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포탄(黃浦灘)의 추석(秋夕) / 본문 일부 및 해설 / 피천득
by 송화은율황포탄(黃浦灘)의 추석(秋夕) / 피천득
월병(月餠)과 노주(老酒), 호금(胡琴)을 배에 싣고 황포강(黃浦江) 달놀이를 떠난 그룹도 있고, 파크 호텔이나 일품향(一品香)에서 중추절(仲秋節) 파티를 연 학생들도 있었다. 도무장(跳舞場)으로 몰려간 패도 있었다. 텅 빈 식당에서 저녁을 먹고 방에 돌아와 책을 읽으려 하였으나, 마음이 가라앉지 않았다. 어디를 가겠다는 계획도 없이 버스를 탄 것은 밤 아홉 시가 지나서였다. 가든 브리지 앞에서 내려서는 영화 구경이라도 갈까 하다가 황포탄 공원(黃浦灘公園)으로 발을 옮겼다.
빈 벤치가 별로 없었으나 공원은 고요하였다. 명절이라서 그런지 중국 사람들은 눈에 뜨이지 않았다. 이 밤뿐 아니라 이 공원에 많이 오는 사람들은 유태인, 백계(白系) 노서아 사람, 서반아 사람, 인도인들이다. 실직자, 망명객 같은 대개가 불우한 사람들이다. 갑갑한 정자간(亭子間)에서 나온 사람들이다.
누런 황포 강물도 달빛을 받아 서울 한강(漢江) 같다. 선창(船窓)마다 찬란하게 불을 켜고 입항하는 화륜선(火輪船)들이 있다. 문명을 싣고 오는 귀한 사절과도 같다. '브라스 밴드'를 연주하며 출항하는 호화선도 있다. 저 배가 고국에서 오는 배가 아닌가, 저 배는 그리로 가는 배가 아닌가 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같은 달을 쳐다보면서 그들은 바이칼 호반으로, 갠지즈 강변으로, 마드리드 거리에 제각기 흩어져서 기억을 밟고 있을지도 모른다. 친구와 작별하던 가을 짙은 카페, 달밤을 달리던 마차, 목숨을 걸고 몰래 넘던 국경. 그리고 나 같은 사람이 또 하나 있었다면 영창에 비친 소나무 그림자를 회상하였을 것이다. 과거는 언제나 행복이요, 고향은 어디나 낙원이다. 해관(海關) 시계가 자정을 알려도 벤치에서 일어나려는 사람은 없었다.
작자 : 피천득(皮千得)
형식 : 경수필, 기행 수필
문체 : 간결체
성격 : 체험적, 서정적
주제 : 이국 땅에서 느끼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
출전 : <금아 시문선>(1959)
월병(月餠)과 노주(老酒), 호금(胡琴)을 배에 싣고 황포강(黃浦江) 달놀이를 떠난 그룹도 있고, 파크 호텔이나 일품향(一品香)에서 중추절(仲秋節) 파티를 연 학생들도 있었다. 도무장(跳舞場)으로 몰려간 패도 있었다. 텅 빈 식당에서 저녁을 먹고 방에 돌아와 책을 읽으려 하였으나, 마음이 가라앉지 않았다. 어디를 가겠다는 계획도 없이 버스를 탄 것은 밤 아홉 시가 지나서였다. 가든 브리지 앞에서 내려서는 영화 구경이라도 갈까 하다가 황포탄 공원(黃浦灘 公園)으로 발을 옮겼다.
- 황포탄 공원에 가게 된 경위
빈 벤치가 별로 없었으나 공원은 고요하였다. 명절이라서 그런지 중국 사람들은 눈에 뜨이지 않았다. 이 밤뿐 아니라 이 공원에 많이 오는 사람들은 유태인, 백계(白系) 노서아 사람, 서반아 사람, 인도인 들이다. 실직자, 망명객 같은 대개가 불우한 사람들이다. 갑갑한 정자간(亭子間)에서 나온 사람들이다.
- 황포탄 공원의 정경
누런 황포 강물도 달빛을 받아 서울 한강(漢江) 같다. 선창(船艙)마다 찬란하게 불을 켜고 입항하는 화륜선(火輪船)들이 있다. 문명을 싣고 오는 귀한 사절과도 같다. '브라스 밴드'를 연주하며 출항하는 호화선도 있다. 저 배가 고국에서 오는 배가 아닌가, 저 배는 그리고 가는 배가 아닌가 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같은 달을 쳐다보면서 그들은 바이칼호반으로, 갠지즈 강변으로, 마드리드 거리에 제각기 흩어져서 기억을 밟고 있을지도 모른다. 친구와 작별하던 가을 짙은 카페, 달밤을 달리던 마차, 목숨을 걸고 몰래 넘던 국경. 그리고 나 같은 사람이 또 하나 있었다면 영창에 비친 소나무 그림자를 회사하였을 것이다. 과거는 언제나 행복이요, 고향은 어디나 낙원이다. 해관(海關)시계가 자정을 알려도 벤치에서 일어나려는 사람은 없었다.
- 고향에 대한 향수
월병(月餠) : 달떡, 달 모양으로 둥글게 만든 흰 떡
노주(老酒) : 찹쌀이나 조 또는 기장 따위를 원료로 하여 만든 중국의 양조주
호금(胡琴) : 중국의 호궁(胡弓)류의 악기. 당나라 때는 ‘호인(胡人)의 현악기’라는 뜻으로 비파(琵琶)를 호금이라고 하였으며 호궁에 드는 현악기로서 호금이라는 악기가 생겨난 것은 원나라 때의 일이다. 이 악기는 숟가락 모양의 통으로 된 것과 원통 모양의 통으로 된 것으로 크게 나뉜다. 숟가락 모양의 호금은 현이 두 개 있어 해금(奚琴)이라고도 하였으나 현재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원통 모양의 호금은 명·청나라 때 널리 사용되어 중국극(中國劇)·속곡(俗曲) 등에서는 없어서는 안 되는 악기였으며 특히 경극(京劇)에서는 중심 악기가 되었다. 통의 모양과 크기, 현의 수 등에 따른 여러 종류가 있고 각기 별개의 이름을 갖고 있었으나 현재의 호금은 아주 작은 원통의 통으로 되었으며 경호(京胡)라고도 한다. 길이 약 50 cm, 통의 윗면을 뱀가죽으로 메우고 말총으로 만든 약 70 cm의 활로 탄다.
일품향(一品香) : 맛 좋은 음식을 파는 곳
도무장(跳舞場) : 무도장(舞蹈場). 여러 사람이 모여서 춤추는 곳
노서아 : 러시아의 한자음 표기
서반아 : 스페인의 한자음 표기
브라스 밴드(brass band) : 금관 악기를 주체로 하고 드럼과 작은 북을 곁들여서 편성한 작은 악단
영창 : ①(映窓) 방을 밝게 하기 위하여 방과 마루 사이에 내는 두 쪽으로 된 미닫이. ②(影窓) 유리를 끼운 창. 유리창
해관(海關) : 항구에 설치한 관문(關門)
월병(月餠)과 노주(老酒), 호금(胡琴) : 떡과 술과 악기를 말하는 것으로 추석의 들뜬 분위기를 말해 준다.
텅 빈 식당에서 - 않았다. : 고향을 떠난 객지면서 같은 추석 명절을 쇠는 국가에서 추석을 맞이하여 흥청거리는 사람들과는 대조적으로 외로운 자신의 심정을 떨치지 못한다.
누런 황포 강물도 달빛을 받아 서울 한강(漢江)같다 : 낮에 보면 이국적 풍경에 불과한 누런 황포 강물도 어둠 속의 달빛에 반짝일 때는 고국의 한강과 다를 바 없이 보여 향수에 젖게 한다.
같은 달을 - 있을지도 모른다. : 시대적 여건이나 개인적 사정에 의해 고향을 떠나 세계의 여러 곳에산재해 있을 나와 같은 처지의 사람들은 중추절인 오늘 밤은 보름달을 쳐다보면서 고향에 대한 그리움에 젖을 것이다.
과거는 언제나 행복이요, 고향은 어디나 낙원이다 : 향수는 생애 가운데 가장 안락했던 어머니의 품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충동이다. 이렇듯 과거를 추억하고 고향을 그리워하는 그 순간은 언제나 행복하고 즐거운 시간이다. 이 글의 주제가 함축되어 있는 구절로서, 작자는 지난 날의 고향에서의 추억을 그리워하고 있다.
낯선 타국에서 추석을 맞아 고향을 그리는 심정을 간결체 문장으로 담담하게 서술한 글이다. 명절이기 때문에 이리저리 휩쓸려 다니며 즐기는 사람과 낯선 땅에 왔기 때문에 그 흥청거리는 분위기에 젖지 못하는 사람들을 대조적으로 보여 주면서 자신의 외로운 심사를 객관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글에 과도한 비애나 고독이 노출되어 있지는 않다. 이 점은 작자의 간결하고도 정확한 묘사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작자는 단순히 정경을 묘사했을 뿐이고 그에 따른 감정이입을 최대한 배제하였다. 자신이 외롭고 불우하다는 심사를 직접 서술하지 않고, 공원에 나온 다른 외국인들, 실직자들, 망명객들의 심사를 빌려 간접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 한 예로 '같은 달을 쳐다보면서 그들은 바이칼 호반으로, 갠지즈강변으로, 마드리드 거리에 제각기 흩어져서 기억을 밟고 있을 지도 모른다.'고 표현함으로써 저마다의 가슴 속에 새겨진 고향의 이미지를 간절하면서도 객관적으로 그려 보여 주고 있음도 특징이다.
이 글은 서정에 젖을 수도 있는 글감이지만, 작자는 그것을 억제하고 풍경을 제시함으로써 자기 감정을 표현한다. 기행문으로서 극히 절제된 감상을 드러내는 글로 이와 같은 절제(節制)의 미학은 피천득 수필이 갖는 보편적 분위기와 상응하는 것이라 하겠다.
진술의 방식에 따른 수필의 분류
(1) 교훈적 수필 : 작자의 오랜 체험이나 깊은 사색에서 이루어진 예지(叡智)를 바탕으로 하여 교훈을 담은 수필이다.
① 인도주의적, 계몽주의적 색채가 짙다.
② 내용과 문체가 중후(重厚)하다.
③ 교훈성을 강조하여 예술성이 결여될 우려도 있다.
④ 작품 : 이광수의 '우덕송(牛德頌)'. 심훈의 '대한의 영웅', 이희승의 '지조(志燥)' 등
(2) 희곡적 수필 : 작자 자신이나 다른 사람이 체험한 어떤 사건을 생각나는 대로 서술하되, 사건의 내용 차례에 극적인 요소가 있어서 작품의 내용 전개가 다분히 희곡적이다.
① 극적 사건의 전개가 작품의 내용이다.
② 사건 전개가 유기적, 통일적 진행을 이루며, 극적 효과를 얻기 위해 현재 시제가 흔히 쓰인다.
③ 작품 : 계용묵의 '구두', 이숭녕의 '너절하게 죽는구나' 등
(3) 서정적 수필 : 일상 생활이나 자연에서 느낀 것을 솔직하게 주정적(主情的), 주관적으로 표현하는 수필이다.
① 인간과 자연의 교감(交感)을 기초로 하여 자연에 대해 서술한 것이 많다.
② 표현 기교에 유의하기 때문에 공리성보다 예술성이 강조된다.
③ 작품 : 이효석의 '청포도의 사상(思想)', '화초(花草)',이양하의 '신록 예찬', 김진섭의 '백설부(白雪賦)', 이병기의 '백련(白蓮)' 등
(4) 서사적 수필 : 인간 세계나 자연계의 어떤 사실에 대하여, 대체로 작자의 주관을 개입시키지 않고 객관적으로 서술한 수필이다.
① 내용의 사실성, 서술의 정확성이 중요하다.
② 평소의 날카로운 관찰, 올바른 지식이 필요하다.
③ 기행(紀行)수필을 비롯하여 근대 초기에 유행하였다.
④ 작품 : 최남선의 '백두산 근참기(白頭山覲參記)', 이희승의 '딸깍발이'등
서양의 수필 문학의 기원
'수필' 이라는 말에 해당하는 영어의 'essai'란 말은 이전의 라틴어의 'exigere'에서 나왔다고 한다. 'exigere'는 '계량(計量)히디, 조사(調査)하다, 음미(吟味)하다'의 뜻이며, 'essai'는 '시험해 보다, 시도하다' 라는 뜻의 동사이다.
'수필' 이라는 용어로 'essai'나 'essay'가 쓰이게 된 것도, 처음에는 책의 제목에 붙여지면서부터였다, 그 최초의 작자는 프랑스의 철학자 몽테뉴(Mongaigne;1533~1592)로, 만년에 관직에서 물러나 한가로이 자신의 체험이나 신념을 기술한 글들을 모아, 책 이름을 <수상록(隨想錄,Les Essays)>이라 붙였다. 뒤이어, 영구에서 철학자 베이컨(Bacon;1561~1626)의 <수필집(隨筆集, The Essays)>이 1597년에 간행되었다. 이로부터 서양에서는 본격적으로 수필 문학이 형성되었다.
하지만, 동양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서양에서도 수필 작품을 뜻하는 'essai'나 'essay'란 말이 책의 제목으로 등장하기 훨씬 전부터 수필로 분류할 수 있는 글이 쓰여졌다. 예컨대,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Platon ; B.C. 427~347), 테오프라스토스(Theophrastos ; B.C. 372?~288?), 로마의 키케로(Cicero ; B.C. 106~43), 세네카(Senec ; B.C. 5?~A.D.65), 아우렐리우스(Aurelius ; 121~180)의 철학적인 저술들이 유명한 것들이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