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흥부 부부상(夫婦像) / 해설 및 이해와 감상 / 박재삼

by 송화은율
반응형

흥부 부부상(夫婦像) - 박재삼


흥부 부부상  요점 정리

 

 지은이 : 박재삼(朴在森)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율격 : 내재율

 성격 : 전통적, 회상적, 인유적(引誘的)

 어조 : 권고적, 단정적, 대화적

 심상 : 묘사적 심상

 구성 :

1연 박덩이를 사이 한 흥부 부부의 정갈한 웃음

2연 가난하지만 서로를 잘 이해하는 흥부 부부

3연 흥부 부부의 진정 어린 눈물과 웃음(삶의 애환을 웃음으로 승화시킴)

 제재 : 박 타는 흥부 부부

 주제 : 가난한 삶의 애환과 소박한 행복 / 흥부 부부의 삶의 애환과 소박한 행복 / 가난을 사랑과 웃음으로 극복하는 삶의 자세

 특징 : 유사한 어구의 반복으로 율격을 형성하고, 명령형과 단정적인 종결어미를 통해 교훈적인 의도를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출전 : <춘향이 마음>(1962)

 

 

 내용 연구

 

흥부 부부[정신적 행복을 추구하는 소박한 인간상]가 박덩이[가난한 생활을 상징]를 사이 하고

가르기 전에 건넨 웃음살['웃음'을 '물살'에 비유 / 현실에 만족하는 삶의 자세]을 헤아려 보라.[박을 가르기 전에 흥부 부부가 서로 주고받은 '웃음살'은 안분지족(安分知足)할 줄 아는 서민들의 삶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금이 문제리.

황금 벼이삭[금, 황금은 물욕, 물질적인 가치]이 문제리,

웃음[물질적 빈곤을 이겨나가는 힘 / 정신적 가치]의 물살이 반짝이며 정갈하던[(모양이나 옷 따위가)깨끗하고 말쑥하던]

그것이 확실히 문제다.[가난하지만 현실에 만족할 줄 아는 마음씨가 중요함을 단정적 어조로 나타냄. / 금보다도, 누렇게 익은 벼이삭보다도 박덩이가 좋아서 소박하면서도 순수한 웃음을 지을 줄 아는 흥부 부부의 태도가 대단히 중요하다는 뜻으로, 가난하지만 순수한 흥부 부부의 태도가 우리에게 가장 소중한 것임을 표현]

 

없는 떡방아 소리도[가난한 형편]

있는 듯이 들어 내고[낙천적 성격]

손발 닳은 처지끼리[고달픈 처지]

같이 웃어 비추던 거울면들아.[거울의 면과도 같은 이들아/ 서로에 대한 이해와 사랑  / 서로 같이 웃어 거울에 자기 얼굴을 비추는 것과도 같던 이들아. 흥부 부부의 서로에 대한 이해와 사랑을 '거울'에 비유 / 먹을 것 없는 적빈(赤貧)의 상황에서도 사랑으로 소박한 행복을 누리며 살아가는 모습을 그린 부분.]

 

웃다가 서로 불쌍해[비참한 현실 상황 인식]

서로 구슬[눈물의 은유적 표현]을 나누었으리.[지극히 가난한 생활에 대한 흥부 부부의 한을 서로에 대한 연민에서 흘리는 '눈물'로 표현]

그러다 금시[바로 지금]

절로 면에 온 구슬[얼굴에 흐르는 눈물조차]까지를 서로 부끄리며[부끄러워하며]

먼 물살이 가다가 소스라쳐[깜짝 놀라 몸을 뛸 듯이 움직여] 반짝이듯

서로 소스라쳐[깜짝 놀라 몸을 떠는 듯이 움직여]

본웃음['본웃음'은 '사랑으로 눈물을 극복한 후의 진정한 웃음] 물살을 지었다고 헤아려 보라.[신들도 모르게 눈물을 흘리는 것조차 부끄러워하며 놀래서 다시금 웃음을 짓는 흥부 부부의 사랑 가득 찬 행동을 통해 가난한 생활에서 오는 한을 극복하고자 하는 서민들의 애환을 표현]

그것은 확실히 문제다.[반복을 통한 강조 / 단순히 소박한 생활에 만족하는 차원이 아니라 가난한 삶의 한까지도 진정한 사랑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삶의 자세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임을 단정적인 어조로 나타낸 표현]

 

 

 이해와 감상

 

 이 시는 대표적인 고전 소설인 '흥부전'을 재해석하여 장르 변용을 시도한 작품이다. 흥부의 이야기는 선한 마음을 가진 자가 복을 받는 이야기임을 누구나 잘 알고 있다. 선행에 보답 받은 흥부는 행복하게 잘 살게 되고 악행의 업보로 놀부는 가난해지는 것이 우리가 알고 있는 설화의 내용이다. 그러나 시인은 흥부의 이야기를 새롭게 이해한다. 행복이란 흥부가 보답을 받아 부자가 되기 이전 가난한 때, 부부간에 존재하던 진정한 사랑을 간직한 바로 그 때 존재한다는 것이다.

 

 박을 타려 할 때의 순수한 웃음, 없는 떡방아 소리도 듣던 순수한 사랑, 마주보며 웃음을 나누고 또한 상대와 슬픔을 함께 하며 부끄러운 마음을 간직한 그 때가 진정으로 아름다운 것이 아니겠는가고 시인은 질문하고 있다. 황금보다도 벼이삭보다도 더욱 소중한 것이 부부간의 진정한 사랑이며, 물욕 이전의 인간의 순수함이 진실된 것이라는, 이 시의 가치관을 이해하며 감상해 보자.

 

 이 시는 가난으로 인한 한(恨)을 지니면서도 그것을 사랑으로 극복해 내는 서민들의 삶의 애환을 박 타는 '흥부 부부'를 소재로 하여 표현하고 있다.

 

 1연에서 흥부 부부는 안분지족(安分知足)하며 행복한 웃음을 짓고 사는 인간상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시적 화자는 이러한 인간상을 소중하다고 단정적으로 말한다. 2연에서 시적 화자는 가난 속에서도 서로를 이해하면서 살아 온 흥부 부부가 가난한 생활에서 오는 한을 사랑으로 극복하였음을 말해 준다.

 

 구체적으로 시적 화자는 가난으로 인한 고통 속에서 흥부 부부가 서로 울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그러한 울음은 바로 가난으로 인한 한을 가리킨다. 그러나 흥부 부부는 그러한 울음을 불현듯 느껴지는 서로에 대한 사랑 속에서 웃음으로 승화시킨다.

 

 이 시가 궁극적으로 주장하고 있는 것은 가난한 삶의 애환과 그 극복이다. 이를 위하여 시인은 흥부 부부의 '웃음'을 '물살'에 비유하고 있다. 물론 그 '물살'은 '한(恨)'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다. 결국, 이 시에서 '한'(눈물)과 '웃음'은 서로 혼용되어 있는데, 시인은 이러한 비유를 통해서 서민들의 삶과 애환을 복합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심화 자료

 

박재삼(朴在森, 1933-1997)

 

 시인. 일본 도쿄 출생. 일상적 생활의 소재를 깊은 한(恨)과 슬픔의 섬세한 서정적 감각으로 엮어 냈으며, 한국 시의 전통적 서정을 가장 친밀하게 계승한 시인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시집으로는 <춘향이 마음>(1962), <추억에서>(1985) 등이 있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