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1501)별감(別監):좌수에 버금가는 자리. 1502)삼색나졸(三色邏卒):옛날 지방관아에 딸린 나장, 군뢰, 사령 등 세 하인을 함께 이르는 말. 1503)인궤(印櫃):관청에서 사용하는 도장을 넣어두던 상자. 1504)과줄:밀가루를 꿀과 기름에 반죽한 뒤 판에 박아 기름에 띄워 지진 음식. 1505)병부(兵符):발병부(發兵符). 동글 납짝한 나무쪽에 '발병(發兵)'이라 써서 군사를 일으킬 때 내리던 표. 1506)탕건:갓 아래에 바쳐 쓰는 관의 한 가지. 1507)용수:술을 거르는데 쓰는 싸리로 만든 긴 통. 1508)훤화(喧화):지껄여 떠듦. 1509)도처(徒處):옮겨감. 1510)봉고파직(封庫罷職):관청의 창고를 봉해 잠그고 못된 짓을 한 원을 파면시킴. 1511)옥수(獄囚):감옥에 갇혀 있는 죄인...
열녀춘향수절가 주석 1)성덕(聖德):거룩한 덕 즉, 임금의 덕을 말함. 2)성자성손(聖子聖孫):성군(聖君) 즉, 덕화가 탁월한 어진임금의 자손을 말함. 3)계계승승(繼繼承承):자손(子孫)이 대(代)를 이어 가는 모양. 4)금고(金鼓):군중(軍中)에서 치는 쇠붙이와 북. 옥적(玉笛):옥으로 만든 혹은, 아름다운 피리. 5)요순(堯舜):중국 고대의 덕망이 높은 천자인 요와 순. 6)의관문물(衣冠文物):그 나라 사람들의 옷차림새 및 인문방면과 물질 방면의 모든 사항. 7)우탕(禹湯):주(周)나라의 우왕과 은(殷)나라의 탕왕. 모두 고대의 성왕(聖王). 8)주석지신(柱石之臣):나라에 아주 중요한 신하를 기둥과 주춧돌에 비유해서 이르는 말. 9)용양호위(龍양虎衛):용처럼 뛰어오르고 호랑이처럼 지킴. 10)간성..
열녀춘향수절가 숙종대왕 즉위 초에 성덕이 넓으시사 성자성손은 계계승승하사 금고옥족은 요순시절이요, 의관문물은 우탕의 버금이라. 좌우보필은 주석지신이요, 용왕호위 간성지장이라. 조정에 흐르는 덕화 향곡에 펴여 있고, 사해의 굳은 기운 원근에 어리었다. 충신은 만조정이요, 효자 열녀 가가재라. 미재미재여. 우순풍조하니 일대건곤 성명세라. 이때에 삼천동 거하시는 이한림이라 하는 양반이 있으되 세대 잠영 지족으로 국가충신지후예라. 일일은 전하께옵서 충효록을 올려보시고 충효자를 택출하사 자목지관 임용하실새 이한림으로 과천현감에 금산군수 이배하여 남원부사 제수하시니, 이한림이 사은숙배 하직하고 즉시 치행하여 남원부에 도임하고 선치민정하니, 사방에 일이 없고 백성들은 더디옴을 칭송하고 강구연월에 문동요라. 시화년..
만정(晩汀) 김소희판 춘향가 이 창본(唱本)에 수록된 가사와 아니리 용어는 호남지방(湖南地方)의 방언(方言)을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가창자의 음운 현상으로 창본과 다르게 소리되는 부분도 있습니다. 이 창본은 인간문화재였던 만정 김소희님께 사사 받으신 안숙선 명창의 창본을 참고하였습니다. 아니리 영웅열사(英雄烈士)와 절대가인(絶對佳人)이 삼겨날 제 강산정기(江山精氣)를 타고 나는디 군산만학부형문(群山萬壑赴荊門)에 왕소군(王昭君)이 삼겨나고 금강활이아미수(錦江滑 峨嵋秀)에 설도문군탄생(薛濤文君誕生)이라. 우리나라 호남좌도(湖南左道) 남원부(南原府)는 동으로 지리산 서으로 적성강(赤城江) 산수정기(山水精氣) 어리어서 춘향이가 삼겼겄다. 숙종대왕(肅宗大王) 직위초(卽位初)에 서울 삼청동(三淸洞) 사는 이한림(李翰..
춘향가(春香歌) (전략) 곡성(谷城)은 노인(老人)이라 잔꾀를 먼저 내어, 어(御)사또와 수작(酬酌)할 제 가긍 정세(可矜情勢) 보이것다."저기 앉은 손님하고 좌석(座席)이 멀었기로 수작을 못 했으니, 나 값 아니 되었으나 부탁할 말씀 있소. 널값이나 얻자 하고 간신히 서둘러서 곡성을 얻은 것이 두 도목(都目)이 못다 되니, 밤낮으로 하는 생각 원(員) 떼일까 염려(念慮)오니, 서울 올라가신 후에 각(各) 사랑(舍廊) 수작할 제 곡성 말이 나옵거든 명관(明官)이라 하여 주어, 준과(遵科)하게 하시며는 적선지가(積善之家) 필유여경(必有餘慶), 자손(子孫) 창대(昌大)하오리다."어사또 하는 대답 아무 사정(事情) 없이 하여, ,"우리 같은 과객(過客)이야 서울을 어찌 가며, 설령 서울 가기로서 각 사랑을 어..
적벽가 전문 아니리 한(漢)나라 말엽 위한오(魏漢吳) 삼국시절에 황후유약(皇后幼弱)허고 군도병기(群盜竝起)헌디 간흉(奸凶)허다 조맹덕(曺孟德)은 천자를 가칭(假稱)하야 천하를 엿보았고 범람(汎濫)타 손중모(孫仲謀)는 강하(江夏)에 험고(險固)믿고 제업(帝業)을 명심(銘心)허며 창의(倡義)헐사 유현적(劉玄德)은 종사(宗社)를 돌아보아 혈성(血誠)으로 구치(驅馳)허니 충간(忠奸)이 공립(共立)허고 정족(鼎足)이 삼분헐새 모사는 운집(雲集)이요 명장은 봉기(蜂起)로다.북위모사(北魏謀士) 정욱(程昱) 순유(筍攸) 순문약(筍文若)이며 동오모사(東吳謀士) 노숙(魯肅) 장소(張紹) 제갈근(諸葛瑾)과 경천위지(經天緯地) 무궁조화(無窮造化) 잘긴들 아니허리. 그때여 한나라 유현덕은 관우(關羽) 장비(張飛)와 더불어 도원..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