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전기 문학사 / 요약
by 송화은율조선전기 문학사
<시대개관>
1. 조선건국(14C말)부터 임진왜란(16C말)까지 약 200년 간
2. 훈민정음의 창제(1443창제, 1446 반포)
- 구비 문학의 기재(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 우리 글로 문학 작품을 창작하게 됨,
- 한문 전적(典籍)의 번역[諺解(언해)]-국문학의 발전을 촉진함
3. 악장의 출현 - 조선 왕조의 건국 위업을 찬양, 왕실의 무궁한 발전을 축원, 궁중 음악
4. 설화의 발전과 중국 소설의 영향으로 전기체 소설 등장(한문 소설)
5. 가사의 출현(경기체가의 붕괴로), 시조와 더불어 형식면에서 운문 문학이 지배적임
6. 귀족, 양반 계층이 주축이 됨
7. 사상적 배경 - 유교 불교 사상을 바탕으로 함, 성리학(性理學)의 도입
< 악 장(樂章) >
1. 악장의 개념
- 일정한 형태상 특징보다는 조선 왕조를 송축하는 내용에 의해 설정된 장르
- 국문학과는 직접 관계가 없는 음악과 관련된 명칭(국문학의 형태명이 되었다.)
- 조선 초 궁중의 연락(宴樂)이나 종묘제악(宗廟祭樂)에 쓰인 주악(奏樂)의 가사
2. 작 가 - 귀족계급(신흥사대부), 조선 건국 士大夫(사대부)들이 창작
3. 형 식 - 기본형으로 2절 4구의 형식을 갖춘 것이 典型(전형)적인 악장(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이지만 변조형으로 기존 문학 형식+ 송축적 내용 또는 종묘제악용 가사만을 붙인 악장들이 있다.(속요체, 경기체가체, 한시체) = 일정한 규범 형식이 없다.
4. 내 용 - 조선건국의 정당성 홍보, 새로운 문물제도 찬양, 임금의 만수무강 기원, 자손번영 축원, 목적성이 강한 문학, 송축의 노래
5. 성격과 문학적 전개
- 과장과 阿諛(아유-아첨하는 노래)가 심함(문학성이 약함),
- 궁중연회 등 특수한 목적에 사용하여 귀족 계층이 향유
→ 향유 계층 및 작가계층 한정, 평민층에 확대되지 않아 소멸
6. 사 상 - 유교적 충의사상
7. 작품일람
형식 | 작품명 | 연 대 | 작 자 | 출 전 | 내 용 |
신 체 (2절4구체) |
용비어천가 (龍飛御天歌) |
세종27 | 정인지 권 제 안 지 |
용비어천가 | 조선 6조의 건국 위업 찬양과 후대 왕에게 勸戒(권계)의 뜻을 일깨움, 125장, 영웅 서사시적 성격 |
월인천강지곡 (月印千江之曲) |
세종29 | 세 종 | 월인천강지곡 | 석보상절의 석가공덕을 보고 지은 석가모니의 찬송가 | |
속요체 | 신도가(新都歌) | 태조3 | 정도전 | 악장가사 | 태조의 덕과 한양의 경치를 찬양함 |
감군은(感君恩) | 명종1 | 상 진 | 악장가사 | 임금의 은덕을 칭송함[감축] | |
경기체가체 | 상대별곡 (霜臺別曲) |
정종-태종 | 권 근 | 악장가사 | 사헌부의 생활을 통한 조선의 제도․문물의 왕성함을 찬양함 |
화산별곡 (華山別曲) |
세종7 | 변계량 | 세종실록 | 조선의 개국 창업을 찬양함 |
|
한시체 | 문덕곡(文德曲) | 태조2 | 정도전 | 악학궤범 | 태조의 문덕을 찬양함 |
정동방곡 (靖東方曲) |
태조2 | 정도전 | 악학궤범악장가사 | 태조의 위화도 회군을 찬양함 | |
납씨가(納氏歌) | 태조2 | 정도전 | 악학궤범 | 태조가 야인을 격파한 武功(무공)을 노래 | |
봉황음(鳳凰吟) | 세종11 | 윤 회 | 악학궤범 | 조선의 문물과 왕가의 축수(祝壽)를 노래 |
<諺解(언해)>
1. 개념 - 중국에서 들어 온 佛經(불경), 經書(경서), 文學(문학) 류 등을 훈민정음 창제와 더불어 우리말로 번역한 것을 말함
2. 의의 - 중국 문학이 소개되어 우리 문학 영역이 확대, 조선 초기 국어 연구의 귀중한 자료, 국문학과 중국 문학의 비교 연구 자료
3. 특징 - 번역 사업은 조정에서 관장,
홍문관(경서 언해- 성종 때 유학의 경전 번역),
간경도감(불경 언해- 세조 때)
4. 번역서
① 운서 - 韻會飜譯(운회번역), 洪武正韻譯訓(홍무정운역훈) : 집현전, 언문청
② 불경 - 釋譜詳節(석보상절) : 석가모니의 일대기를 산문체로 번역한 전기 문학,
月印釋譜(월인석보) : 월인천강지곡(세종)+석보상절(세조)
능엄경언해, 妙法蓮華經 諺解(묘법연화경 언해)
③ 경서 - 內訓(내훈), 三綱行實圖諺解(삼강행실도언해), 飜譯小學(번역소학), 孝經諺解(효경언해), 四書諺解(사서언해)
④ 문학 - 分類杜工部詩諺解(분류두공부시언해) : 성종(초간본), 인조(중간본), 조위, 의침이 난세를 맞dl하여 어려운 생애를 보내면서도 임금을 생각하고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을 잘 나타낸 당나라 杜甫(두보)의 시 1,451편을 번역
- 聯珠詩格諺解(연주시격언해) : 성종, 서거정, 노사신, 유윤겸이 번역함, 不傳(부전)
- 黃山谷詩集諺解(황산곡시집언해): 성종, 서거정, 노사신, 유윤겸이 송나라 황정견의 시 번역
5. 번역 문학과 산문 - 조선 전기의 한문 표기 산문은 번역체 산문이 주종을 이룸
※ 두시언해
원제(原題) [분류두공부시언해](25권 17책)
① 의의
. 국문학사 : 최초의 번역시집
. 국어학사 : 초간본과 중간본이 약 150년의 차이가 있어 임란 전후의 국어의 변화를 살피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됨
② 간행 경위
. 역주(譯註) : 세종 때 두보의 시에 능통한 유윤겸이 한문으로 주석을 달았다.
. 초간본 간행 : 성종 12년(1481)에 조위, 승려인 의침, 유윤겸 등이 활자본간행
. 중간본 간행 : 인조 10년(1632)에 오숙, 김상복이 목판본으로 간행
③ 두보의 시를 '언해'한 이유
두보의 시는 사상적 배경이 유교적이고, 그 정서가 우국적(憂國的)이며, 시의 기법이 엄정하여 한시의 모범이 된다고 여겨 이를 일반화하기 위해 언해함.
④ 두시언해 초간본과 중간본의 비교
초간본 (鑄字本, 주자본) | 중간본 (木刻本, 목각본) | |
간행연대 | 성종 12(1481) 12월 상순 | 인조 10(1632) 2월 상순 |
서문 | 조위 | 장유 |
방점 | 촵(둥근 형이 아님) | 방점이 없음 |
음운 | (1) 주격 '이'사용 (2) 壙와 胱을 분별하여 사용 (3) 咬자 사용 (4) 자음접변 현상이 뚜렷하지는 않음 (5) 구개음화 현상이 나타나지 않음 (6) 삽입모음현상이 규칙적 |
(1) '이' > '가' (2) 壙, 胱 > ㅇ (3) 咬자 사용 (4) 자음접변이 뚜렷하게 나타남 (5) 간혹 구개음화 현상 보임 (6) 삽입모음현상이 불규칙적 |
철자 | 연철 | 어간과 어미를 간혹 분별(분철) |
※ 소학언해
① 연대 : 선조 19(1586)
② 언해자 : 교정청(校正廳)의 여러 학자(정구, 최영경 등)
③ 간행경위 및 판본 : 중종 때 발간한 [번역 소학]이 의역(意譯-뜻 중심 번역, 원문 소홀)에 치우쳤기에 이를 바로 잡고자 직역(直譯-원문 중시)
☞ [번역소학(飜譯小學)] | ☞ [어제소학언해(御製小學諺解)] |
* 간행연대 : 중종 12(1517) | * 간행연대 : 영조 20(1744) |
* 간행처 : 홍문관 | * 언해작업 : 선조판을 고쳐 다시 발간 |
* 언해자 : 김전,최숙생 | * 표기 : 18-19세기 표기법, 직역 중심. |
* 표기상 특징 : 반치음,옛이응,방점 사용 |
④ 의의 : 중세국어의 마지막 문헌 자료로서의 가치(16세기 국어)
⑤ 표기상 특징
㉠ 壙은 거의 소멸. 단 胱은 사용됨.
㉡ 방점이 사용됨
㉢ 모음 조화의 문란
㉣ 끊어적기가 많이 보임
㉤ 명사형 어미 '-기'의 등장
㉥ 명사형 어미 '-옴/움'에서 '-오/-우'의 탈락이 보임.
㉦ 한자 옆에 한글을 병기(竝記)함.
<景氣體歌(경기체가)와 사대부 歌辭(가사)의 定着(정착)>
1. 경기체가
① 경기체가는 이 시기에 와서도 계속 이어짐
② 조선 초기의 송축류는 악장으로 불리워짐- 權近(권근)의 '霜臺別曲(상대별곡),
卞季良(변계량)의 '花山別曲(화산별곡)
③ 작품
작 품 | 시 기 | 작 가 | 내 용 |
不憂軒歌(불우헌가) | 성 종 | 정극인 | 田園(전원)의 閑情(한정)과 聖恩(성은)을 노래함, 이두표기, 불우헌집 |
花田別曲(화전별곡) | 중 종 | 김 구 | 유배지 해남 花田(화전)의 경치와 그곳에서의 생활을 노래함 |
道 德 歌(도덕가) | 중 종 | 주제붕 | 道東曲(도동곡),儼然曲(엄연곡), 太平曲(태평곡), 六賢歌(육현가)를 합한 노래 |
獨樂八曲(독락팔곡) | 선 조 | 권호문 | 자연에서 느낀 기쁨을 노래, 전 8장 |
忠孝歌(충효가) | 철 종 | 민 규 | 유영일의 효행을 칭송함 |
2. 가사
① 가사는 현실적이고 설득적인 유교 이념을 표현하는 데 가장 알맞은 형태였기 때문에 광범위한 지반 획득.
② 고려 말엽 전후 발생 조선시대 본격 발전.
③ 경기체가 붕괴에서(경기체가의 연 구분이-연속체-이 없어지고 운율이 3(4). 4조로 변형되면서 가사 발생) 발생한 교술적 장르. 형식상 4음보의 운문이며, 내용상 수필적 산문임
④ 형식- ㉠ 4 . 4조의 4음보 연속체인 운문 형식
㉡ 낙구(마지막 구절)가 시조의 종장과 동일함. 3 . 5 . 4 . 3의 음수율
㉢ 정격가사- 마지막 구가 시조 종장의 운율과 같은 것(전기 가사),
변격가사- 끝구도 4 . 4조의 연속, 조선 후기에 나타남
⑤ 내용- 연군(戀君), 감군은(感君恩)=임금에 대한 은총,
유유자적(悠悠自適)한 자연 생활= 강호한정(江湖閑情)의 정서 노래.
⑥ 의의- ㉠ 시조와 더불어 조선조 양반 문학을 대표하는 문학형식.
㉡ 형식의 율문성과 내용의 산문성(산문과 운문의 중간적 성격을 지닌 과도기적 문학)
⑦ 분류- 내용에 따라 은일 가사(隱逸歌辭), 유배 가사(流配歌辭), 기행 가사(紀行歌辭), 도학 가사(道學歌辭), 충신연군지사(忠臣戀君之辭)로 나누어진다.
⑧ 기타- ㉠ 강호가도(江湖歌道)를 노래한 가사의 계보
상춘곡(賞春曲) → 면앙정가(면仰亭歌) → 성산별곡(星山別曲)
㉡ 시조와 가사의 비교
가사 | 시조 | |
공통점 | 3(4) . 4조의 운율(4음보), 종장의 운율(3 . 5 . 4 . 3) | |
차이점 | 교술 장르, 4음보의 연속체 | 서정 장르, 구, 행의 제한 |
⑨ 작품
분류 | 작품 | 연대 | 작자 | 내용 |
은일가사 | 상 춘 곡 (賞 春 曲) |
성 종 | 정극인 (鄭克仁) |
태인(泰仁)에서의 은거 생활. 가사의 효시. 춘경(春景) 노래, 면앙정가에 영향을 줌. 불우헌집 수록. |
면앙정가 (면仰亭歌) |
중 종19 | 송 순 (宋 純) |
향리인 담양에 면앙정을 짓고 나서, 그 곳의 자연과 정취를 노래함. 사시사(四時辭), 원근 표현, 성산별곡에 영향을 줌. | |
성산별곡 (星山別曲) |
명 종 15 | 정철(鄭澈) | 성산의 자연미를 읊음. 송강가사에 수록됨. | |
강촌별곡 (江村別曲) |
선 조 | 차천로 (車天輅) |
전원의 한정(閑情)을 읊음. | |
유배가사 | 만 분 가 (萬 憤 歌) |
연산군 | 조 위 (曺 偉) |
무오사화 때 유배지 전남 순천(順天)에서 지음. 유배가사의 효시. |
기행가사 | 관서별곡 (關西別曲) |
명 종 11 | 백광홍 (白光弘) |
기산별곡(箕山別曲)과 향산별곡(香山別曲)으로 됨. 정 철의 관동별곡에 영향을 줌. |
관동별곡 (關東別曲) |
선 조 13 | 정철(鄭 澈) | 강원도 관찰사로 부임하여 그 곳의 자연을 노래한 기행가사. | |
연군가사 | 사미인곡 (思美人曲) |
선 조 | 〃 | 충신연주지사. 창평에 귀양가서 지음. 독백체.사시사(四時辭) 유배가사 |
속미인곡 (續美人曲) |
선 조 | 〃 | 사미인곡의 속편. 두 여인의 대화체 형식으로 된 충신연주지사. 유배가사 | |
내방가사 | 규 원 가 (閨 怨 歌) |
선 조 | 허난설헌 (許蘭雪軒) |
가정에 파묻힌 여자의 애원을 노래함, 원부사(怨夫辭) |
<자연미(自然美)의 발견과 강호가도(江湖歌道)
-평시조(平時調)>
1. 시조의 간결한 양식을 성리학을 중심으로 한 상류층 계급인 양반들의 높은 교양을 담백하게 표현하기에 적합하였기에 양반 문학의 한 주류를 형성.- 국문 서정시의 주류로 부상
2. 영역 확대- 처음에는 충의(忠義)를 주제로 출발하여 점차 애정과 도학의 세계에까지 나아갔다.
3. 자연미의 발견(자연에 도학적 의미 부여)
정국이 안정되고 왕조의 기틀이 잡힌 뒤로는 유교 사상과 함께 노장(老莊)의 무위자연(無爲自然)에 영향을 받아 자연 속에서 한가롭고 평화로운 자연미를 완성하게 되었다.
4. 강호가도(江湖歌道)
① 개념- 자연에 도학적인 의미를 부여하여 그것과의 일치를 추구
② 시조가 그 영역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이 강호가도가 뚜렷한 흐름을 형성, 영남가단과 호남가단을 이루는 성황을 이루었다.
③ 강호가단의 두 계보
㉠ 영남가단(嶺南歌壇)-심성(心性)을 닦는 것을 우위로 내세웠다. 시문보다 선비로서 마땅히 실행해야 할 도리를 찾자는 강호가도 구현 이현보, 주세붕, 이황, 권호문
㉡ 호남가단(湖南歌壇)- 풍류(風流) 족에 기울어졌다. 자기 합리화의 성명 없이 작품을 통해 감회를 드러내었고, 도리를 따지지 않고 풍류를 자랑하였다. 송순, 김인후, 김성원, 정철 등이 있다.
5. 연시조- 한 제목 아래 2수 이상의 평시조로 이루어 진 것
6. 시조의 종류
㉠ 평 시 조- 시조의 기본형(음악상-평시조)
㉡ 엇 시 조- 중형시조, 종장의 제 1구를 제외한 어느 한 구절이 길어짐(음악상-중어리시조)
㉢ 사설시조- 장형시조, 종장의 제 1구를 제외한 2구 이상이 길어짐(지름시조)
7. 작품 개관
작 품 | 연 대 | 작 자 | 내 용 |
회 고 가 | 태 조 | 정도전 | 고려의 흥망을 통해 역사의 무상함을 노래함. |
강호사시가 | 세 종 | 맹사성 | 4수. 일명 '사시한정가(四時閑情歌)'. 최초의 연시조. |
호 기 가 | 세 종 | 김종서 | 장군의 기개를 노래함 |
충 의 가 | 세 조 | 성삼문 | 단종에 대한 일편단심(一片丹心) 노래 |
충 의 가 | 세 조 | 박팽년 | 단종에 대한 충성심 노래 |
오 륜 가 | 중 종 | 주세붕 | 6수. 삼강 오륜(三綱五倫)을 노래한 교훈적 시조, 연시조 |
어 부 가 | 명 종 | 이현보 | 5수. 장가 9편을 포함. 윤선도의 어부사시사에 영향을 줌, 연시조 |
자상특사황국 옥당가 |
명 종 | 송순 | 명종이 옥당에 보낸 국화를 받고 지어 바친 즉흥시조, 충의 표현 |
농 암 가 | 명 종 | 이현보 | 고향의 농암이라는 바위에 올라가 지은 시조 |
효 빈 가 | 명 종 | 이현보 | 도연명의 '귀거래사(歸去來辭)'를 본뜸 |
도산십이곡 | 명 종 | 이 황 | 12수. 일명 도산 6곡(전 6곡-언지(言志), 후 6곡-언학(言學)). 자연의 관조와 학문의 길 |
고산구곡가 | 선 조 | 이 이 | 10수. 일명 석담구곡가. 주자의 무이구곡가를 본뜸. |
한거십팔곡 | 선 조 | 권호문 | 18수. 교훈적인 내용과 인생관이 나타남 |
훈 민 가 | 선 조 | 정 철 | 16수.경민편(警民篇)이라고도 하며 오륜과 도덕을 노래함 |
장진주사 | 선 조 | 정 철 | 최초의 사설시조. 이 백의 장진주(將進酒)에서 영향을 받은 권주가 |
* 여류- 황진이, 홍랑, 송이, 계랑, 홍장, 이매창, 명옥, 천금 등
* 조선초- 회고, 충절, 송축→
세조 즉위- 충절가(사육신 중심).→
성종 이후- 자연 속 유유자적(낙천적 인생관), 작가 계층 확대(기녀 참가)
* 여류 시조의 문학사적 의의
여류시조는 그 작자가 대부분 기녀들이었다. 비록 천민에 속하는 계급이었지만, 그들의 교양은 선비들에 견주어 어느 면에서도 손색이 없었다. 이들의 시조는 여성만이 지닌 섬세한 감정으로 진실하면서도 절실하게 사랑을 노래한 까닭에 더욱 감동적이다.
특히 사대부들의 시조와는 달리 여성 특유의 우아한 정서를 전달하고 있으며,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시적 언어로 발전시키고 있다. 이들 작자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없으나, 시조에 얽힌 일화가 많이 전하고 있어 그들의 면모를 읽을 수 있다.
* 황진이의 작품 세계
다정다감하면서도 기예에 두루 능한 명기였던 황진이는 시조를 통하여 뛰어난 문학적 재능을 유감없이 발휘했다. 주로 사랑에 얽힌 내용을 담은 그의 작품들은 사대부 시조에서는 생각할 수 없었던 표현을 갖춤으로써 관습화되어 가던 시조에 활력을 불어넣었다고 평가된다.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에 대한 체념을 '청산은 내 뜻'이라고 역설적인 자기 과시로 표현하거나 왕족인 벽계수를 벽계수에 견주어 유혹할 수 있는 등의 재치는 황진이만이 할 수 있는 독보적인 것이었다. 황진이의 시조에 이르러서야 기녀 시조가 본격화되는 동시에 시조문학이 높은 수준에 달했다고 할 수 있다. 황진의 '동짓달 기나긴 밤을'은 한역시가 전한다.
▲ 청산리 벽계수야 - 황진이
▲ 마음이 어린 후이니 - 서경덕
* 연시조란?
45자 내외의 평시조만으로는 정서 표현에 부족을 느꼈던 조선조 사대부들은 평시조를 몇 수씩 연하여 짓는 연형시조 형식을 발견했다.
자연 풍경과 인륜의 교훈적 내용을 담은 이러한 작품에서 그들의 자연에 대한 태도와 유교적 사고의 자취를 읽을 수 있다.
조선 전기에는 강호사시가(맹사성), 오륜가(주세붕), 어부가(이현보), 도산십이곡(이황), 고산구곡가(이이), 훈민가(정철) 등이 있다.
* 현대시조와 고시조의 차이점
구분 | 고 시 조 | 현 대 시 조 |
성격 | 노래의 가사의 일종으로 발달 - 일정한 전문 작가가 없이 많은 사람들에 의해 지어짐 | 노래의 가사라는 면을 벗어나 명확히 시라는 의식 하에 씌어짐 - 일정한 작가(시인)들이 지음. |
종류 | 평시조, 엇시조, 사설시조 | 평시조(단형 시조)가 대종을 이루며, 연시조가 성행 |
내용 | 유교적 이념에 의한 관념적인 주제 일반적 상투적인 내용(충의, 회고, 절의 등) 자연과 인생에 대한 풍류, 또는 달관을 노래함(江湖歌道) 나라의 정치에 대한 내용이 많음. |
개성적이며 자아의 내면을 표현함. 사색적, 관조적 임. 이미지, 상징 등 현대시의 기법을 도입함. 감각적이며 실제적인 내용 제재를 현실에서 많이 구함. |
형식 | 음악으로 부를 때 가곡창과 시조창으로 나뉨. 대부분이 단시조이면서 장별 배행 시조임. 한자어, 관념어의 사용 종장 첫구에 상투적인 감탄사가 많음. 표현상 음악적(청각적)임. 제목이 대개 없음. 대부분 작자 미상임. |
자유시에 가까울 정도로 파격을 하는 경우도 있음. 3연6행(구별배행)의 시조가 많음. 연시조가 많음. 순수한 우리말을 많이 사용함. 표현상 회화적(시각적)임. 제목이 반드시 있음. 작가가 분명함. |
<패관 문학의 융성과 소설의 발생>
1. 패관 문학
① 떠돌던 이야기를 채록하는 관리에 의해 채록(채록 과정에서 창의성 가미, 윤색한 것이 패관 문학임)-소설 문학의 전신
② 전문화되고, 영역별로 분화되는 경향을 보임
㉠ 동인시화(東人詩話)- 서거정이 역대 시문에 대한 일화, 수필, 시화 등을 모아 엮은 비평서
㉡ 필원잡기(筆苑雜記)- 서거정의 수필집으로 일화, 한담(閑談)등을 모아 엮은 책
㉢ 태평한화골계전(太平閑話滑稽傳)- 서거정이 시정(市井)에 떠돌아 다니는 이야기를 수집, 기록한 시화집
㉣ 용재총화(용齋叢話)- 성현이 지은 수필집. 문화(文話), 시화(詩話), 서론(書論), 사화(史話) 등이 기재
㉤ 패관잡기(稗官雜記)- 어숙권의 수필집. 우리 나라의 각종 설화, 시화 등을 편집한 것
㉥ 순 오 지(旬 五 志)- 홍만종이 지은 일종의 문학 평론집
2. 가전체(假傳체)와 몽유록(夢遊錄)-소설에 포함됨
① 가전체- 고려 말의 가전(假傳)의 전통을 이어 받아, 성간의 '용부전(용夫傳-만사에 의욕이 없음 술, 여자를 보고서야 일어난다고 스스로 격하시키는 내용)', 성현의 '부휴자전(浮休子傳-성현 호, 솔직, 순박, 세상 일에 어둡다. 그러나 마음을 잘 다스림)', 정수강의 '포절군전(抱節君傳-대나무를 의인화하여 지조있는 선비의 자세를 나타냄)', 임제의 '수성지(愁城誌-근심의 성인 수성에서 반란이 일어나 '술'과 관련이 있는 장군이 싸움 승리함)', 김우웅의 '천군전(天君傳-천군이 다스리는 마음의 나라얘기)
② 몽유록- 꿈에서 겪은 일을 적은 교술 문학. 꿈 속의 일은 허구이지만, 그 내용은 역사적 사실을 비판적으로 해석한다. 심의의 '대관재몽유록(大觀齋夢遊錄-'문장 왕국'을 설정 최치원이 천자, 이제현이 좌상, 을지문덕 수상, 이규보 우상으로 등장)', 임제의 '원생몽유록(元生夢遊錄-생육신의 한사람인 원회로 추정되는 원자허가 어느 날 꿈 속에서 낯선 곳으로 인도되어 단종과 사육신이 한자리에 모여 이야기를 나눔)'이 있다.
3. 소설(小說)
① 발 생
ㄱ. 설화 ⇒ 패관문학 ⇒ 가전체 ⇒ 고대소설
ㄴ. 중국소설의 영향
ㄷ. 판소리 소살의 발달
② 특징-㉠ 낭독하기에 알맞은 4.4 조의 가사체투를 갖춤.
㉡ 전형적인 인물 설정.
㉢ 문장표현이 文語文으로써 사물을 극히 미화시킴.
㉣ 일상적 현실적인 것과 거리가 먼 신비로운 것을 그림.
㉤ 주제가 권선징악.
㉥ 행복한 결말.
③ 효 시 : 김시습(金時習)의 「금오신화 (金鰲新話)」 (한문소설)-세조 때
㉠ 우리 나라 최초의 고대소설로 작자가 만년에 경주 금오산(지금의 남산)에 들어가 지은 것임.
㉡ 우리 나라를 배경으로 하였고, 등장인물도 우리 나라 사람이라는 데 큰 의의가 있다.
㉢ 현실주의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함.
㉣ 한문 전기 소설
㉤ 명나라 '구우'의 전등신화(剪燈新話)에 영향을 받음
㉥ 5편만이 전함(단편 소설집).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취유부벽정기, -남염부주지, -용궁부연록
*중국소설의 영향
전등신화 ⇒ 금오신화,
서유기 ⇒ 홍길동전, 구운몽, 옥루몽 ,
수호전 ⇒ 홍길동전
삼국지연의 ⇒ 군담소설류
<조선 전기 한문학>
1. 정도전, 권근의 역할- 문학은 도(道)를 싣는 것이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세상을 바로 잡는 실천적 활동과 문학을 연계시켰다.
2. 조선 전기 한문학의 갈래
① 관각 문학(館閣)
㉠ 개 념- '사장파(詞章派-성리학, 문학 둘 다 소중하게 여김. 보수적, 문학 장식적(화려, 격식, 잘 다듬어짐), 한시 중심)'의 문학 . 관각에 종사하는 선비들의 의해 이루어진 문학
㉡ 전성기- ㉵동문선(東文選)'을 편한 서거정에 와서 전성기를 이루었다. 그 후에 성현, 남곤, 이행 등의 학자가 뒤를 이음.
② 사림 문학(士林文學)
㉠ 개념- 지방의 사대부로서 도학(道學)이 문학의 근본임을 주장했던 사림파
(士林波-산림 처사, 자기 성찰 구실, 표현보다는 흥취 중시. 시조 ,가사 중심)
㉡ 길재, 김종직, 김일손, 김굉필, 조광조, 서경덕, 이황, 이이 등이 활약
③ 김시습- 세상을 등진 채 독자적인 문학 세계 구축
④ 삼당(三唐) 시인- 백광훈, 최경창, 이달이 당시(唐詩)에서 몹시 뛰어났다.
(세태의 절실한 경험이 없이 사변적, 기교 중심의 송시(宋詩)를 버리고, 경험에 의한 문학 추구)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