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생화(犧牲花) / 본문 일부 및 해설 / 현진건
by 송화은율희생화(犧牲花) / 현진건
스물한 살 때 '개벽(開闢)'에 '희생화(犧牲花)'란 것을 처음 발표하였다. 바로 어제와 같은 그 때의 일이 역력히 기억에 남았건만 벌써 5년 전 옛이야기가 되었다. 남녀 학생 간에 남몰래 사랑을 주고받다가 남학생은 부모의 엄명(嚴命)으로 딴 처녀에게 장가를 아니 갈 수 없게 되자 표연히 외국으로 달아나 버리고, 여학생은 애인을 기다리다 못하여 마침내 병이 들어 죽고 만 경로를 센티멘탈하게 그린 것이었다. 구도덕(舊道德)에 희생된 여자라 하여 '희생화'라고 제목을 붙인 것부터 시방 생각하면 곰팡내가 난다. 그러나 그 당시엔 몇 번을 고쳐 쓰면서 감흥에 젖었는지 몰랐다.
그 때 '개벽'의 학예 부장으로 있던 나의 당숙인 현철(玄哲)씨를 성도 내며 빌기도 하며 제발 그것을 내어달라고 조르고 볶았다. 간신히 내어주겠다는 승낙을 받은 뒤에 그것이 실릴 잡지가 나오기를 얼마나 고대하였을까. 그야말로 1일이 삼추(三秋)이었다. 잡지의 나올 임시가 가까워 가자 하루에도 몇 번씩 그의 집에 들러서 활자로 나타난 나의 첫 작품을 보려고 초초한지 몰랐다.
급기야 그 보잘것없는 작품이 활자로 나타났을 제 나의 기쁨이란! 형용할 길이 없었다. 아무리 훌륭한 지위를 얻은들 이에서 더 좋으랴! 아무리 끔찍한 명예를 얻은들 이에서 더 즐거우랴! 나의 몸은 갑자기 보석과 같이 번쩍이는 듯하였다. '아라비안 나이트'엔 여성의 키스로 말미암아 단박에 수십 장(丈)을 자란 남성이 있었지만 나는 이 '희생화'가 잡지에 게재됨으로 말미암아 천길 만길로 키가 커진 듯도 하였다.
더구나 그 잡지의 편집 후기에 '희생화'가 손색 없는 작품이란 호의 있는 소개를 읽을 때면 뛰어야 옳을지 굴러야 옳을지 알 길이 없었다. 애인이나 무엇같이 그 잡지를 품고 그날 밤이 새도록 읽다가 자고 깨면 또 읽었다.
그런데 그 다음달 호인가, 다음다음달 호인가에 '희생화'에 대한 황석우(黃錫禹)군의 비평이 났다. 나는 무엇보다도 먼저 그 비평을 읽었다. 그것은 여지없는 비평이었다. '희생화'는 소설이랄 수도 없다. 감상문이랄 수도 없고 하등 예술의 형식을 갖추지 못한 무명 산문(無名散文)이란 의미로 냉혹하게 공격하였다. 그야말로 기뻐 뛰던 나에게 청천의 벽력이었다. 갈기갈기 그 잡지를 찢고 싶을 만큼 나는 분노하였다. 극도의 분노는 극도의 증오로 변하여 황석우란 자를 당장 죽여도 시원치 않을 것 같았다. 몇 번이나 팔을 뽐내며 방 안을 왔다갔다했는지 모르리라.
나는 열에 들떠서 그날 밤을 새우며 그 비평에 대한 공격문을 생각하였다. 그 때 나는 투르게네프의 단편에 심취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희생화'를 비위 좋게도 그 문호의 명작의 하나에 마음 그윽히 비기고 있었다.
'희생화'를 무명 산문이라 한 그대의 비평은 매우 반갑다. 옛날 사람이 쓰지 않던 산문의 형식을 내가 새로이 발명한 것이니 나도 창조적 천재의 한 사람인 듯싶어서 어깨를 추스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애달플손 '희생화'와 같은 형식은 벌써 투르게네프의 단편의 어디서든지 볼 수 있는 것이 유감 천만이다. 투르게네프의 그런 작품을 모조리 무명 산문으로 돌릴진대 '희생화'호올로 무명 산문이란 이름 듣는 것을 어찌 한하랴. 다만 한되는 것은 이 세상 사람이 모두 그대와 같이 장님이 아니기 때문에 창조적 천재란 월계관을 내가 얻어 쓰지 못하는 일이다.
이런 의미의 지독한 문구를 생각하면서 일어났다 누웠다 잠 한눈 자지 못하고 밤을 밝히었다. 그 후부터는 '희생화'를 보기도 싫었다. '타락자'란 단편집을 출판할 때에도 빼고 넣지 않았다.
5년이 지난 오늘에야 비로소 무명 산문에 틀림없는 '희생화'를 뒤적거리니 그 때의 흥분이 우습기도 하고 그립기도 하다.
작자 : 현진건(玄鎭健)
형식 : 수필
성격 : 고백적
표현 : 솔직하고 담백함
제재 : '희생화'라는 소설
주제 : 지난날의 치기(稚氣) 어린 때의 솔직한 고백, 삶의 회고와 반성
출전 : <개벽>(1920)
황석우 : 경기도 출생(1895-1958), 한때 무정부주의자로서 사상 운동에 투신하기도 했으나 '폐허' 창 간에 가담하였고, 곧이어 '장미촌'을 주재하는 등 우리 나라 자유시 초기의 선구자로 활동함. 대표작은 '벽모의 묘', '잠', '석양은 꺼지다' 등이 있음.
투르게네프 : 러시아 소설가. 그의 작품은 서정적이며, 우아한 문장으로 유명함. 작품으로는 '첫사랑', '아버지와 아들' 등이 있음
작가 현진건이 그의 처녀작 '희생화'에 얽힌 사연과 심경을 있는 그대로 토로한 글이다. 수필 갈래의 글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국한문체로 발표되었던 1920년대에 평이한 문체를 채택하여 눈길을 끌었던 수필이다. 자신의 처녀작이 발표되던 당시의 흥분과 다른 사람의 비평에 대해 보였던 치기어린 반응을 솔직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처럼 부끄럽게 여길 수도 있는 지난날의 잘못을 솔직하게 고백하는 모습이 읽는 이에게 감동을 주고 있다.
현진건(玄鎭健 1900-1943)
소설가. 호는 빙허(憑虛). 대구 출생. 1920년 단편 "희생자"를 <개벽>에 발표하면서 문단에 등장, 이듬해 발표한 "빈처"로 작가로서의 지위를 굳혔다. 이후 <백조> 동인으로 활동하면서 "타락자", "운수 좋은 날", "불", "B사감과 러브레터" 등의 역작을 계속 발표해 김동인과 더불어 우리 나라 근대 단편 소설의 선구자가 되었다. 또한 그는 사실주의의 기틀을 확립했으며 서사적 자아인 '나'란 일인칭의 자기 고백적 형식과 반어적 대립 구조를 즐겨 다루었다.
투르게네프 (Turgenev, Ivan Sergeevich) [1818.11.9~1883.9.3]
오룔주(州) 스파스코예루토비노보에 있는 어머니의 영지(領地)에서 출생. 아버지는 기병 장교로서 방탕과 도박으로 신세를 망치고는, 재산이 탐나서 1,000명의 농노를 거느린, 6세나 연상인 부유한 여지주(女地主)와 결혼하였다. 어머니는 추한 용모에다 포악한 전제군주적 성격의 소유자였기 때문에 아버지와는 분쟁이 그치지 않았다. 투르게네프는 어머니 영지의 농노들에 대한 동정에서 농노제를 증오하게 되었다. 이런 복잡한 가정사정이 한 소년의 비정상적인 첫사랑을 묘사한 중편(中篇) 《첫사랑》(1860)에 그 흔적이 엿보인다. 어릴 때부터 외국인 가정교사에게서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라틴어를 배웠다. 1833년 모스크바대학 문학부에 입학하고, 다음해 페테르부르크대학 철학부 언어학과로 옮겼다. 1836년 대학을 졸업, 셰익스피어와 바이런의 작품 번역을 시도하였고, 푸슈킨과도 교유하였다. 1838∼1841년 베를린대학에서 철학 ·고대어 ·역사를 배우고, 베를린에서 스탄케비치, 그라노프스키, 바쿠닌 등 진보적인 러시아 지식인들과 친교를 맺게 되어 그들의 영향을 받았다.
1841년 귀국하여 고향에서 수렵을 즐기고, 가을에는 바쿠닌을 찾기도 하였다. 내무부에 근무하면서 발표한 서사시 《파라샤 Parasha》(1843)는 비평가 벨린스키의 격찬을 받았다. 43년 겨울 페테르부르크에 온 프랑스 여가수 P.비아르도와 알게 되어 매일 그녀와 만났고, 그 후 죽을 때까지 그녀와의 친교가 계속되어 그가 생애의 태반을 외국에서 지낸 원인이 되기도 하였는데, 후일 《문학적 회상》(1869)에서 농노제라는 ‘적’과 효과적으로 싸우기 위하여 서유럽에 도피하였다고 술회하였다. 1847년 《동시대인(同時代人)》지(誌) 제1호에 농노의 비참한 생활을 그린 연작 《사냥꾼의 수기(手記) Zapiski okhotnika》의 제1작이 발표되었다. 이에 대한 호평에 자신을 얻어 속편을 파리에서 썼다.
계속하여 소설을 발표하였고, 1850년 말 어머니의 죽음과 동시에 농노를 해방시켰다. 1852년 농노제의 비판으로 당국의 미움을 사, 고골리의 죽음을 애도하는 글을 구실로 체포된 후 고향에서 연금생활도 하였다. 이 무렵 농노제에 대한 증오에 찬 단편 《무무 Mumu》를 집필하였고, 1852년 8월에는 《사냥꾼의 수기》가 출판되었는데, 이 출판을 허가한 검열관 리보노프는 면직당하였다. 1855년, 뛰어난 지성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현실 속에서 삶의 목표를 발견하지 못하였던 1830년대 ·1840년대의 ‘잉여인간(剩餘人間)’을 형상화한 장편 《루딘 Rudin》을 발표하여 장편 작가로서의 지반을 굳혔다.
1858년 무렵부터 파리에 살면서 몰락하는 귀족계급에의 엘레지 《귀족의 보금자리 Dvoryanskoe gnezdo》(1859), 농노해방 전야를 배경으로 혁명적인 청년들을 그린 《그 전날 밤 Nakanune》(1860), 니힐리스트 ‘바자로프’를 등장시켜 부자(父子) 2대의 사상적 대립을 묘사한 《아버지와 아들 Ottsy i deti》(1862), 망명 혁명가들의 퇴폐를 고발한 《연기 Dym》(1867), 나로드니키의 약점을 찌른 《처녀지 Nov'》(1877) 등과 그 밖에 많은작품을 발표하였고, 1882년에는 조국 러시아와 러시아어의 아름다움을 찬미한 《산문시(散文詩)》를 발표하였다. 파리 교외 비아르도 부인의 별장에서 척추암으로 죽었고, 유언에 따라 페테르부르크의 보르코보 묘지에 안장되었다.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