헐려 짓는 광화문(光化門) / 본문 및 해설 / 설의식
by 송화은율
헐린다, 헐린다 하던 광화문은 마침내 헐리기 시작한다. 총독부 청사(廳舍) 까닭으로 헐리고 총독부 정책 덕택으로 다시 지어지리라 한다. 원래 광화문은 물건이다. 울 줄도 알고, 웃을 줄도 알며, 노할 줄도 알고, 기뻐할 줄도 아는 사람이 아니다. 밟히면 꾸물거리고 죽이면 소리치는 생물이 아니라, 돌과 나무로 만들어진 건물이다. 의식 없는 물건이요, 말 못하는 물건이라, 헐고 부수고 끌고 옮기고 하되, 반항도 회피도 기뻐도 설워도 아니한다. 다만 조선의 하늘과 조선의 땅을 같이한 조선의 백성들이 그를 위하여 아까워하고 못 잊어할 뿐이다. 오백 년 동안 풍우(風雨)를 같이 겪은 조선의 자손들이 그를 위하여 울어도 보고 설워도 할 뿐이다. 석공의 망치가 네 가슴을 두드릴 때도 너는 알음이 없으리라마는, 뚝닥닥 하는 소리를 듣는 사람이 가슴 아파하며, 역군(役軍)의 연장이 네 허리를 들출 때에 너는 괴로움이 없으리라마는, 우지끈 하는 소리를 듣는 사람이 허리를 저려할 것을 네가 과연 아느냐, 모르느냐. 팔도 강산의 석재와 목재와 인재의 정수(精粹)를 뽑아 지은 광화문아! 돌덩이 하나 옮기기에 억만 방울의 피가 흐르고, 기왓장 한 개 덮기에 억만 줄기의 눈물이 흘렀던 우리의 광화문아! 청태(靑苔) 끼인 돌 틈에 이 흔적이 남아 있고 풍우 맞은 기둥에 그 자취가 어렸다 하면, 너는 옛모양 그대로 있어야 네 생명이 있으며, 너는 그 신세 그대로 무너져야 네 일생을 마친 것이다. 풍우 오백 년 동안에 충신도 드나들고 역적도 드나들며, 수구당도 드나들고 개화당도 드나들던 광화문아! 평화의 사자(使者)도 지나고 살벌(殺伐)의 총검도 지나며, 일로(日露)의 사절도 지나고 원청(元淸)의 국빈도 지나던 우리의 광화문아! 그들을 맞고 그들을 보냄이 너의 타고난 천직이며 그 길을 인도하고 그 길을 가리킴이 너의 타고난 천명이라 하면, 너는 그 자리 그 곳을 떠나지 말아야 네 생명이 있으며, 그 방향 그 터전을 옮기지 말아야 네 일생을 마친 것이다. 너의 천명과 너의 천직은 이미 없어진 지 오래였거니와, 너의 생명과 너의 일생은 지금 헐리는 순간에, 옮기는 찰나에 마지막으로 없어지려고 하는구나! 오오, 가엾어라! 너의 마지막 운명을 우리는 알되 너는 모르니, 모르는 너는 모르고 지내려니와 아는 우리는 어떻게 지내라느냐. 총독부에서 헐기는 헐되 충독부에서 다시 지어 놓는다 한다. 그러나 다시 짓는 그 사람은 상투 짠 옛날의 그 사람이 아니며, 다시 짓는 그 솜씨는 피묻은 옛날의 그 솜씨가 아니다. 하물며 이시이인(伊時伊人)의 감정과 기분과 이상(理想)이야 말하여 무엇하랴? 다시 옮기는 그 곳은 북악을 등진 옛날의 그 곳이 아니며, 다시 옮기는 그 방향은 구궁(九宮)을 정면으로 한 옛날의 그 방향이 아니다. 서로 보지도 못한 지가 벌써 수년이나 된 경복궁에 옛 대궐에는 장림(長霖)에 남은 궂은비가 오락가락한다. 광화문 지붕에서 뚝딱 하는 망치 소리는 장안(長安)을 거쳐 북악에 부딪친다. 남산에도 부딪친다. 그리고 애달파하는 백의인(白衣人)의 가슴에도 부딪친다.……. 작자 : 설의식(薛義植)
역군 : 토목, 건축 따위의 공사터에서 삯일을 하는 사람.
광화문은 조선 시대 정궁인 경복궁의 정문으로 왕실과 국가의 권위를 상징하는 문이다. 임란 때 불타 버리고 중건되었으나 다시 1927년 일본의 문화 말살 정책에 의해 강제로 헐려 옮겨 지어지게 된다. 1926년 '동아일보(8. 11)'에 발표되었던 이 작품은 일제가 조선 총독부 청사를 짓기 위해 헐어내는 광화문에 대한 지은이의 섭섭한 마음을 그리면서, 우리의 민족 문화가 일본 군국주의자들에 의해 말살되는 데 대한 분노와 울분을 통해 독자들에게 민족혼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광화문은 팔도 강산의 석재와 목재와 인재의 정수를 뽑아 지은 것이고, 거기에는 우리 역사의 마디마디가 짙게 새겨져 있다. 작가는 우리 민족의 역사가 살아 숨쉬고 우리 민족의 혼이 담겨 있는 광화문이 헐리는 것을 우리 민족혼의 헐림으로 파악한다. 그러기에 광화문이 헐리는 소리가 북악에 부딪치고 모든 백의인의 가슴에 부딪칠 때, 그 울분과 분노를 이기지 못하는 것이다. 이러한 울분은 강한 어조로 힘있게 표현됨으로써 일제에 대한 저항을 암시하기도 한다.
광화문 현재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재건되기 이전의 광화문은 석축기단(石築基壇)에 3궐(三闕)의 홍예(虹朗)를 만들고 그 위에 정면 3칸의 중층우진각 지붕으로 된 목조문루를 세웠다. 두공(枓뱀)은 다포식(多包式)으로 상하층이 모두 외이출목(外二出目) ·내삼출목(內三出目), 외부는 제공(諸工) 뿌리를 쇠서로 하고, 내부는 운공(雲工)을 만들었으며, 첨차(墅遮) 양측면에는 모두 파련초각(波蓮草刻)을 하였다. 이 건물은 섬세한 수법과 웅대한 구조를 보여주고, 전체적으로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 장려한 외관을 지닌 가장 뛰어난 궐문(闕門)으로 평가되었다. 당초 1395년(태조 4) 9월에 창건되어 정도전(鄭道傳)에 의해 사정문(四正門)으로 명명되었으나 1425년(세종 7) 집현전에서 광화문이라고 바꾸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270여 년 간 중건되지 못하다가 1864년(고종 1) 흥선대대원군의 경복궁 재건으로 다시 옛 모습을 되찾았다. 한일합방 후 1927년 조선총독부가 경복궁 동문인 건춘문(建春門) 북쪽에 이전시켰고, 그 후 6 ·25전쟁으로 소실된 것을 1969년 2월 철근큰크리트 구조로 복원시켰다.(출처 : 동아대백과사전)
|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