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향순중생가(恒順衆生歌) 요점 정리 주제 : 항상 중생의 뜻을 따르자는 노래 내용 연구 부처님은 모든 중생을 뿌리로 삼으신 분이라 대비의 물로 적셔 주시니 시들지 아니하옵더라. 법계에 가득히 굼실굼실하는 나도 부처님과 함께 살고 함께 죽으니 생각생각 끊임없이 부처님이 하듯이 중생을 공경하리라. 아, 중생이 편안하다면 부처님께서도 기뻐하시리로다. 이해와 감상 각수왕은 일체 중생을 뿌리로 삼으신 분이라. 대비의 물로써 뿌리를 적시어 아니 시들었다. 법계에 가득히 꾸물꾸물하는 나도 부처와 동생 동사이다. 나는 일념으로 서로 이어 간단없이 부처가 하듯이 중생을 공경했더라. 아아 중생의 마음이 편안하다면 부처 또한 기뻐하시겠도다라는 내용으로 고려 광종 연간에 균여가 지은 십구체 향가로 보현보살(普賢菩薩)의 십종원왕..
보개회향가(普皆廻向歌) 요점 정리 주제 : 스스로 닦은 공덕을 모두 다른 사람들에게 돌리자는 노래 내용 연구 내가 닦은 일체의 선을 돌이켜서 중생의 바다 안에 헤매는 무리들 없도록 알리고 싶어라. 부처의 바다가 이룩되는 날에는 참회하고 있는 모진 업도 법성의 집 보배라고 예로부터 그렇게 이르셨도다. 아, 예배 드리는 부처님도 내 몸이어니 그 무슨 남이 있을까? 이해와 감상 "내가 닦은 모든 일체의 선을 돈부를 회향시켜 중생의 바다 안에서 방황하는 무리가 없게 알리고 싶도다. 부처의 바다를 이룬 날에는 참회한 모진 업도 법성 궁의 보배가 되도다. 옛날부터 그러하셨도다. 아아 예경드리는 부처도 모두 내 몸이어니 어허 거기 남이 있을까?"라는 내용으로 고려 초기 광종(光宗) 때 균여(均如)가 지은 10구체(十..
총결무진가(總結無盡歌) 중생의 세상이 다하면 내 소원도 다할 날 있으련가 중생을 일깨움이 끝없는 내 소원인가 이다지 큰 원 세우고 이렇게 나아가니 향하는 대로가 착한 길이로다. 보현보살 행원이 또한 부처님 일이어라. 아, 보현의 마음을 알게 되니 이로부터 딴 일은 버리고 싶네. 요점 정리 주제 : 두어서 끝없는 사연을 마무리하는 노래 내용 연구 생계(生界) 다한다면 내 원(願) 다할 날도 있으리마는, 중생(衆生) 갱생(更生)시키고 있노라니 갓 모르는 원해(願海)이고, 이처럼 여겨 저리 행(行)해 가니 향(向)한 곳마다 선업(善業)의 길이요, 저바 보현행원(普賢行願) 또 부처 일이도다. 아아, 보현(普賢) 마음에 괴어 저 밖의 다른 일 버릴진저. (김완진 현대역) 이해와 감상 "생계가 다하며는 내 소원도 ..
서동요(薯童謠) 善化公主主隱(선화공주주은) 他密只嫁良置古(타밀지가량치고) 薯童房乙(서동방을) 夜矣卯乙抱遣去如(야의묘을포견거여) 선화공주님은 남 몰래 정을 통해 두고 맛동(서동) 도련님을 밤에 몰래 안고 간다. 요점 정리 작자 : 백제 제 30대 무왕, 서동(薯童)/ 양주동 해독 연대 : 신라 진평왕 때(599년 이전) 갈래 : 4구체 향가 구성 : 1-2행 시상의 발단/원인, 3-4행 서동과의 밀애/결과 성격 : 참요[시대적 상황이나 정치적 징후 따위를 암시하는 민요. 신라의 멸망과 고려의 건국을 암시한 〈계림요〉, 조선의 건국을 암시한 〈목자요(木子謠)〉, 미나리와 장다리로 인현 왕후와 장 희빈을 관련지어 노래한 〈미나리요〉 따위가 여기에 속한다.예언, 암시하는 노래], 동요 표현 : 풍자적, 직설적 ..
안민가(安民歌) 임금(군)은 아버지요 신하(신)는 사랑하실 어머니요 백성(민)은 어린(어리석은)아이로고 하실진댄 민이 사랑을 알리라. 대중을 살리기에 익숙해져 있기에 이를 먹여 다스릴러라. 이 땅을 버리고 어디로 가겠는가 할진댄 나라 보전할 것을 알리라. 아아, 군답게 신답게 민답게 한다면 나라가 태평을 지속하느리라. (김완진 해독) 임금은 아버지요 신하는 사랑하실 어머니요 백성은 어린아이로고 하실지면 백성이 사랑을 알리이다. 구물거리며 살손 물생이 이를 먹여 다스려져 이 땅을 버리고 어디 가려 할지면 나라 안이 유지될 줄 알지어다. 아, 임금답게 신하답게 백성답게 할지면 나라 안이 태평하나이다 (양주동 해독) 요점 정리 작자 : 충담사 갈래 : 10구체 향가 연대 : 신라 경덕왕 24년(765년) 성격..
우적가(遇賊歌) 제 마음에 형상을 모르려던 날 멀리 □□ 지나치고 이제란 숨어서 가고 있네 오직 그릇된 파계주를 두려워할 짓에 다시 또 돌아가리! 이 쟁기(무기, 칼, 도둑의 흉기)랄사 지내곤 좋은 날이 새리이니 아으 오직 요만한 선(善)은 아니 새 집이 되니이다. 양주동 해독 제 마음의 모습이 볼 수 없는 것인데, 일원조일(해는 서산에 멀어지고 새도 제 깃에 숨다) 달이 달아 난 것을 알고 지금은 수풀을 가고 있습니다. 다만 잘못된 것은 강호님(세력이 강하여 대적하기 힘든 사람), 머물 게 하신들 놀라겠습니까. 병기를 마다 하고 즐길 법(불법, 곧 부처의 가르침)으랑 듣고 있는데, 아아, 조만한 선업(善業)은 아직 턱도 없습니다. 김완진 해독 요점 정리 작가 : 영재 갈래 : 향가 연대 : 원성왕 형식..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