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휴전선(休戰線) - 박봉우

by 송화은율
반응형

휴전선(休戰線) - 박봉우


< 감상의 길잡이 1 >

박봉우의 시는 머리가 아닌, 가슴으로 느껴야 하는 육성(肉聲)의 시이다. 그의 시는 날카로운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사회 곳곳에 숨어 있는 불의와 비리를 고발하고 비판하는, 이른바 참여시의 특성을 갖는다. 50년대의 전쟁과 폐허로부터 60년대의 민주 혁명과 군사 독재, 70년대의 속 빈 강정 같은 풍요 속에서 느끼는 정신적 빈곤감, 80년대의 민주화 열망 등 광복 이후 거친 숨을 몰아 쉬며 달려온 우리 사회를 온몸으로 맞닥뜨리고 시를 쓴 시인이다.

 

이 시는 1956년도 조선일보 신춘문예 당선작으로 전쟁의 포성이 멎은 지 얼마 안 되는 당시 상황에 대단히 큰 사회적 반향을 일으킨 작품이다. 이데올로기의 첨예한 대립과 적대감을 극복하고 진정으로 민족이 하나가 되는 통일의 그 날을 갈망하는 시인의 절규가 완곡한 산문 율조의 형식으로 절제되어 나타나 있다.

 

화자는 15연에서 믿음이 없는 얼굴과 얼굴이’ 155마일 휴전선을 마주하고 있는 민족의 분단 상황을 이상할 만큼 담담한 어조로 제시하고 있다. 화자는, 휴전선이 꼭 한 번은 천둥 같은 화산이 일어날 것을 알면서 이 되어 있다고 한다. 그러므로 여기서 은 실제의 꽃이라기보다는 전쟁은 일시 멈추었지만, 더욱 깊어진 증오심으로 대치해 있는 분단의 모습을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요런 자세라는 구절에서 요런 겨우 이것 밖에는 안되는의 의미로, 일시 포성이 멈추기만 했을 뿐, 평화가 찾아온 것이 아닌 분단 상황을 비아냥거리는 화자의 심리가 내재해 있다.

 

2연에서 화자는 서로 응시하는 쌀쌀한 풍경의 휴전선의 모습을 통하여 팽팽한 긴장감으로 대립하고 있는 남과 북의 현실을 제시하고 있다. 만주를 호령했던 고구려 같은 정신이나 삼국을 통일한 신라 같은 이야기가 더 이상 존재할 수 없는 오늘날의 민족 상황을 비판하는 한편, 지금은 비록 남과 북이 허울좋은 이데올로기로 분단되어 있더라도 별들이 차지한 하늘은 끝끝내 하나라며 통일의 당위성을 역설한다. 그리고 그것은 우리 무엇에 불안한 얼굴이냐며 하루빨리 전쟁의 위협에서 벗어나고 싶어하는 민족의 큰 소망으로 발전한다.

 

3연에서는 분단의 의미를 재조명하고 있다. 분단은 나무 하나 안심하고 서 있지 못할 광장이며, ‘정맥이 끊어진 신체와 동일한 것으로 인식하는 화자는 분단 상황이 계속되면 될수록 민족사는 더욱 야위어갈 수밖에 없음을 지적하며 절망하고 있다.

 

4연에서 화자는 독사의 혀 같은 징그러운 전쟁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기를 간절히 소망함으로써 동족 상잔에 대한 불안감을 드러내고 있다. ‘모진 겨우살이와 같았던 625의 비극적 체험을 겪은 바 있는 화자는 아무런 죄도 없이 피어난 꽃이 바람에 쓰러지는 것 같은 전쟁이 더 이상 있어서는 안된다며 아름다운 길은 이뿐인가라고 외친다. 아무리 그럴듯한 미사여구로 장식된 전쟁이라 하더라도 그것은 결국 죄없는 백성들의 목숨을 담보로 한 정치 지도자들의 허황된 정치 논리라는 것을 잘 보여 주고 있다.

 

 

< 감상의 길잡이 2 >

박봉우의 휴전선은 민족의 비극이었던 625라는 역사적 상황이 시의 배경을 이룬다. 남과 북으로 분단되어 서로에게 총칼을 겨누는 숨막히는 대치 공간인 휴전선을 빌어 분단의 아픔과 전쟁의 비극이 상징적으로 나타나 있다. 시인은 전쟁 혹은 비극이라는 직접적인 단어를 피하고 암시적인 시어를 채택함으로써 흔히 분단과 전쟁을 떠올릴 때 흔히 범하기 쉬운 감정의 과잉분출을 막고 독자들에게 분단이 우리에게 주는 피폐함을 상기시킨다. 각 연의 서술어는 물음의 형식을 취하고 있어서 직접적인 정서의 노출을 피하는 동시에 독자의 시적 반응을 자연스레 끌어내는 구실을 한다. 마주 향한 산과 산, 꽃과 꽃은 자연 상태 그대로 어우러진 상태가 아니라 화산과 같은 변란이 언제 닥칠지 몰라 두려워하는 긴박한 상황이다. 조국은 아름다운 삶의 터전이 아니라 전란이 휩쓸고 지나간 을씨년스러운 풍경으로 가득하며 언제 전란이 닥칠지 모르는 긴박한 대치상태에 놓여있다.  `쌀쌀한 풍경' 가운데서 시인은 민족의 기상을 드높였던 고구려와 통일을 이루었던 신라를 떠올린다. 화해로운 삶에 대한 역사적 기억은 한 하늘을 두고도 적대관계로 나뉘어 사는 현재의 상황과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2연에서 우리의 `불안한 얼굴의 의미'는 무엇인가를 묻는 시인의 물음은 전쟁과 분단으로 인한 불안과 고통이라는 대답을 숨기고 있다. 3연에서 전쟁의 의미는 독사의 혀같이 징그러운 바람으로, 민족 전체가 겪어야 하는 고통은 죄 없이 피어난 꽃이 겪어야 하는 모진 겨우살이로 표현되어 있다. 피폐하고 고통스러운 시간이 언제까지 지속될 것이며 또다시 되풀이될 것인가에 대한 강한 우려를 시인의 목소리는 담고 있다. 마지막 연에서 첫연을 반복하는 것은 이러한 시인의 우려와 현재에 대한 비판을 강하게 부각시키는 구실을 한다. 휴전과 분단의 상황을 `정맥이 끊어진' 상태, `나무도 안심하고 서 있지 못하는' 상황으로 묘사하여 휴전선과 분단에 대한 저항적이고 고발적인 의미를 부각시키는 이 시는 강대국의 세력 각축과 이데올로기의 틈바구니에서 한민족에게 부과되었던 참혹한 비극을 상징적이고도 강렬하게 형상화하였다. [해설: 유지현]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