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언어의 본질

by 송화은율
반응형

언어의 본질

 

() 활동으로서의 언어

언어 활동은 그 기능으로 보아 도구적(道具的)이며, 인간의 존재와 관련해 볼 때 자기실현적(自己實現的)이고, 인간의 지적사회적 활동이라는 점에서는 문화적(文化的)이며, 그 생산의 특질로 보면 창조적(創造的)행위이고, 사회적 삶과 관련될 때는 유희적(遊戱的) 행위가 된다.

 

() 문화성(文化性)

언어 활동의 문화성은 언어가 인공물이며, 거기에는 삶과 역사의 흔적이 배어 있다는 점에서 문화의 일차적 정의인 인공(人工)질서(秩序)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누구나 남들이 이미 사용하는 말의 체계에 따라 말하려 한다든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방식으로 편지를 쓰려 한다든가, 속담이 삶에 대한 지혜를 담고 있다고 보는 것은 언어 활동이 질서이며 인공적인 것이라는 본질의 인식에 바탕한 것이다.

 

이러한 본질은 문화를 삶의 방식으로 보거나 지적 세련으로 보는 등의 관점 차이에도 불구하고 문화로서의 언어 활동이라는 관점을 유지하게 해준다. 훌륭한 시 작품을 자기도 모르게 왼다든지, 감동적인 문학 작품을 찾아 읽는 일은 지적 세련으로서의 문화에 참여하는 행위이다. 또 바닷가에서 사는 사람은 산골에서 사는 사람보다 바람의 명칭을 훨씬 다양하게 구분하게 된다든지, 기성 세대와는 다른 언어를 젊은 세대가 구사하는 것은 삶의 방식으로서 문화를 언어로 구현하는 행위가 된다.

 

이 밖에 <사오정 시리즈><참새 시리즈>를 만들고 혹은 즐기면서 세태를 풍자하는 현상은 그러한 표상을 통해 사회적 의미 작용을 행하는 예가 된다. 또 일부러 생소한 외국어나 북한에서만 쓰는 말을 사용하는 것도 일종의 문화적 의미 작용이라 할 수 있다. 남들이 잘 쓰지 않는 말을 씀으로써, 혹은 특정한 부류가 쓰는 말을 사용함으로써 차별성이나 동질성을 강조하는 말하기는 그러한 표상을 통해서 사회적 의미 작용을 통해 어떤 힘을 획득하려는 문화적 행위라 할 수 있다.

 

이처럼 각각의 문화적 표상이 함축하고 있는 성격이나 의미는 차이가 있지만 언어 활동이 문화로서의 성격을 지닌다는 점은 어느 경우나 공통된다.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학 사전󰡕, 대교 출판, 1999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