시 만날 것이다는 의미이다.
<요점 노트>
① 여성적인 감정 표현을 보여 주는 순수 서정시로 죽지랑에 대한 연모의 정을 주제로 하고 있다.
<감상의 길라잡이>
득오는 자기를 도와 준 일이 있는 죽지랑의 인격이 뛰어나고 고매하여 늘 사모하는 마음이 있었는데 그가 죽자 이 노래를 지어서 불렀다고 전한다. 그리워하는 마음이 행여 무심치 않게 된다면 저 세상 어느 곳에서라도 함께 잠들 날이 있으리라는 윤회 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죽지랑에 대한 사모의 정이 시간이 흘러 갈수록 더욱 짙어짐을 나타낸 순수 서정시이다. 이 노래는 신라 향가 중, ‘찬기파랑가’와 함께 화랑을 그린 시의 쌍벽으로서 시의 감정 표현이 여성적 발상이라는 점에 특징이 있으며 이런 점에서 후대의 ‘정과정’이나 정철의 양미인곡과 일맥 상통하는 바가 있다. 이 작품에는 죽지랑에 대한 사모의 정과 인생 무상을 느끼는 서정만이 나타날 뿐 주술성이나 종교적 색채가 다른 작품에 비해 적다는 점에서 시가의 순수 서정화에 진전을 보인 작품이라는 의의를 갖는다.
4. 설화의 이해와 감상
(1) 설화
: 설화는 이야기 문학의 하나이다. 이야기는 사실에 근거를 둔 것이라 하더라도, 그것은 말하는 사람의 의도에 따라 재구성되기 마련이다. 설화는 그 이야기를 듣는 사람의 이야기에 대한 믿음이나 인식의 정도에 따라 신화 전설 민담으로 구분된다.
(2) 신화
: 모든 자연 현상을 인격화하거나 주력(呪力) 또는 마술적으로 설명하는 이야기의 하나, 세계의 기원과 본체에 관한 천지 창조의 신화, 건국 신화, 시조 신화, 부락 신화 등으로 구분되는데, 주인공은 영웅적인 활동을 통하여 목적한 과업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모습은 영웅 소설의 주인공에게 계승된다.
*건국 신화의 기본 구조
①고귀한 혈통을 타고 난다. ② 비정상적으로 태어난다. ③ 비범한 자질을 지닌다. ④ 버림을 받고 고난을 겪는다. ⑤ 구출자, 양육자를 만나 살아난다. ⑥ 위기를 극복한다. ⑦ 투쟁에서 승리하여 영광을 차지한다.
(3) 전설
: 신화가 형성된 시기보다 훨씬 후에 형성되었고, 신화보다 좀 더 사실적으로 느껴지게 하는 이야기로서, 실재하는 장소, 시대, 인물들을 구체적 내용으로 하고 있는 점이 특색이다. 전설은 특정한 지역에 한정되어 전승되는 것이기 때문에, 수집되어 전하는 것이 많지 않다. 사찰의 건립이나 역사적 인물의 일화와 관련된 전설이 대부분이다. 전설은 신화에 비해 개인적이고 특수한 정황에 중점을 두는 것이 특징이다.
(4) 민담
: 흥미를 위주로 엮어지는 이야기로서, 뚜렷한 시간과 장소가 없으면서도 체계적인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인간 생활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어서 쉽게 기억 구연되며 재창조된다. 사건에 대한 아무런 증거물이 없는 창조적인 이야기, 즉 허구의 세계이다. 민담에 나타나는 제재나 내용은 범세계적이다. 일반적으로 민담에는 일상적 인물이 불가능하다고 생각되는 일을 성취하는 과정이 나타난다. 이러한 민담의 성격 때문에 그 전승의 주체는 일반 서민인 경우가 많다. '혹부리 영감', '콩쥐팥쥐' 등의 내용과 유사한 이야기가 여러 나라에 퍼져 있는데, 이는 인간의 정신적인 영역이 보편성을 띤다는 점의 증거가 된다.
(5) 비교
구분 | 신화 | 전설 | 민담 |
전승자의 태도 | 신성성 인식 | 진실성을 믿음 | 흥미와 교훈 위주 |
시간 및 장소 | 태초의 시간, 신성한 장소 | 구체적 시간, 장소 | 서사적 과거, 불특정장소 |
증거물 | 포괄적 증거물 | 특정의 개별 증거물 | 없거나 포괄적 증거물 |
주인공 | 신 중심 (성씨의 시조 포함) |
인간 중심 | 일상적 인물 |
주인공의 행위 | 신적 능력 발휘 | 예기치 않는 사태에 좌절 | 인간적 행동, 초월자의 도움 |
결구의 특징 | 숭고함, 종교적 | 비극적, 운명론적 | 희극적, 낙천적 |
전승 범위 | 민족적, 씨족적 | 지역적 | 범세계적 |
자아와 세계의 관계 | 자아 = 세계 (동질성시대) |
자아 < 세계 (자아의 좌절 ) |
자아 > 세계 (자아의 우위) |
6) 공통적 특징
: 한민족의 생활 감정과 풍습을 드러냄. 상상적, 공상적, 서사적임. 개성미가 없으며 예술성이 높지 않음. 전기적(傳奇的), 우화적인 요소를 지님. 구전되는 문학임.
(6) 특징
: 설화의 가정 큰 특징은 구전(口傳)된다는 점이다. 설화는 반드시 화자가 청자를 대면하여 청자의 반응을 의식하며 구연(口演)된다. 따라서, 구전에 적합하도록 단순하면서도 잘 짜여진 구조를 가지며, 표현도 복잡하지 않다. 그리고 구전되기 때문에 보존과 전달 과정은 유동적이며 가변적(可變的)이다. 이러한 구비 전승되는 설화를 문자로 정착시키면 문헌 설화가 되고, 설화를 정착시켜 기록 문학적 복잡성을 가미하면 소설이 된다. 설화에서 소설로의 이행은 기록 문학적 복잡성을 가미하면 소설이 된다. 설화에서 소설로의 이행은 구비 문학이 기록 문학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설화 중 민담의 일부는 전래 동화로 정착되기도 하였다.
5. 한시의 이해와 감상
1. 개념 : 한시(漢詩)는 원래 중국의 전통시를 말하는데, 중국 문학사에서 시가 가장 성행했던 시기는 당(唐)나라 때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마도 민요의 정착에서 비롯되었으리라고 보이는 한시는 시대의 변천과 함께 그 형식을 갖추어 오다가 당나라 때에 이르러 엄격한 규칙을 수반하는 전형(典型)이 확립되었다. 이 엄격한 규칙을 수반하는 당나라 이후의 한시를 근체시(近體詩)라 하고, 그 이전의 시를 고체시(古體詩)라고 나누는데, 근체시에는 기본적으로 음수율, 시행율, 음위율, 음성률이 적용되며, 그 외에도 여러 가지의 엄격한 규칙이 따른다.
2. 특징 : 시체(詩體)의 종류는 한 구(句)의 잣수와 한 편의 구수(句數)에 의하여 나누어진다.
1) 고체시(古體詩)
① 고시(古詩)-사언 고시, 오언 고시, 칠언 고시
② 악부(樂府)-장구(長句), 단구(短句)
2) 근체시(近體詩)-당나라 때부터 발달한 시체(詩體)로 심전기, 송지문 등에 의해 수립되었으며 구수(句數)에 따라 4구로 이루어진 것을 '절구(絶句)', 8구로 이루어진 것을 '율시(律詩)'라 한다. 또 구수에 별 제한이 없이 자유로운 것을 '배율(排律)'이라 한다.
① 절구-한 수가 4구로 된 것. 오언 절구(1구가 5자×4구) 칠언 절구(1구가 7자×4구)
② 율시-한 수가 8구로 된 것. 오언 율시(1구가 5자×8구) 칠언 율시(1구가 7자×8구)
③ 배율-한 수의 구수가 제한이 없는 시형. 오언 배율(1구가 5자×12구 이상) 칠언 배율(1구가 7자×12구 이상)
※ 한시구의 명칭-절구에서는 제1구를 기구(起句)[발상 단계;시상을 불러 일으킴], 제2구를 승구(承句)[전개 단계;기구를 이어받아 시상을 확대 발전시킴-서경], 제3구를 전구(轉句)[전기․비약 단계;시상에 변화를 주어 전환시킴], 제4구를 결구(結句)[총괄 단계;전체의 시상을 주제 속에 담아 마무리 지음-서정]라 하고, 율시에서는 1․ 2구를 수련(首聯), 3․ 4구를 함련( 聯), 5․6구를 경련(頸聯), 7․8구를 미련(尾聯)이라 부른다.
※ 압운법-한자는 초․중․종성의 세 가지 소리로 갈라 초성을 '자모(字母)'라 하고, 중․종성을 합해서 운모(韻母)라 한다. 이 운모를 같은 계통의 글자로 맞추는 것을 '압운(押韻)'이라 하고 한 수의 시 안에서 압운된 글자를 '운자(韻字)'라 한다. 그런데 이 운자는 옛 운서에 따라 고음(古音)대로 쓰므로 현대음과 다른 것도 있다. 압운(押韻)하는 자리는 다음과 같다.
절구 ⓐ 오언 절구 - 2(승)․4(결)구의 끝 자
ⓑ 칠언 절구 - 1(기)․2(승)․4(결)구의 끝 자
율시 ⓐ 오언 율시 - 2, 4, 6, 8구의 끝 자
ⓑ 칠언 율시 - 1, 2, 4, 6, 8구의 끝 자
3. 형식 : 한시는 그 음률(音律)의 아름다움을 특히 중히 여겨서 일정한 형식과 규칙(중국어의 특성에 맞게 이루어짐)에 따라 짓게 되어 있다.
① 각 구(句)는 일정한 낱말 수를 갖추어야 한다.[음수율]
② 정해진 구의 끝 글자는 운(韻)에 딸리는 글자를 넣어야 한다.[음위율]
③ 구 속의 각 글자는 평측에 맞게 배정되어야 한다.[음성률]
④ 한 수(首)의 시는 일정한 구수를 따라야 한다.[시행률]
4. 주요 한문학 작품 일람표
① 여수장우중문시(고구려 영양왕, 을지문덕)-수나라 장군 우중문을 비웃은 오언 시로, 살수 대첩과 함께 고구려인의 기상이 엿보인다.
② 치당태평송(신라 진덕여왕, 진덕여왕)-진덕여왕이 당나라 태종에게 바친 당나라의 태평을 기린 시로 굴욕적인 외교의 대표적인 시.
③ 화왕계(신라 신문왕, 설총)-꽃을 의인화하여 정치를 풍자한 단편 산문으로서 국문학사상 창작 설화의 효시.
④ 왕오천축국전(신라 성덕왕, 혜초)-혜초가 인도의 다섯 나라를 여행하며 견문한 것을 기록한 기행문. 돈황에서 발견.
⑤ 토황소격문(신라 헌강왕, 최치원)-최치원이 당에 가 있을 때 황소가 난을 일으키자 이 글을 지어 문명(文名)을 날림.
⑥ 계원필경(신라 헌강왕, 최치원)-최치원이 당나라에서 지은 글을 귀국하여 문집으로 엮은 책.
⑦ 제가야산독서당(신라 헌강왕, 최치원)-상징적인 시로 물소리에서 속세의 시비를 연상하고 이를 떨쳐 버리고 은거하고 싶은 마음을 표현함.
⑧ 추야우중(신라 헌강왕, 최치원)-세상이 자신을 알아 주지 않는 울적한 마음을 표현함.
6. 연극의 자취
(1) 발생 : 원시종합예술의 놀이나 굿에서 분화, 후대 민속극의 원류
(2) 자취
삼국 | 내용 | |
고구려 | 꼭두각시 놀음 | |
백제 | 미마지가 중극에서 기악을 배워 일본에 전합 | |
신라 | 처용설화 | |
최치원<향악 잡영 5수>오기 | 금환 | |
월전 | ||
대면 | ||
속독 | ||
산예 |
II. 고려시대의 문학
* 시대 배경 및 개관
- 한반도 중심 단일민족 단일국가 전통 확립
- 한문 문학의 융성과 국문 문학의 위축
1. 향가의 쇠퇴와 한문문학의 융성
(1) 향가계 시가
향가에서 고려 가요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발생한 과도기적 형태의 노래로 고려 때 지어졌으나 향가의 모습을 지녀 향가의 잔영으로 본다.
① 마지막 향가 : 균여 [보현십원가]
② 도이장가
고려 예종 15년에 지어진 향가 형식의 노래. 향찰로 표기되어 있어 '정과정'보다도 더 향가에 가깝다. 8구체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고려 태조를 위해 죽은 김락, 신숭겸 두 장군을 추도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정과정'이 10구체 향가의 전통을 잇는다는 측면에서 가치가 있다면, 이에 비해 '도이장가'는 향찰의 표기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인정된다. 이 작품은 '정과정'과 함께 신라 향가의 맥을 잇는 작품으로 우리 문학사에서 매우 의의가 크다.
③ 정과정
내가 임을 그리워하여 울고 지내더니
산두견과 나는 비슷합니다.
옳지 않으시다 하고 거칠다 하시더라도
진심을 잔월효성이 알으실 것입니다.
넋이라도 임을 한 데 모시고 지내고자 하는데
항거하시는 이 뉘십니까?
과도 허물도 천만 없습니다.
뭇사람들이여 참소 말으소서 혹은 할 말이 없습니다
슬프구나
임께서 벌써 나를 잊으셨습니까?
마십시오, 님이시여, 마음을 돌리시어 다시 사랑해 주십시오.
· 작자 - 정서, 호는 과정
· 연대 - 고려 의종 때
· 갈래 - 향가계 시가(곡조명은 삼진작)
· 주제 - 연군의 정
· 의의 -
10구체 향가의 파격적 형태 ( 제 8행과 9행을 한 행으로 보면'4구+4구+2구-끝구에 감탄존재)의 10구체 향가 형식과 같다.
충신연주지사의 원류
유배문학의 원류
한글로 전하는 고려 속요 가운데 작자가 분명한 유일한 작품으로 형태와 내용면에서 향가의 맥 을 잇고 있다.
·구성 -
서사 : 고독과 한
본사 : 결백의 주장
결사 : 사랑의 하소연
· 정과정곡의 창작 배경
정서가 역모에 가담했다는 죄명으로 귀양을 가게 되자 의종은 '오늘은 어쩔 수 없으나, 가 있으면 다시 부르겠다'고 했다. 그러나 아무리 기다려도 소식이 없었으므로, 정서는 의종에게 자신의 결백을 밝히고 약속을 상기시키고자 이 작품을 지었다고 한다.
· 향가계 시가로 보는 근거
연 구분이 없다.
쉽게 10구로 재구성된다.
낙구에 감탄사가 있다.
시상이 3단계로 전개되었다.
주제나 표현 수법면에서 이 노래와 접맥되어 있는 작품 - 사미인곡
시적 자아의 감정이 의탁된 소재 - 山 졉동새
이 노래의 어조에 나타나 있는 시적 자아의 심리 - 하소연
'괴오쇼셔'의 어미가 높이는 대상 -. 님
(2) 한문학
1) 융성 배경
① 신라 때 실무 지식으로 한문학을 익혔던 육두품 계층이 고려의 귀족으로 전환
② 문학을 통해 능력을 평가하는 과거제 실시
2) 작가
① 전기 : 최승로, 박인량, 김부식, 정지상 등
② 후기 : 이인로, 임춘, 김극기, 이규보, 최좌, 이제현, 이색 등
3) 특징 : 불교 문학의 발달
① 원인 : 불교를 국교로 삼았기 대문
② 작가 : 균여, 의천, 탄연, 지눌, 혜심 등
2. 속요와 소악부의 세계
(1) 속요의 정의
고려시대 평민들이 부르던 민요적 시가를 이른다. 이는 민요에서 형성된 것으로 추측되는데, 그 운율이 무척 아름답고 표현이 소박하면서도 세련되어 있다. 여요 또는 장가라고 한다.
(2) 속요의 특징
- 고려 속요는 민요에서 형성되었으므로 운율이 무척 아름답고 표현이 소박하면서도 진솔하며, 오랜 시일 전승되는 동안 첨삭되는 과정을 거쳐 세련미까지 갖추게 되었다. 당시의 사회상이 반영되어 있으며 평민들의 진솔한 감정이 잘 표현되어 있다.
- 고려의 속요가 문자로 정착되지 못하고 입에서 입으로 구전되었다고 본다면 그 형식은 민요에 가깝다고 볼 수 있으며 완전한 평민문학이라고 하겠다.
- 내용이 극히 자연스럽고 남녀간의 사랑에 관한 이야기가 많아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男女相悅之詞라 하여 풍속을 문란케 한다는 이유로 문자화되지 못한 작품이 많다.
- 형식상 청산별곡과 같이 장(또는 연이라고도 함)이 분리되는 분절체가 많으며 3음보의 율격을 지니고 있다.
(3) 속요의 형식
-대부분이 분절식으로 되어 있고, 분절마다 후렴구가 붙는 것이 보통이다.
-대체로 전후 양절로 나눠지며, 몇 연이 연속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음수율에서는 3음절과 4음절이 우세하고 음보율에서는 3음보가 많은데, 율조는 매우 유려하다.
-청산별곡, 가시리 등을 보면 3음보격에 의한 3.3.2조가 주조를 이룬다.
(4) 속요의 내용
-주로 남녀 간의 사랑, 자연에 대한 예찬, 이별의 안타까움 등 평민들의 생활과 감정을 진솔하게 나타낸 노래로, 허식이 없고, 감정과 정서의 표출이 매우 절절하다.
-이 중 남녀 간의 애정을 노래한 것에 대해 조선조 학자들이 '남녀 상열지사'는 '사리부재(노래말이 저속한 것은 문헌에 싣지 못한다)'라 하여 문헌에서 삭제하기도 하였다.
이별 - 서경별곡, 가시리
연모, 연군 - 동동
사친 - 사모곡, 상저가
남녀상열 - 쌍화점, 만전춘, 이상곡
지조 - 정석가
주술 - 처용가(고려 시대의 속요)
무상, 현실도피 - 청산별곡
(5) 속요의 국문학상 의의
고려 속요는 적나라한 인간성과 풍부한 정서가 유려한 국어의 구사 속에서 뛰어나게 형상화된 것이어서 국문학의 중요한 유산으로 가치가 크다.
(6) 속요의 정착 시기
고려 속요는 원래 민간에서 유포 전승되는 민요가 궁중의 속악 가사로 수용되고 개편되었다가 한글 창제 이후에 악장가사, 악학궤범, 시용향악보 등에 채록되어 전하고 있다. 그 외 고려 속요가 실린 곳은 악학편고와 소악부가 있다.
(7) 작품
작 품 명 | 연 대 | 성 격 | 형 식 | 내 용 | 후 렴 구 | 비 고 |
처 용 가 | 미 상 | 逐邪 (주술적) |
非聯詩 | 향가인 처용가를 부연해서 부른 巫歌로 희곡적으로 구성된 노래 | ||
청산별곡 | 미 상 | 현실도피 | 8연, 3.3.2조 |
현실도피적인 생활상과 실연의 애환을 담은 인생무상을 노래(비애,고독,체념,도피 등) |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 |
서경별곡 | 미 상 | 別離의 情恨 | 3연, 3.3.2조 |
대동강에서 임을 송별한 이별의 노래. 강물, 나루터의 공간에서 이루어진 극적 이별 | 위 두어령셩 두어령셩 다링디리 | |
가 시 리 | 미 상 | 4연 | 남녀간의 애끓는 이별을 절실하게 읊은 노래. 이별의 한,체념,기다림의 전통적 女心을 노래 | 위 증즐가 太平聖代 | 일명 귀호곡 | |
동 동 | 미 상 | 頌 禱 | 13연, 월령체 |
그 달 그 달의 자연 풍경이나 행사에 따라 남녀간의 사랑을 읊은 최초의 월령체가 | 아으 동동다리 | 월령체 노래의 효시 |
정 석 가 | 미 상 | 6 연 | 임금의 만수무강을 축원하고 연모하는 심정을 나타냄. 불가능한 상황 설정-만수무강 송축 | |||
사 모 곡 | 미 상 | 孝 心 | 5구체, 비연시 |
어머니의 지극한 사랑을 읊은 노래. 아버지의 사랑을 호미에, 어머니의 사랑을 낫에 비유 | 위 덩더둥셩 | 곡조명;엇노리. '목주가'와 연관 |
상 저 가 | 미 상 | 4구체,비연시 | 방아를 찧으면서 부르는 노동요 | 백결 선생의 '대악'의 후신 | ||
이 상 곡 | 미 상 | 솔직, 담백한 사랑의 표현 |
비연시 | 남녀간의 정을 읊은 淫奔女의 노래 | ||
만 전 춘 | 미 상 | 5 연 | 남녀간의 사랑을 읊은 노래 | 형식이 시조와 비슷 | ||
쌍 화 점 | 충렬왕 | 4 연 | 남녀간의 적나라한 사랑을 표현한 遊女의 노래 | 더러둥셩 다리러디러 다로러디러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 ||
유 구 곡 |
충렬왕 | 애조가 | 비연시 | 비둘기를 빌어 연정을 노래. 또는 정치 풍자 | 예종의 '벌곡조'와 유사 |
(8) 소악부 - 속요가 한역되어 전함 : 노랫말 없이 이름과 배경 설화만 전해지는 노래
① 거사련 - 남편을 기다리며 읊은 노래
② 오관산 - 효자 문충이 홀어머니에 대한 효성을 노래
③ 사리화 - 관리와 토호가 백성의 재물을 빼앗아 감을 노래
④ 장 암 - 장암의 노인이 평장사 두영철의 근신하지 않음을 노래
⑤ 제위보 - 제위보에서 일하던 여인이 손을 잡혀 원망스럽고 부끄러워 불렀다는 노래.
⑥ 예성강곡 - 당상 하두강에게 내기 바둑에 지고 아내를 빼앗겨 부른 노래
⑦ 월정화 - 위제만이 진주 기생 월정화에 혹해 아내가 죽자 고을 사람들이 부인을 애도해 부른 노래.
(9) 고려 속요와 다른 시가와의 비교
① 향가와 고려 속요
-형식상의 특징으로 보아 고려 속요는 향가와 민요의 영향 속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고려 속요는 향가와는 달리 문자로 정착되지 못한 채, 민중 속에서 입으로 구전되는 동안 일종의 민요처럼 발전하게 되었다.
② 경기체가와 고려 속요
-3음절을 주조로 하고 구수율 6구를 기준하여 대체로 분장된다는 점은 공통점으로 지적
-경기체가가 고려 시대 사대부 문인들에 의해 지어진 귀족 문학적 성격을 가지고 있는데 대하여, 고려 속요는 민중 사회에서 널리 불리어진 평민 문학으로서, 평민들의 진솔한 감정이 반영되어 있다는 점이 서로 다르다.
③ 단가와 고려 속요
-단가는 고려 속요에 그 연원을 두고 있다고 하겠다. 그 일례로 단가의 분장식 형식은 아무래도 고려 속요의 분장식 특징과 관련된다고 하겠다. 또한 만전춘의 일장은 바로 단가형으로 되어 있다.
(10) 고려 속요의 후렴구
-고려 속요의 형식상 특징의 하나는 대부분 분연체 3음보로 되어 있고, 각 연마다 후렴구를 동반한다는 것이다.
-후렴구는 10구체 향가의 마지막 2구에서(이를 낙구라 한다.)그 전통을 이어, 후대 단가의 종장 첫구의 형식으로 발전했다고 보여진다.
-또, 후렴구는 민요가 가지는 특징의 하나로, 속요가 민요적 성격을 띠는 것도 민중 속에서 구전되었다는 점과 후렴구를 동반한다는 데 있다.
정읍사 : 어긔야 어강됴리 아으 다롱디리
서경별곡 :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가시리 : 위 증즐가 大平盛大
정석가 :
이상곡 : 다롱디우셔 마득사리 마득너즈세 너우지
사모곡 : 위 덩더둥셩
쌍화점 : 더렁둥셩 다리러 디러 다리러디러 다로러 거디러 다로러
3. 서사 문학의 발달과 민족 서사시
(1) 발달 배경 : 외세의 잦은 침입 속에서 민족의 자긍심을 높이고 민족의식을 고취하기 위하여 건국신화와 영웅설화 발굴 작업을 함
① 고려 건국신화와 영웅적 인물 설화( 균여, 강감찬 설화)
② 설화의 전승 문헌 [수이전], [삼국유사], [해동고승전], [대동운부군옥]
대표설화 : 쌍녀분, 최치원, 조신전
대표서사문학 : 동명왕편, 제왕운기
4. 새로운 문학 담당층의 대두
※ 배경 : 무신란으로 고려 전기의 문벌 귀족들이 몰락하고 새로운 문인들이 등장하게 됨
(1) 죽림고회 : 죽림고회의 문학
무신란 후, 산수를 찾아 고결한 문학을 표방하던 吳世才, 林椿, 李仁老 등 7명이 竹林高會를 열었다.
오세재는 상당한 집안의 선비였으나 일거에 몰락하여 어려운 생활을 하였다. 신세를 한탄하고 과거에 급하기를 바랐다. 임춘은 가장 불행했던 문인으로 30대에 요절했다. 이인로가 편찬한 『西河先生集』이 오늘날까지 전한다. 몰락한 자신의 처지를 인식하고 갈등과 충격을 생동감 있게 드러내어 문학사의 전환에 기여했으며 「孔方傳」, 「麴醇傳」 등의 가전체 소설도 지었다.
이인로는 죽림고회의 중심 인물이었으면서도 벼슬이 정4품에 이르는 등, 홀로 성공했다. 그럼에도 영화를 누리지 못하는데 불만을 품고 좌절된 의지를 문학에서 살리고자 하였다. 최초의 詩話集인 『破閑集』을 지어 문학은 절대적 가치를 지니고, 표현을 공교롭게 다듬는 것이 가치를 발휘하는 길이라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자신의 처지를 한탄했던 죽림고회의 다른 시인들과는 조금 다른 문학관을 지녔다. 그의 글은 用事를 중시한 까닭에 현실의 문제와 만나는 것을 피했다.
(2) 신진사인 : 무신란 이후 지방에서 새롭게 진출한 지식인. 이규보 등
(3) 신흥 사대부 :
신흥사대부는 본래 지방의 중소 지주에 지나지 않는 향리 출신으로 그들은 권문세족에 비해 불리한 처지를 사상적거나 문화적 역량으로 극복, 역사 창조의 방향과 논리를 휘어잡을 수 있었기에 승리할 수 있었다. 원나라 수도를 자주 드나들던 사대부 문인들은 古文과 新儒學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자신들의 사고 방식을 구현하며 문화의 혁신을 꾀하였다. 그들은 고향에 대한 애착으로 그곳에 사는 하층민의 처지를 대변하였고 그로 인해 자신의 지위를 안정시켰으며, 농민들을 살리기 위해서 전제 개혁을 단행, 토지 분배의 실현을 위한 문학을 추구하였다.
(4) 새로운 문학의 갈래 등장
① 경기체가
② 시조
③ 전
5. 경기체가
고려 예종 때부터 조선 선조까지 약 350년 간의 별곡체 시가를 말하는 것으로, 고려 중기 한시문에 익숙한 귀족 문인들 사이에서 발생한 독특한 형태의 정형시
(1) 형식
분절체
'위~경긔 엇더하니잇고'의 후렴구
3 3 4조의 3음보
'한문+이두'로 표기
매 장은 다시 전후 양절로 나뉘어져 전절은 길고 후절은 짧음
전대절 : 3 3 4, 3 3 3, 4 4 4 爲 2(4) 景幾何如
후소절 : 4 4 爲 2(4) 景幾何如
(2) 내용
퇴폐적 고답적 현실 도피적 내용의 귀족 문학
(3) 작품
작품명 | 연 대 | 작 자 | 형 식 | 내 용 | 출 전 |
한림별곡 | 고려 고종때 |
한림제유 | 8연 3․3․4조 | 시부,서적,명필,명주,화훼,음악,누각,추천을 노래.경기체가의 효시(한문과 국어) | 악장가사 고 려 사 |
관동별곡 | 고려 충숙왕 |
안 축 | 8연 3․3․4조 | 관동의 절경을 읊음(한문과 이두) | 근재집 |
죽계별곡 | 고려 충숙왕 |
안 축 | 5연 | 고향인 풍기 순흥의 절경을 읊음 (한문과 이두) | 근재집 |
(4) 특징
구문 구조상 서술적 연결이 생략된 명사 혹은 한문 단구형의 나열이 압도적이다.
한 연의 중간 과 끝에서 '爲 景 긔 엇더니잇고', 혹은 이에 상응하는 감탄적 문장으로 집약하는 구조를 지닌다.
일정한 사물, 사실들을 나열하고 정형화된 감탄구로써 집약하는 시적 구조이다.
서정시가 대체로 특정한 상황 속에서는 체험, 생각, 느낌, 소망들을 일련의 유기적 형상으로 드러내는데 비하여, 경기체가는 외부 세계에 존재하는 사물, 행위, 관념들을 순차적으로 나열하고 종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즉 작품 외적 세계의 사실들을 작품 안에 옮겨 놓아 이루어진 교술 장르이다.
(5) 의의
내용면에서는 문학성이 결여되어 있다고 하겠지만 운율적으로는 한국적 운율과 정제된 형식미를 갖추면서 향가 이후 우리의 정서를 표현할 새로운 시형의 모색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경기체가는 문학적 가치는 다소 결여되었다고 하나 문학사적인 가치는 크다고 하겠다.
6. 시조 :
(1) 정의
고려 중엽에 발생하여 고려 말에 완성된 문학 형태로, 조선 시대를 거쳐 지금까지 계승된 우리의 고유의 정형 시가.
(2) 발전과정
10구체의 향가 : 전 8구가 2장, 후 2구가 1장(전 3장형)
3장 6구 : 고려 가요의 분장 형태가 6구체로 굳어짐
종장의 첫구 3자 : 사뇌가의 후렴구인 '아으'의 유음
고대 민요 향가(10구체의 끝 2구) 고려 가요(만전춘 별사) 시조
(3) 기원설
향가 기원설 - 10구체 향가의 전 8구가 2장, 후 2구가 1장이 됨
시조 종장 첫구 3자 : 사뇌가 후렴구인 '아으'와 관련
고려가요 기원설 - '사모곡''정읍사'의 6구체, '만전춘별사'의 3행시
민요 기원설 - '모내기 노래'의 4음보격 2행시 형태에 1행 추가
기타 : 무당의 노랫가락 기원설, 한시 번역 과정설 등
(4) 형식
3장 6구체 , 3 4조 혹은 4 4조, 4음보 형식
(5) 내용
유교적 충의 사상을 노래한 시조들이 많다. 여말 선초 고려의 유신들이 지은 회고가나 사육신들의 절의가 등이 이러한 내용을 담고 있는 대표적인 작품이다.
자연 속의 한가롭고 평화로운 삶을 노래한 작품들도 많다. 이러한 작품들 역시 순수한 자연을 노래한 것이라기보다는 유교적 충의 이념과 결부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기녀들의 작품에는 그들의 애정 세계가 진솔하게 표현되어 있다.
(6) 종류
평시조 - 시조의 기본형으로 단형 시조라 한다.
엇시조 - 평시조의 초장, 중장 중 어느 한 구가 길어진 시조. 영.정조 시대에 많이 발달하였다. 중형시조라고도 한다.
사설시조 - 3장 중 두 구 이상이 평시조보다 훨씬 길어진 시조. 영정조 시대에 많이 발달하였다. 장형시조라고도 한다.
연시조 - 내용상으로 연결된 2수 이상의 기본형을 나열하여 한 편의 작품을 이룬 것
(7) 작가
이조년, 이색, 최영, 정몽주, 이방원 등
(8) 명칭 :
원래 단가라고 불려 오던 것을 조선 영조 때의 가객 이세춘이 '시조'라는 새로운 곡조를 만들어 부른데서 생긴 이름
(9) 의의
우리 나라 고유의 정형시
현대 시조로까지 계승된 우리 나라의 대표적 문학 장르
7. 가사
가사의 첫 작품으로는 나옹화상 혜근의 [승원가],[서왕가]를 드는 것이 보통. 가사는 처음에 구전되는 불교가사로 시작됐다고 본다.
8. 패관문학과 전의 발달
(1) 패관 문학
① 개념 : 고려 후기에 시화(詩話)를 중심으로 민간에 구전되는 이야기를 한문으로 기록한 문학
② 특징 : 채록자의 견해가 가미되어 수필적 성격을 띰
③ 소설의 전신이 됨
④ 작품집
작품명 | 작가 | 연대 | 내용 |
수이전 | 박인량 | 문종 | 부전. 최초의 순수 설화집. 연오랑 세오녀, 호원 등 9편이 [삼국유사], [해동고승전]에 실림 |
백운소설 | 이규보 | 고종 | 시화집. 문담, 시평, 시작 이론 등 28편이 홍만종의 [시화 총림]에 전함 |
파한집 | 이인로 | 고종 | 선현들의 명문장이나 명구를 채록하고, 시화, 문담, 기사, 자작, 고사, 풍물 등을 기록함 |
보한집 | 최자 | 고종 | [파한집]을 보충한 수필 시화집. 시평, 거리에 떠도는 이야기, 흥미 있는 사실 등을 기록함 |
역옹패설 | 이제현 | 고려말 | [익재난고]의 권말에 수록. ‘소악부’에 고려 속요가 한역 되어 있음. 이문, 기사, 시문, 서화, 인물에 관한 이야기 |
(2) 전
① 개념 : 교훈을 목적으로 사람의 일생을 압축, 서술한 교술 문학
② 의의 : 설화와 소설의 교량적 역할
③ 종류
ㄱ. 인물전 : 어떤 인물의 가치 있는 행적을 기록한 것.
이숭인의 [배열부전], 이곡의 [절부 조씨전]
ㄴ. 가전 : 계세징인(戒世懲人)을 목적으로 사물을 의인화하여 그 일생을 다룬 것.
④ 작품
작품명 | 작가 | 연대 | 출전 | 내용 |
국순전 | 임춘 | 인종 | 동문선 | 술을 의인화하여 그것이 지닌 매력과 지나쳐서 생기는 폐단을 표현 |
공방전 | 임춘 | 인종 | 동문선 | 엽전, 곧 돈을 의인화하여 돈의 폐해를 경개함 |
국선생전 | 이규보 | 고종 | 동문선 | 술을 의인화하여 그 생애를 보이고, 군자의 처신을 경계함 |
청강사자현부전 | 이규보 | 고종 | 동문선 | 거북을 의인화하여 , 아무리 능력이 있어도 항상 매사에 신중을 기해야 하을 맹세 |
죽부인전 | 이곡 | 공민왕 | 동문선 | 대나무를 의니화하여, 여자의 굳은 절개와 지조를 나타냄 |
저생전 | 이첨 | 고려말 | 동문선 | 종이를 의인화하여, 종이의 내력을 적음으로써, 글하는 선비들의 행동 규범을 보임 |
정시자전 | 석식영암 | 고려말 | 동문선 | 지팡이를 의인화하여, 사람은 자기 스스로를 알아야 함을 경계함 |
3. 국문 문학의 정착과 시가의 난숙
<시대개관>
1. 조선건국(14C말)부터 임진왜란(16C말)까지 약 200년 간
2. 훈민정음의 창제(1443창제, 1446 반포)
- 구비 문학의 기재(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 우리 글로 문학 작품을 창작하게 됨,
- 한문 전적(典籍)의 번역[諺解(언해)]-국문학의 발전을 촉진함
3. 악장의 출현 - 조선 왕조의 건국 위업을 찬양, 왕실의 무궁한 발전을 축원, 궁중 음악
4. 설화의 발전과 중국 소설의 영향으로 전기체 소설 등장(한문 소설)
5. 가사의 출현(경기체가의 붕괴로), 시조와 더불어 형식면에서 운문 문학이 지배적임
6. 귀족, 양반 계층이 주축이 됨
7. 사상적 배경 - 유교 불교 사상을 바탕으로 함, 성리학(性理學)의 도입
< 악 장(樂章) >
1. 악장의 개념
- 일정한 형태상 특징보다는 조선 왕조를 송축하는 내용에 의해 설정된 장르
- 국문학과는 직접 관계가 없는 음악과 관련된 명칭(국문학의 형태명이 되었다.)
- 조선 초 궁중의 연락(宴樂)이나 종묘제악(宗廟祭樂)에 쓰인 주악(奏樂)의 가사
2. 작 가 - 귀족계급(신흥사대부), 조선 건국 士大夫(사대부)들이 창작
3. 형 식 - 기본형으로 2절 4구의 형식을 갖춘 것이 典型(전형)적인 악장(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이지만 변조형으로 기존 문학 형식+ 송축적 내용 또는 종묘제악용 가사만을 붙인 악장들이 있다.(속요체, 경기체가체, 한시체) = 일정한 규범 형식이 없다.
4. 내 용 - 조선건국의 정당성 홍보, 새로운 문물제도 찬양, 임금의 만수무강 기원, 자손번영 축원, 목적성이 강한 문학, 송축의 노래
5. 성격과 문학적 전개
- 과장과 阿諛(아유-아첨하는 노래)가 심함(문학성이 약함),
- 궁중연회 등 특수한 목적에 사용하여 귀족 계층이 향유
→ 향유 계층 및 작가계층 한정, 평민층에 확대되지 않아 소멸
6. 사 상 - 유교적 충의사상
7. 작품일람
형식 | 작품명 | 연 대 | 작 자 | 출 전 | 내 용 |
신 체 (2절4구체) |
용비어천가 (龍飛御天歌) |
세종27 | 정인지 권 제 안 지 |
용비어천가 | 조선 6조의 건국 위업 찬양과 후대 왕에게 勸戒(권계)의 뜻을 일깨움, 125장, 영웅 서사시적 성격 |
월인천강지곡 (月印千江之曲) |
세종29 | 세 종 | 월인천강지곡 | 석보상절의 석가공덕을 보고 지은 석가모니의 찬송가 | |
속요체 | 신도가(新都歌) | 태조3 | 정도전 | 악장가사 | 태조의 덕과 한양의 경치를 찬양함 |
감군은(感君恩) | 명종1 | 상 진 | 악장가사 | 임금의 은덕을 칭송함[감축] | |
경기체가체 | 상대별곡 (霜臺別曲) |
정종-태종 | 권 근 | 악장가사 | 사헌부의 생활을 통한 조선의 제도․문물의 왕성함을 찬양함 |
화산별곡 (華山別曲) |
세종7 | 변계량 | 세종실록 | 조선의 개국 창업을 찬양함 |
|
한시체 | 문덕곡(文德曲) | 태조2 | 정도전 | 악학궤범 | 태조의 문덕을 찬양함 |
정동방곡 (靖東方曲) |
태조2 | 정도전 | 악학궤범악장가사 | 태조의 위화도 회군을 찬양함 | |
납씨가(納氏歌) | 태조2 | 정도전 | 악학궤범 | 태조가 야인을 격파한 武功(무공)을 노래 | |
봉황음(鳳凰吟) | 세종11 | 윤 회 | 악학궤범 | 조선의 문물과 왕가의 축수(祝壽)를 노래 |
<諺解(언해)>
1. 개념 - 중국에서 들어 온 佛經(불경), 經書(경서), 文學(문학) 류 등을 훈민정음 창제와 더불어 우리말로 번역한 것을 말함
2. 의의 - 중국 문학이 소개되어 우리 문학 영역이 확대, 조선 초기 국어 연구의 귀중한 자료, 국문학과 중국 문학의 비교 연구 자료
3. 특징 - 번역 사업은 조정에서 관장,
홍문관(경서 언해- 성종 때 유학의 경전 번역),
간경도감(불경 언해- 세조 때)
4. 번역서
① 운서 - 韻會飜譯(운회번역), 洪武正韻譯訓(홍무정운역훈) : 집현전, 언문청
② 불경 - 釋譜詳節(석보상절) : 석가모니의 일대기를 산문체로 번역한 전기 문학,
月印釋譜(월인석보) : 월인천강지곡(세종)+석보상절(세조)
능엄경언해, 妙法蓮華經 諺解(묘법연화경 언해)
③ 경서 - 內訓(내훈), 三綱行實圖諺解(삼강행실도언해), 飜譯小學(번역소학), 孝經諺解(효경언해), 四書諺解(사서언해)
④ 문학 - 分類杜工部詩諺解(분류두공부시언해) : 성종(초간본), 인조(중간본), 조위, 의침이 난세를 맞dl하여 어려운 생애를 보내면서도 임금을 생각하고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을 잘 나타낸 당나라 杜甫(두보)의 시 1,451편을 번역
- 聯珠詩格諺解(연주시격언해) : 성종, 서거정, 노사신, 유윤겸이 번역함, 不傳(부전)
- 黃山谷詩集諺解(황산곡시집언해): 성종, 서거정, 노사신, 유윤겸이 송나라 황정견의 시 번역
5. 번역 문학과 산문 - 조선 전기의 한문 표기 산문은 번역체 산문이 주종을 이룸
※ 두시언해
원제(原題) [분류두공부시언해](25권 17책)
① 의의
. 국문학사 : 최초의 번역시집
. 국어학사 : 초간본과 중간본이 약 150년의 차이가 있어 임란 전후의 국어의 변화를 살피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됨
② 간행 경위
. 역주(譯註) : 세종 때 두보의 시에 능통한 유윤겸이 한문으로 주석을 달았다.
. 초간본 간행 : 성종 12년(1481)에 조위, 승려인 의침, 유윤겸 등이 활자본간행
. 중간본 간행 : 인조 10년(1632)에 오숙, 김상복이 목판본으로 간행
③ 두보의 시를 '언해'한 이유
두보의 시는 사상적 배경이 유교적이고, 그 정서가 우국적(憂國的)이며, 시의 기법이 엄정하여 한시의 모범이 된다고 여겨 이를 일반화하기 위해 언해함.
④ 두시언해 초간본과 중간본의 비교
초간본 (鑄字本, 주자본) | 중간본 (木刻本, 목각본) | |
간행연대 | 성종 12(1481) 12월 상순 | 인조 10(1632) 2월 상순 |
서문 | 조위 | 장유 |
방점 | 촵(둥근 형이 아님) | 방점이 없음 |
음운 | (1) 주격 '이'사용 (2) 壙와 胱을 분별하여 사용 (3) 咬자 사용 (4) 자음접변 현상이 뚜렷하지는 않음 (5) 구개음화 현상이 나타나지 않음 (6) 삽입모음현상이 규칙적 |
(1) '이' > '가' (2) 壙, 胱 > ㅇ (3) 咬자 사용 (4) 자음접변이 뚜렷하게 나타남 (5) 간혹 구개음화 현상 보임 (6) 삽입모음현상이 불규칙적 |
철자 | 연철 | 어간과 어미를 간혹 분별(분철) |
※ 소학언해
① 연대 : 선조 19(1586)
② 언해자 : 교정청(校正廳)의 여러 학자(정구, 최영경 등)
③ 간행경위 및 판본 : 중종 때 발간한 [번역 소학]이 의역(意譯-뜻 중심 번역, 원문 소홀)에 치우쳤기에 이를 바로 잡고자 직역(直譯-원문 중시)
☞ [번역소학(飜譯小學)] | ☞ [어제소학언해(御製小學諺解)] |
* 간행연대 : 중종 12(1517) | * 간행연대 : 영조 20(1744) |
* 간행처 : 홍문관 | * 언해작업 : 선조판을 고쳐 다시 발간 |
* 언해자 : 김전,최숙생 | * 표기 : 18-19세기 표기법, 직역 중심. |
* 표기상 특징 : 반치음,옛이응,방점 사용 |
④ 의의 : 중세국어의 마지막 문헌 자료로서의 가치(16세기 국어)
⑤ 표기상 특징
㉠ 壙은 거의 소멸. 단 胱은 사용됨.
㉡ 방점이 사용됨
㉢ 모음 조화의 문란
㉣ 끊어적기가 많이 보임
㉤ 명사형 어미 '-기'의 등장
㉥ 명사형 어미 '-옴/움'에서 '-오/-우'의 탈락이 보임.
㉦ 한자 옆에 한글을 병기(竝記)함.
<景氣體歌(경기체가)와 사대부 歌辭(가사)의 定着(정착)>
1. 경기체가
① 경기체가는 이 시기에 와서도 계속 이어짐
② 조선 초기의 송축류는 악장으로 불리워짐- 權近(권근)의 '霜臺別曲(상대별곡),
卞季良(변계량)의 '花山別曲(화산별곡)
③ 작품
작 품 | 시 기 | 작 가 | 내 용 |
不憂軒歌(불우헌가) | 성 종 | 정극인 | 田園(전원)의 閑情(한정)과 聖恩(성은)을 노래함, 이두표기, 불우헌집 |
花田別曲(화전별곡) | 중 종 | 김 구 | 유배지 해남 花田(화전)의 경치와 그곳에서의 생활을 노래함 |
道 德 歌(도덕가) | 중 종 | 주제붕 | 道東曲(도동곡),儼然曲(엄연곡), 太平曲(태평곡), 六賢歌(육현가)를 합한 노래 |
獨樂八曲(독락팔곡) | 선 조 | 권호문 | 자연에서 느낀 기쁨을 노래, 전 8장 |
忠孝歌(충효가) | 철 종 | 민 규 | 유영일의 효행을 칭송함 |
2. 가사
① 가사는 현실적이고 설득적인 유교 이념을 표현하는 데 가장 알맞은 형태였기 때문에 광범위한 지반 획득.
② 고려 말엽 전후 발생 조선시대 본격 발전.
③ 경기체가 붕괴에서(경기체가의 연 구분이-연속체-이 없어지고 운율이 3(4). 4조로 변형되면서 가사 발생) 발생한 교술적 장르. 형식상 4음보의 운문이며, 내용상 수필적 산문임
④ 형식- ㉠ 4 . 4조의 4음보 연속체인 운문 형식
㉡ 낙구(마지막 구절)가 시조의 종장과 동일함. 3 . 5 . 4 . 3의 음수율
㉢ 정격가사- 마지막 구가 시조 종장의 운율과 같은 것(전기 가사),
변격가사- 끝구도 4 . 4조의 연속, 조선 후기에 나타남
⑤ 내용- 연군(戀君), 감군은(感君恩)=임금에 대한 은총,
유유자적(悠悠自適)한 자연 생활= 강호한정(江湖閑情)의 정서 노래.
⑥ 의의- ㉠ 시조와 더불어 조선조 양반 문학을 대표하는 문학형식.
㉡ 형식의 율문성과 내용의 산문성(산문과 운문의 중간적 성격을 지닌 과도기적 문학)
⑦ 분류- 내용에 따라 은일 가사(隱逸歌辭), 유배 가사(流配歌辭), 기행 가사(紀行歌辭), 도학 가사(道學歌辭), 충신연군지사(忠臣戀君之辭)로 나누어진다.
⑧ 기타- ㉠ 강호가도(江湖歌道)를 노래한 가사의 계보
상춘곡(賞春曲) → 면앙정가(면仰亭歌) → 성산별곡(星山別曲)
㉡ 시조와 가사의 비교
가사 | 시조 | |
공통점 | 3(4) . 4조의 운율(4음보), 종장의 운율(3 . 5 . 4 . 3) | |
차이점 | 교술 장르, 4음보의 연속체 | 서정 장르, 구, 행의 제한 |
⑨ 작품
분류 | 작품 | 연대 | 작자 | 내용 |
은일가사 | 상 춘 곡 (賞 春 曲) |
성 종 | 정극인 (鄭克仁) |
태인(泰仁)에서의 은거 생활. 가사의 효시. 춘경(春景) 노래, 면앙정가에 영향을 줌. 불우헌집 수록. |
면앙정가 (면仰亭歌) |
중 종19 | 송 순 (宋 純) |
향리인 담양에 면앙정을 짓고 나서, 그 곳의 자연과 정취를 노래함. 사시사(四時辭), 원근 표현, 성산별곡에 영향을 줌. | |
성산별곡 (星山別曲) |
명 종 15 | 정철(鄭澈) | 성산의 자연미를 읊음. 송강가사에 수록됨. | |
강촌별곡 (江村別曲) |
선 조 | 차천로 (車天輅) |
전원의 한정(閑情)을 읊음. | |
유배가사 | 만 분 가 (萬 憤 歌) |
연산군 | 조 위 (曺 偉) |
무오사화 때 유배지 전남 순천(順天)에서 지음. 유배가사의 효시. |
기행가사 | 관서별곡 (關西別曲) |
명 종 11 | 백광홍 (白光弘) |
기산별곡(箕山別曲)과 향산별곡(香山別曲)으로 됨. 정 철의 관동별곡에 영향을 줌. |
관동별곡 (關東別曲) |
선 조 13 | 정철(鄭 澈) | 강원도 관찰사로 부임하여 그 곳의 자연을 노래한 기행가사. | |
연군가사 | 사미인곡 (思美人曲) |
선 조 | 〃 | 충신연주지사. 창평에 귀양가서 지음. 독백체.사시사(四時辭) 유배가사 |
속미인곡 (續美人曲) |
선 조 | 〃 | 사미인곡의 속편. 두 여인의 대화체 형식으로 된 충신연주지사. 유배가사 | |
내방가사 | 규 원 가 (閨 怨 歌) |
선 조 | 허난설헌 (許蘭雪軒) |
가정에 파묻힌 여자의 애원을 노래함, 원부사(怨夫辭) |
<자연미(自然美)의 발견과 강호가도(江湖歌道)
-평시조(平時調)>
1. 시조의 간결한 양식을 성리학을 중심으로 한 상류층 계급인 양반들의 높은 교양을 담백하게 표현하기에 적합하였기에 양반 문학의 한 주류를 형성.- 국문 서정시의 주류로 부상
2. 영역 확대- 처음에는 충의(忠義)를 주제로 출발하여 점차 애정과 도학의 세계에까지 나아갔다.
3. 자연미의 발견(자연에 도학적 의미 부여)
정국이 안정되고 왕조의 기틀이 잡힌 뒤로는 유교 사상과 함께 노장(老莊)의 무위자연(無爲自然)에 영향을 받아 자연 속에서 한가롭고 평화로운 자연미를 완성하게 되었다.
4. 강호가도(江湖歌道)
① 개념- 자연에 도학적인 의미를 부여하여 그것과의 일치를 추구
② 시조가 그 영역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이 강호가도가 뚜렷한 흐름을 형성, 영남가단과 호남가단을 이루는 성황을 이루었다.
③ 강호가단의 두 계보
㉠ 영남가단(嶺南歌壇)-심성(心性)을 닦는 것을 우위로 내세웠다. 시문보다 선비로서 마땅히 실행해야 할 도리를 찾자는 강호가도 구현 이현보, 주세붕, 이황, 권호문
㉡ 호남가단(湖南歌壇)- 풍류(風流) 족에 기울어졌다. 자기 합리화의 성명 없이 작품을 통해 감회를 드러내었고, 도리를 따지지 않고 풍류를 자랑하였다. 송순, 김인후, 김성원, 정철 등이 있다.
5. 연시조- 한 제목 아래 2수 이상의 평시조로 이루어 진 것
6. 시조의 종류
㉠ 평 시 조- 시조의 기본형(음악상-평시조)
㉡ 엇 시 조- 중형시조, 종장의 제 1구를 제외한 어느 한 구절이 길어짐(음악상-중어리시조)
㉢ 사설시조- 장형시조, 종장의 제 1구를 제외한 2구 이상이 길어짐(지름시조)
7. 작품 개관
작 품 | 연 대 | 작 자 | 내 용 |
회 고 가 | 태 조 | 정도전 | 고려의 흥망을 통해 역사의 무상함을 노래함. |
강호사시가 | 세 종 | 맹사성 | 4수. 일명 '사시한정가(四時閑情歌)'. 최초의 연시조. |
호 기 가 | 세 종 | 김종서 | 장군의 기개를 노래함 |
충 의 가 | 세 조 | 성삼문 | 단종에 대한 일편단심(一片丹心) 노래 |
충 의 가 | 세 조 | 박팽년 | 단종에 대한 충성심 노래 |
오 륜 가 | 중 종 | 주세붕 | 6수. 삼강 오륜(三綱五倫)을 노래한 교훈적 시조, 연시조 |
어 부 가 | 명 종 | 이현보 | 5수. 장가 9편을 포함. 윤선도의 어부사시사에 영향을 줌, 연시조 |
자상특사황국 옥당가 |
명 종 | 송순 | 명종이 옥당에 보낸 국화를 받고 지어 바친 즉흥시조, 충의 표현 |
농 암 가 | 명 종 | 이현보 | 고향의 농암이라는 바위에 올라가 지은 시조 |
효 빈 가 | 명 종 | 이현보 | 도연명의 '귀거래사(歸去來辭)'를 본뜸 |
도산십이곡 | 명 종 | 이 황 | 12수. 일명 도산 6곡(전 6곡-언지(言志), 후 6곡-언학(言學)). 자연의 관조와 학문의 길 |
고산구곡가 | 선 조 | 이 이 | 10수. 일명 석담구곡가. 주자의 무이구곡가를 본뜸. |
한거십팔곡 | 선 조 | 권호문 | 18수. 교훈적인 내용과 인생관이 나타남 |
훈 민 가 | 선 조 | 정 철 | 16수.경민편(警民篇)이라고도 하며 오륜과 도덕을 노래함 |
장진주사 | 선 조 | 정 철 | 최초의 사설시조. 이 백의 장진주(將進酒)에서 영향을 받은 권주가 |
* 여류- 황진이, 홍랑, 송이, 계랑, 홍장, 이매창, 명옥, 천금 등
* 조선초- 회고, 충절, 송축→
세조 즉위- 충절가(사육신 중심).→
성종 이후- 자연 속 유유자적(낙천적 인생관), 작가 계층 확대(기녀 참가)
* 여류 시조의 문학사적 의의
여류시조는 그 작자가 대부분 기녀들이었다. 비록 천민에 속하는 계급이었지만, 그들의 교양은 선비들에 견주어 어느 면에서도 손색이 없었다. 이들의 시조는 여성만이 지닌 섬세한 감정으로 진실하면서도 절실하게 사랑을 노래한 까닭에 더욱 감동적이다.
특히 사대부들의 시조와는 달리 여성 특유의 우아한 정서를 전달하고 있으며,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시적 언어로 발전시키고 있다. 이들 작자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없으나, 시조에 얽힌 일화가 많이 전하고 있어 그들의 면모를 읽을 수 있다.
* 황진이의 작품 세계
다정다감하면서도 기예에 두루 능한 명기였던 황진이는 시조를 통하여 뛰어난 문학적 재능을 유감없이 발휘했다. 주로 사랑에 얽힌 내용을 담은 그의 작품들은 사대부 시조에서는 생각할 수 없었던 표현을 갖춤으로써 관습화되어 가던 시조에 활력을 불어넣었다고 평가된다.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에 대한 체념을 '청산은 내 뜻'이라고 역설적인 자기 과시로 표현하거나 왕족인 벽계수를 벽계수에 견주어 유혹할 수 있는 등의 재치는 황진이만이 할 수 있는 독보적인 것이었다. 황진이의 시조에 이르러서야 기녀 시조가 본격화되는 동시에 시조문학이 높은 수준에 달했다고 할 수 있다. 황진의 '동짓달 기나긴 밤을'은 한역시가 전한다.
▲ 청산리 벽계수야 - 황진이
▲ 마음이 어린 후이니 - 서경덕
* 연시조란?
45자 내외의 평시조만으로는 정서 표현에 부족을 느꼈던 조선조 사대부들은 평시조를 몇 수씩 연하여 짓는 연형시조 형식을 발견했다.
자연 풍경과 인륜의 교훈적 내용을 담은 이러한 작품에서 그들의 자연에 대한 태도와 유교적 사고의 자취를 읽을 수 있다.
조선 전기에는 강호사시가(맹사성), 오륜가(주세붕), 어부가(이현보), 도산십이곡(이황), 고산구곡가(이이), 훈민가(정철) 등이 있다.
* 현대시조와 고시조의 차이점
구분 | 고 시 조 | 현 대 시 조 |
성격 | 노래의 가사의 일종으로 발달 - 일정한 전문 작가가 없이 많은 사람들에 의해 지어짐 | 노래의 가사라는 면을 벗어나 명확히 시라는 의식 하에 씌어짐 - 일정한 작가(시인)들이 지음. |
종류 | 평시조, 엇시조, 사설시조 | 평시조(단형 시조)가 대종을 이루며, 연시조가 성행 |
내용 | 유교적 이념에 의한 관념적인 주제 일반적 상투적인 내용(충의, 회고, 절의 등) 자연과 인생에 대한 풍류, 또는 달관을 노래함(江湖歌道) 나라의 정치에 대한 내용이 많음. |
개성적이며 자아의 내면을 표현함. 사색적, 관조적 임. 이미지, 상징 등 현대시의 기법을 도입함. 감각적이며 실제적인 내용 제재를 현실에서 많이 구함. |
형식 | 음악으로 부를 때 가곡창과 시조창으로 나뉨. 대부분이 단시조이면서 장별 배행 시조임. 한자어, 관념어의 사용 종장 첫구에 상투적인 감탄사가 많음. 표현상 음악적(청각적)임. 제목이 대개 없음. 대부분 작자 미상임. |
자유시에 가까울 정도로 파격을 하는 경우도 있음. 3연6행(구별배행)의 시조가 많음. 연시조가 많음. 순수한 우리말을 많이 사용함. 표현상 회화적(시각적)임. 제목이 반드시 있음. 작가가 분명함. |
<패관 문학의 융성과 소설의 발생>
1. 패관 문학
① 떠돌던 이야기를 채록하는 관리에 의해 채록(채록 과정에서 창의성 가미, 윤색한 것이 패관 문학임)-소설 문학의 전신
② 전문화되고, 영역별로 분화되는 경향을 보임
㉠ 동인시화(東人詩話)- 서거정이 역대 시문에 대한 일화, 수필, 시화 등을 모아 엮은 비평서
㉡ 필원잡기(筆苑雜記)- 서거정의 수필집으로 일화, 한담(閑談)등을 모아 엮은 책
㉢ 태평한화골계전(太平閑話滑稽傳)- 서거정이 시정(市井)에 떠돌아 다니는 이야기를 수집, 기록한 시화집
㉣ 용재총화(용齋叢話)- 성현이 지은 수필집. 문화(文話), 시화(詩話), 서론(書論), 사화(史話) 등이 기재
㉤ 패관잡기(稗官雜記)- 어숙권의 수필집. 우리 나라의 각종 설화, 시화 등을 편집한 것
㉥ 순 오 지(旬 五 志)- 홍만종이 지은 일종의 문학 평론집
2. 가전체(假傳체)와 몽유록(夢遊錄)-소설에 포함됨
① 가전체- 고려 말의 가전(假傳)의 전통을 이어 받아, 성간의 '용부전(용夫傳-만사에 의욕이 없음 술, 여자를 보고서야 일어난다고 스스로 격하시키는 내용)', 성현의 '부휴자전(浮休子傳-성현 호, 솔직, 순박, 세상 일에 어둡다. 그러나 마음을 잘 다스림)', 정수강의 '포절군전(抱節君傳-대나무를 의인화하여 지조있는 선비의 자세를 나타냄)', 임제의 '수성지(愁城誌-근심의 성인 수성에서 반란이 일어나 '술'과 관련이 있는 장군이 싸움 승리함)', 김우웅의 '천군전(天君傳-천군이 다스리는 마음의 나라얘기)
② 몽유록- 꿈에서 겪은 일을 적은 교술 문학. 꿈 속의 일은 허구이지만, 그 내용은 역사적 사실을 비판적으로 해석한다. 심의의 '대관재몽유록(大觀齋夢遊錄-'문장 왕국'을 설정 최치원이 천자, 이제현이 좌상, 을지문덕 수상, 이규보 우상으로 등장)', 임제의 '원생몽유록(元生夢遊錄-생육신의 한사람인 원회로 추정되는 원자허가 어느 날 꿈 속에서 낯선 곳으로 인도되어 단종과 사육신이 한자리에 모여 이야기를 나눔)'이 있다.
3. 소설(小說)
① 발 생
ㄱ. 설화 ⇒ 패관문학 ⇒ 가전체 ⇒ 고대소설
ㄴ. 중국소설의 영향
ㄷ. 판소리 소살의 발달
② 특징-㉠ 낭독하기에 알맞은 4.4 조의 가사체투를 갖춤.
㉡ 전형적인 인물 설정.
㉢ 문장표현이 文語文으로써 사물을 극히 미화시킴.
㉣ 일상적 현실적인 것과 거리가 먼 신비로운 것을 그림.
㉤ 주제가 권선징악.
㉥ 행복한 결말.
③ 효 시 : 김시습(金時習)의 「금오신화 (金鰲新話)」 (한문소설)-세조 때
㉠ 우리 나라 최초의 고대소설로 작자가 만년에 경주 금오산(지금의 남산)에 들어가 지은 것임.
㉡ 우리 나라를 배경으로 하였고, 등장인물도 우리 나라 사람이라는 데 큰 의의가 있다.
㉢ 현실주의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함.
㉣ 한문 전기 소설
㉤ 명나라 '구우'의 전등신화(剪燈新話)에 영향을 받음
㉥ 5편만이 전함(단편 소설집).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취유부벽정기, -남염부주지, -용궁부연록
*중국소설의 영향
전등신화 ⇒ 금오신화,
서유기 ⇒ 홍길동전, 구운몽, 옥루몽 ,
수호전 ⇒ 홍길동전
삼국지연의 ⇒ 군담소설류
<조선 전기 한문학>
1. 정도전, 권근의 역할- 문학은 도(道)를 싣는 것이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세상을 바로 잡는 실천적 활동과 문학을 연계시켰다.
2. 조선 전기 한문학의 갈래
① 관각 문학(館閣)
㉠ 개 념- '사장파(詞章派-성리학, 문학 둘 다 소중하게 여김. 보수적, 문학 장식적(화려, 격식, 잘 다듬어짐), 한시 중심)'의 문학 . 관각에 종사하는 선비들의 의해 이루어진 문학
㉡ 전성기- ㉵동문선(東文選)'을 편한 서거정에 와서 전성기를 이루었다. 그 후에 성현, 남곤, 이행 등의 학자가 뒤를 이음.
② 사림 문학(士林文學)
㉠ 개념- 지방의 사대부로서 도학(道學)이 문학의 근본임을 주장했던 사림파
(士林波-산림 처사, 자기 성찰 구실, 표현보다는 흥취 중시. 시조 ,가사 중심)
㉡ 길재, 김종직, 김일손, 김굉필, 조광조, 서경덕, 이황, 이이 등이 활약
③ 김시습- 세상을 등진 채 독자적인 문학 세계 구축
④ 삼당(三唐) 시인- 백광훈, 최경창, 이달이 당시(唐詩)에서 몹시 뛰어났다.
(세태의 절실한 경험이 없이 사변적, 기교 중심의 송시(宋詩)를 버리고, 경험에 의한 문학 추구)
IV. 조 선 후 기 문 학(朝鮮後期文學)
시대 개관(時代槪觀)
1.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양반 계급에 대한 비판이 일기 시작했고, 평민의식이 싹트기 시작하였다.
2. 성리학을 공리공론(空理空論)이라 비판하고, 실사구시(實事求是)를 추구한 실학(實學) 사상이 중심을 이루었다.
3. 평민들의 문학 참여가 확대되었다.
4. 평민 의식과 산문 정신의 확대로 국문 소설과 사설시조가 등장하였다.
5. 가사(歌辭)는 장편화되면서 평민가사, 기행가사, 유배가사, 내방가사가 많이 나타났다.
6. 판소리, 민속극 등의 성장이 두드러져 평민들의 사랑을 받았다.
7. 조선 전기가 성리학과 운문문학이 중심이었다면, 후기는 실학과 산문문학이 주를 이루었다.
시조(時調)
1. 특징
․실학과 산문 정신의 영향으로 평민층에서 사설시조가 등장하였다.
․18세기 이후에는 가단이 형성되었고, 시조집을 편찬하여 시조 부흥에 기여하였다.
․일상 생활을 소재로 한 내용과 현실을 풍자한 내용이 많았다.
․이 시대의 시조 특히, 사설시조는 거의 작가를 알 수 없다.
2. 주요 작가 : 윤선도, 김수장, 김천택, 안민영, 박효관, 박인로, 이정보 등
3. 주요 시조집
시 조 집 | 편 자 | 연 대 | 작 품 수 | 내 용 |
청구영언 | 김천택 | 영조 4년(1728) | 988수 | 곡조별 분류. 최고(最古)의 시조집 |
해동가요 | 김수장 | 영조 39년(1763) | 883수 | 작가별 분류 |
고금가곡 | 송계연월옹 | 영조 40년(1764) | 302수 | 주제별 분류 |
악학습령 | 이형상 | 정조(?) | 1109수 | 곡조별 분류. 1956년에 새로 발견된 시조집 |
가곡원류 | 안민영, 박효관 | 고종 13년(1876) | 800여수 | 곡조별 분류 |
가사(歌辭)
1.특징
․형식면에서 전기의 정격 가사가 변격 가사로 변모하였다.
․실학과 산문화의 영향으로 장편화된 기행 가사, 유배 가사, 내방 가사, 실용 가사(實用歌辭) 등이 지어졌다.
․서정적, 관념적 성격에서 벗어나 서사적이고 현실 문제에 관심을 둔 작품이 많았다.
․내방 가사는 여인들의 심정과 생활, 희로애락을 노래한 규방 문학이다.
2. 작품 개관
작 품 | 작 자 | 연 대 | 내 용 |
태평사 | 박인로 | 선조31년(1598) | 임란이 끝나고 태평성대가 돌아왔음을 노래하여 수군을 위로한 전쟁가사 |
선상탄 | 박인로 | 선조38년(1605) | 전쟁의 비애와 평화를 갈구한 전쟁가사 |
고공가 | 허전 | 임란직후(선조) | 나라일을 농사에 비겨 관리들의 부패와 정치적 무능을 비판 |
고공답주인가 | 이원익 | 임란직후(선조) | 나라 다스리는 도리를 농사에 비유한 풍자 가사. 고공가에 대한 답가 |
사제곡 | 박인로 | 광해군3년 (1611) |
사제의 아름다운 경치와 이덕형의 유유자적하는 모습을 노래한 가사 |
누항사 | 박인로 | 광해군3년 (1611) |
이덕형과 교유하면서 지은 작품으로 빈이무원(貧而無怨)을 노래한 가사 |
노계가 | 박인로 | 인조14년(1636) | 작자가 만년에 숨어 살던 노계의 경치를 노래한 작품 |
농가월령가 | 정학유 | 헌종 | 농촌의 연중 행사와 풍습을 달에 따라 노래한 월령체 작품 |
일동장유가 | 김인겸 | 영조39년 (1763) |
작자가 일본 통신사로 가는 조엄의 서장관으로 따라 갔다가 견문한 것을 적은 기행 가사 |
만언사 | 안조원 | 정조 | 남해 추자도로 귀양가서 겪은 참상을 노래한 유배 가사 |
봉선화가 | 정일당 | 헌종 | 봉선화에 얽힌 여자의 정서를 노래한 작품 |
한양가 | 한산거사 | 헌종10년(1844) | 한양의 문물 제도를 노래한 작품 |
북천가 | 김진형 | 철종4년(1853) | 함경도 명천에 귀양갔다가 돌아오기까지의 생활과 견문을 기록한 유배 가사 |
연행가 | 홍순학 | 고종 3년(1866) | 청나라에 가는 사신의 서장관이 되어 북경에 가서 견문한 것을 기록한 기행 가사 |
소설(小說)
1. 특징
․작자와 연대 : 대부분 미상임
․형식 : 출생부터 죽을 때까지의 사건을 순서대로 쓴 일대기(一代記) 형식
․주제 : 권선징악(勸善懲惡)이 대부분임
․인물 : 주인공은 재자가인(才子佳人)이며, 대부분 전형적 인물
․사건 : 전기적, 우연적
․문체 : 문어체, 운문체
․배경 : 대부분 중국
․사상 : 무격(巫覡) 신앙을 바탕으로 하고, 유(儒)․불(佛)․선(仙)의 사상이 교묘하게 융합됨
2. 작품 개관
분류 | 작품 | 작가 | 연대 | 내용 |
설화 소설 | 심청전 | 미상 | 미상 | 연권녀(連權女)․효녀 지은 설화. 도덕 소설 |
흥부전 | 미상 | 미상 | 방이 설화, 박타는 처녀 설화, 거타지 설화 | |
장끼전 | 미상 | 미상 | '웅치전'이라고도 함. 풍자 소설 | |
웅랑반혼전 | 보우? | 현종 | 불가의 법력과 불교 귀의를 권장한 내용. 불교 설화를 소설화 함 |
사회 소설 | 홍길동전 | 허균 | 광해군 | '수호지'의 영향을 받음. 최초의 한글 소설 |
전우치전 | 미상 | 미상 | 홍길동전의 아류작 |
군담 소설 | 임진록 | 미상 | 임란 후 | '삼국지연의' 의 영향을 받음. 한문본도 있음 |
곽재우전 | 미상 | 임란 후 | 임진왜란 때 홍의 장군 곽재우가 의병을 일으켜 왜병을 무찌른 무용담 | |
유충렬전 | 미상 | 미상 | 유충렬의 무용과 기상을 찬양한 영웅 소설. 한문본도 있음 | |
조웅전 | 미상 | 임란 후 | 중국 송나라를 배경으로 한 조웅의 무용담 | |
임경업전 | 미상 | 병란 후 | 임경업의 무용담인 전기적 소설. '임장군전'이라고도 함 | |
박씨전 | 미상 | 병란 후 |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한 박씨 부인의 전기적 소설 |
가정소설 | 사씨남정기 | 김만중 | 숙종 | 숙종이 인현왕후를 쫒아 냄을 풍자한 소설 |
장화홍련전 | 미상 | 숙종-철종 | 계모가 전처의 자식을 학대함으로써 생긴 비극을 다룬 가정 소설 | |
장풍운전 | 미상 | 미상 | 오랑캐로 말미암아 헤어진 부모와 다시 만나서 부인과 함께 영화를 누린다는 내용 | |
천수석 | 미상 | 미상 | 보형의 정실 설씨와 첩인 이소저 사이의 갈등을 그림. 대하 소설 |
염정 소설 | 운영전 | 유영? | 선조 | 원본은 한문본. 일명 '수성궁 몽유록', '유영전' |
구운몽 | 김만중 | 숙종 | 인간의 부귀 영화가 일장춘몽임을 그린 소설. 한문본도 있음 | |
옥루몽 | 남익훈 | 숙종 | 하늘이 선인들이 땅에 내려와 영화를 누리다가 올라간 일부다처주의 내용을 그림 | |
춘향전 | 미상 | 영조-정조 | 원판본 열녀 춘향 수절가. 열녀 암행어사 설화 | |
숙향전 | 미상 | 영조-정조 | 낙양 이상서의 아들 이선과 숙향과의 가연(佳緣)을 그린 작품 | |
숙영낭자전 | 미상 | 영조-정조 | 안동 선비 백선군과 꿈에 본 숙영과의 사랑을 그린 작품 | |
옥단춘전 | 미상 | 영조-정조 | 이혈룡과 기생 옥단춘과의 사랑을 그린 작품 | |
채봉감별곡 | 미상 | 미상 | 가곡체. ''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이라고도 함 |
한문 소설 | 양반전 | 박지원 | 영조 | 양반들의 허위와 부패상을 폭로한 소설 |
허생전 | 박지원 | 영조 | 허생의 상행위를 통한 이용 후생의 실학 사상 반영 | |
호질 | 박지원 | 영조 | 도학자의 위선적인 생활 폭로 | |
광문자전 | 박지원 | 영조 | 기만과 교만에 찬 양반 생활 풍자 | |
예덕선생전 | 박지원 | 영조 | 인분을 나르는 예덕 선생의 마음이 곧고, 덕이 높다는 것을 그려 양반의 위선 풍자 | |
민옹전 | 박지원 | 영조 | 민옹의 일화를 중심으로 타락된 사회를 풍자한 소설 | |
김신선전 | 박지원 | 정조 | 사회의 이면을 풍자한 소설 | |
마장전 | 박지원 | 영조 | 세상의 거짓된 일면을 말하고 벗을 사귀기 어려움을 강조함 |
풍자 소설 | 배비장전 | 미상 | 순조-철종? | 배비장이 제주도에 갔다가 기생 애랑에게 빠져 수모 당한 이야기. 판소리계 소설 |
이춘풍전 | 미상 | 영조-정조 | 무력한 남편과 거세된 양반을 풍자 | |
옹고집전 | 미상 | 미상 | 옹고집이 자기의 잘못을 뉘우쳐 착한 사람이 된다는 이야기. 판소리계 소설 |
수필(隨筆)
1. 고대 수필은 민간과 궁중에서 함께 쓰였다.
2. 궁중 수필은 여성 특유의 우아한 표현과 인간 내면에 흐르는 섬세한 정서를 표현하였다.
3. 내간(內簡)은 주로 부녀자들 사이에 오고간 편지로 따뜻한 정을 느끼게 하는 작품이 많았다.
4. 종류
․한글 수필 : 일기, 기행, 내간, 추도문, 전기문, 잡문 등
․한문 수필 : 고려와 조선 전기의 패관 문학, 조선 후기의 문집 등
5. 작품 개관
분 류 | 작 품 | 작 가 | 연 대 | 내 용 |
궁정 수필 | 계축일기 | 어느 궁녀 | 광해군 5년(1613) | 광해군이 영창대군을 죽이고 인목대비를 폐한 사실을 일기체로 기록 |
한중록 | 혜경궁 홍씨 | 정조 20년-순조 4년 | 사도세자의 비극을 회고하여 적은 자전적 회고록 | |
인현왕후전 | 어느 궁녀 | 숙종 이후(미상) | 인현 왕후, 숙종, 장희빈의 관계를 그린 작품 |
일기 | 산성일기 | 어느 궁녀 | 인조 | 병자호란 때 남한 산성에서 일어난 사건을 일기체로 기록 |
화성일기 | 이의평 | 정조 19년(1795) | 능행시 화성(수원)에 수행하여 왕대비의 회갑연에 참석한 것을 기록 | |
의유당일기 | 연안 김씨 | 순조 | 함흥 부근의 명승 고적을 찾아 다니며 견문을 적은 글 |
기행 | 연행록 | 김창업 | 숙종 38년(1712) | 형 김창집이 정사(正使)로 북경에 갈 때 수행하면서 견문을 기록 |
북관노정록 | 유의양 | 영조 49년(1765) | 함경도 종성에 유배되었을 때, 그때의 일을 일기체로 기록 | |
무오연행록 | 서유문 | 정조 22년(1798) | 서장관으로 중국에 갔다가, 견문을 기록한 산문체 |
서간 | 우념재수서 | 이봉한 | 영조 | 일본 통신사의 수행원으로 갔다가 그 자당에게 보낸 편지 |
한산유찰 | 양주 조씨 | 영조-정조 | 이산중 부인의 수기 |
전기 | 윤씨 행장 | 김만중 | 숙종 16년(1690) | 자기 어머니의 생전의 행장(行狀)을 지어 여자 조카들에게 나누어 준 글 |
제문 | 제문 | 숙종 | 숙종 45년(1719) | 숙종이 막내 아들의 죽음을 애통해 하며 그 심회를 적은 글 |
조침문 | 유씨 | 순조 | 바늘을 의인화한 작품 | |
기타 | 요로원야화기 | 박두세 | 숙종 4년(1678) | 당시 선비 사회의 병폐를 대화체로 파헤친 풍자 문학 |
어우야담 | 유몽인 | 광해군 | 민간의 야담과 설화를 모아 엮은 것으로 해학과 기지가 넘침 | |
규중칠우쟁론기 | 미상 | 미상 | 바늘․자․가위․인두․다리미․실․골무 등의 쟁공(爭功)을 탁의적(托意的)으로 쓴 글 |
한문학(漢文學)
1. 순정 문학파 : 조선 전기 도학파와 분리된 사장파는 음풍 영월의 문학에 철학적 사상을 갖추려고 노력함. ☞ 이정구, 신흠, 장유, 이식, 최입, 차천로 등
2. 실학파의 대두 : 실사구시와 이용후생을 내세우며 정치, 경제, 지리, 천문 등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 박지원, 정약용, 박제가, 이덕무 등
3. 주요 저서
저 서 | 작 가 | 연 대 | 내 용 |
시화총림 | 홍만종 | 효종 3년(1652) | 역옹패설, 어우야담 등 10여 종의 책에서 시화를 초록한 시화집 |
순오지 | 홍만종 | 현종 4년(1678) | 송강과 면앙정의 시가와 서유기에 대한 평론이 있음 . 평론집 |
서포만필 | 김만중 | 숙종 | 신라 이후 유명한 시를 평하고, 국어 존중론이 실림. 평론집 |
반계수록 | 유형원 | 현종 | 우리 나라 실학 사상 특히 경제에 으뜸이 되는 책. 평론집 |
북학의 | 박제가 | 정조 2년(1778) | 중국의 문물제도를 보고 돌아와서 경제적 구국 방략과 국가의 부강책을 역설. 기행록 |
열하일기 | 박지원 | 정조 4년(1780) | 연경의 풍속, 경제, 병사, 천문, 문학 등을 기록. 연행 문학의 백미. 기행문 |
목민심서 | 정약용 | 순조 | 지방 수령들의 행정의 귀감이 되는 책. 평론집 |
판소리
1. 특징
․해학적, 풍자적 성격이 강하다.
․판소리 사설로 발전한 설화는 다시 판소리계 소설로 개작되었다.
․한자성어나 고사가 그리고 욕설 등이 많이 쓰인다.
․고종 때 신재효가 판소리 12마당을 6마당으로 정리, 개작함. 현재는 5마당만 전해짐
2. 구성 요소
․창 : 광대가 부르는 노래
․아니리 : 이야기 사설
․발림 : 광대의 연기 동작
․추임새 : 고수나 청중의 탄성 소리
3. 장단
․진양조 : 가장 느린 곡조로 슬프고 무거운 느낌
․중모리 : 중간 빠르기의 곡조로 태연함과 안정감을 줌
․중중모리 : 중모리보다 조금 빠름. 흥취와 우아한 맛을 냄
․자진모리 : 빠른 곡조로 섬세하면서 명랑하고, 차분하면서 상쾌함
․휘모리 : 가장 빠른 곡조로 흥분과 긴장감을 줌
․엇모리 : 판소리 장단 중 가장 이질적인 장단. 평화스럽고 경쾌한 분위기
4. 판소리 12마당
① 춘향가 ② 심청가 ③ 흥보가 ④ 수궁가 ⑤ 적벽가 ⑥변강쇠타령
⑦ 배비장타령 ⑧ 장끼타령 ⑨ 옹고집타령 ⑩ 왈짜타령(무숙이타령)
⑪ 매화타령 ⑫ 신선타령(숙영낭자전)
5. 판소리 6마당
① 춘향가 ② 심청가 ③ 흥보가 ④ 수궁가 ⑤ 적벽가 ⑥ 변강쇠타령
가면극
1. 민속극이라 할 수 있는 가면극(탈춤)과 인형극이 있다.
2. 민속극은 서민 생활을 표현한 민중의 오락이라는 점에서 판소리와 공통점이 있다.
3. 탈춤은 가면을 쓰고 해학과 풍자로 사회를 비판하고 양반을 희롱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4. 인형극은 인형(꼭둑각시)를 조종하는 것으로 삼국시대부터 유래된 것으로 추측한다.
5. 작품 : 산대 가면극, 해서 가면극, 오광대, 성황신제 가면극, 꼭두각시 놀음 등이 있다.
작 품 | 내 용 |
산대(山臺) 가면극 | 서울과 서울 근교애서 행해지던 가면극. '양주별산대 놀이'가 유명함 |
해서(海西) 가면극 | 황해도 지방의 가면극. '봉산탈춤', '해주탈춤', '강령탈춤' 등이 있음 |
오광대(五廣大) | 경남 지방의 가면극. 다섯 광대 혹은 다섯 마당으로 구성. '통영오광대', '진주오광대', '마산오광대' 등 |
꼭두각시 놀음 | 남사당패에 의해 연희된 인형극. 일명 '박첨지 놀음' |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