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노루 - 박목월
by 송화은율청노루 - 박목월
머언 산 청운사
낡은 기와집
산은 자하산
봄눈 녹으면,
느름나무
속ㅅ잎 피어 나는 열 두 구비를
<후략>
<핵심 정리>
▶ 감상의 초점
이 시는 박목월의 자연관이 어떠한가를 잘 보여 주는 작품이다. 자연을 대하는 시인의 태도는 어떠하며 30년대 말기에 ‘자연’에 대한 관심으로 기울게 되는 사회적 배경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 시가 한 폭의 동양화에 견주어질 수 있다면 어떤 점에서 그러한가를 살펴보고, 시각적 심상만 문제삼는 데 그치지 말고 청각적 심상에 대해서도 검토해 보자.
▶ 성격 : 낭만적, 서경적, 전통적, 관조적, 향토적
▶ 심상 : 정중동(靜中動)의 심상
▶ 어조 : 담담하게 찬탄하는 어조
▶ 표현 : ① 조사를 생략하여 체언으로 마감함.
② ‘ㄴ’음(비음)을 반복 사용함으로써 아늑하고 은은한 분위기를 돋움.
▶ 시상 전개 : 시선의 이동(원근법)
▶ 구성 : ① 원경--공간적, 시간적 배경(제1,2연)
② 근경(제3연)
③ 내경(제4,5연)
▶ 제재 : 청노루
▶ 주제 : 봄의 정경과 정취. (자연의 서경과 관조의 세계)
<연구 문제>
1. 이 시에 두드러진 ‘색채적 이미지’를 찾아서, 이를 통해 ‘자연의 본질’을 140-180자 정도로 설명해 보라.
<모범답> ‘청노루’의 푸른색, ‘자하산’의 보라색, ‘느릅나무’의 초록색, ‘구름’의 흰색 등으로 서경적 아름다움, 자연의 원초적 생명력과 동양의 정적인 관조의 조화를 엮어내고 있는 점이 두드러진다. 인위적인 변질을 겪지 않은 상태의 무위 자연(無爲自然)은 본질적으로 인간이 순수한 마음으로 살아갈 수 있는 조화로운 미적 세계임을 말하고 있다.
2. 이 시가 ‘서경적’이면서도 끝내 주정적으로 읽혀지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모범답> 시의 전반에 걸쳐 절제된 목소리(tone)와 조사를 생략한 표현이 주는 여운 때문에 주정적으로 읽혀진다.
3. 정중동(靜中動)의 이미지가 드러나 있는 세 연을 지적하라.
<모범답> 제2,3,5연
4. 이 시의 ‘청노루’가 주는 느낌을 세 음절의 고유어로 쓰라.
<모범답> 깨끗함
<감상의 길잡이>
<청록파>가 일제 말기에 ‘자연’에 대한 관심으로 기울게 된 까닭을 ‘잃어버린 하늘과 딛고설 땅을 빼앗긴 상황’에서 찾기도 한다. 그러나 <청록파>의 자연은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자연이라기보다는 시인의 내면 속에서 이상화된 자연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청노루는 세칭 <청록파> 시인의 초기시에 나타나는 자연 지향적 특성을 그대로 보여 주는 대표적인 시라고 볼 수 있다.
자연의 인간에 대한 우호적 측면을 강조하게 되면, 자연은 미적 관조의 대상으로서 취급되게 마련이고, 시인은 자연 친화적 태도로 기울게 마련이다. 반면, 자연의 인간에 대한 비우호적이고 적대적인 측면에 눈이 미치면, 자연은 삶의 터전이요 생산의 현장으로서의 의미가 부각되고, 시인은 자연과의 투쟁이라는 태도로 기울 수밖에 없을 터이다. 이 시인은 전자(前者)의 예에 속한다.
한 폭의 동양화를 연상시키는 이 시는 봄의 청아한 풍경을 관조적 태도로 노래하고 있다. 원경 묘사로 시작하여 청노루의 맑은 눈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화자 자신은 물론 다른 어떤 인물들도 등장하지 않아 ‘동양화적’이라는 인상을 강하게 느끼게 한다. 시각적 심상뿐만 아니라 이 시가 주는 청각적 심상도 무시해서는 안 된다.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것은 유음이나 비음을 많이 사용한 것과도 관련이 있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