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6‧25전쟁 / 한국전쟁에 대하여

by 송화은율
반응형

625전쟁에 대하여

 

(1)625전쟁은 1945815일 한반도를 강제 점령하고 있던 일본의 패망에 따라, 미소의 한반도 분단 정책에 의해 비롯된 전쟁으로 미소 냉전의 첨예한 대립 국면에서 북한 공산 정권이 1950625일 기습적으로 38도선을 돌파 남침한 것을, 한국과 참전국이 함께 개전 초기에 북의 공격을 막아내어, 우리가 공산화되는 문턱에서 북의 의도를 좌절시킨 전쟁이다.

 

(2)북한 김일성은 1946년부터 소위 민주 기지론을 주장하여 북한을 공산 체제로 만들고, 북한의 모든 역량을 전쟁 준비에 동원하였다.

 

(3) 1945년과 1950년 초에 소련을 방문한 김일성은 남침계획을 설명하고 전차 및 야포 등의 지원을 스탈린으로부터 받아냈고, 중공군에 편성된 한인 약 4개 사단의 병력을 북한군에 편입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따라서 북한군은 625전쟁 발발 당시 소련제 전차 등 최신예 장비로 중무장되었고, 중국 내전을 통해 전투경험이 축적된 막강한 전투 인력을 확보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625전쟁은 우연한 사건을 계기로 발발된 것이 아니라 북한의 치밀한 사전 준비에 의한 계획된 전쟁이었다.

 

(4)이에 비해 남한의 군사력은 상대적 열세에 있었다. 19496월 주한미군이 철수한 이후 국군은 제 2차 세계대전시 미군이 사용하던 노후화된 경장비 위주로 무장되어 있었고, 전차나 대전차 화기가 전무한 상태에서 공비 토벌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체계적인 전술 훈련도 실시하지 못한 형편이었다.

 

(5)또한, 북한과의 힘의 균형에서 열세라고 판단한 한국 정부는 전차, 항공기 등의 무기 지원을 미국에 강력히 요청하였으나, 한반도에서는 전쟁이 일어나지 않으며, 주일 미군의 해, 공군력으로 북한의 침략을 억제할 수 있다는 미국의 판단으로 인해 거절당했다. 따라서 한국군은 겨우 국경을 경비하고 내부 치안을 유지할 수 있는 치안군 수준의 장비로 경무장되어 있었고, 한반도에서의 힘의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었다.

 

(6)이러한 남북한의 군사력 불균형은 전쟁 발발 초기에 여실히 드러났다. 서울은 북한의 기습 남침 3일 만에 함락되었고, 국군은 북한의 전차를 대전차 무기 하나 없이 맨주먹으로 막을 수밖에 없었다.

 

(7)침략자를 응징한다는 유엔 결의에 따라 미군 선발대인 스미스 특수 임무 부대가 195073일 오산에 투입되었다. 스미스부대는 일본에서 점령군으로서 안일하고 편안한 생활을 영위하다가 전투 부대로서의 훈련도 충실히 받지 못한 상태에서 급조되어 파견되었다. 세계 최강의 미군이라는 자부심으로 가득찬 이들 또한, 북한군의 전력을 과소 평가하여 대전차 무기도 제대로 갖추지 않은 채 전투에 투입되어 막대한 손실을 당하였.

 

 

(8)미군과의 초기 전투에서 자신감을 얻은 북한군은 기세가 높아져 더욱 공세를 강화하였으나, 전투력을 재정비한 국군과 미군은 지연전을 전개하여 낙동강을 연하는 최후의 방어선인 부산 교두보를 확보하였다.

 

(9)특히 미군은 피난민과 북한군을 구별하지 못함으로써 피난민에 대한 공포심을 가질 정도로 피난민을 기피하는 현상을 초래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무고한 양민들이 희생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10)낙동강 방어선에서 국군과 유엔군은 적의 총공격을 결사적으로 방어하는 한편, 재정비를 통해 반격을 위한 준비를 갖추었고, 맥아더 장군의 인천상륙작전을 통해 적의 후방을 차단함으로써 전세를 역전시키는 계기를 만들었다.

 

(11)승기를 잡은 국군과 유엔군은 1950928일 서울을 탈환하고, 한반도에 통일된 독립 국가를 수립한다는 유엔 결의안에 따라 10138도선을 돌파하여 북진을 감행하였다.

 

(12)그러나, 예상치 못한 100여만 명의 중공군 개입으로 국군과 유엔군은 철수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서울이 다시 피탈되고 탈환되는 과정을 겪었고, 625전쟁이 발발된 지 1년이 경과된 19516월에는 다시 38도선을 중심으로 전 전선이 소강상태를 이루는 상황에서 치열한 국지전이 전개되었다.

 

(13)북한과 중국은 막대한 인력 및 국력의 손실로 전쟁 수행능력이 고갈된 상태에 있었고, 미국도 공산 침략자를 응징하였다는 명분과 더 이상의 확전은 세계 전쟁으로 비화될 수 있다는 판단 하에 1951710일 개성에서 최초의 휴전 회담이 개막되었다.

 

(14)휴전 협상의 최대 걸림돌인 전쟁포로 문제에서 난항을 거듭하자, 한국 정부는 일방적으로 반공포로를 석방함으로써 자유 민주주의를 사랑하는 사람을 북한에 보낼 수 없다는 정부의 단호한 의지를 표명하였고, 미국과의 상호 방위조약과 지원을 약속받음으로써 전후 한국 안보에 대한 보장을 확보하였다.

 

(15)1953727일 휴전 협정이 조인됨으로써 전쟁이 끝이 났으나,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보장하지 못하고 민족의 분단을 고착시키는 결과만을 초래하였다.

 

http://www.koreanwar.go.kr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