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생전 / 해설 및 분석, 특성 / 박지원
by 송화은율반응형
가. ‘허생전’ 개관
갈래 및 성격 | 고대 소설 한문 단편 소설, 풍자 소설 |
시 점 | 전지적 작가 시점 |
배 경 | 17세기 후반, 실학 사상 |
의 의 | 한국의 독자적인 연극 미학을 보여주고 있으며, 조선 후기의 비판적 민중 의식을 대변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
주 제 | 양반 및 위정자들의 무능력에 대한 비판과 현실에 대한 각성 고취 |
나. ‘허생전’의 내용 구조
주요 사건의 전개 과정 | 세 부 내 용 |
허생의 가난한 생활 (발 단) |
◦허생의 글 읽기 ◦아내의 성화 ◦허생의 가출 |
허생의 시험 (전개 1) |
◦변씨에게 만 냥을 빌림 ◦장사로 큰 이익을 남김 ◦무인도를 찾음 ◦변산 군도의 괴수를 달램 ◦무인도 경영 ◦허생의 귀환 준비 |
변씨와의 친교 (전개 2) |
◦허생이 변씨의 돈을 갚음 ◦허생의 내력을 듣는 변씨 ◦허생이 돈을 번 내력 ◦허생의 운명관과 현실관 |
허생과 이완의 만남 (위 기) |
◦변씨가 허생과 이완의 만남을 주선함 ◦허생이 세 가지 계책을 제시하지만 이완은 받아들이기 어렵다 함 |
허생의 잠적 (절정, 결말) |
◦사대부를 비판하며 이완을 꾸짖음 ◦허생의 잠적 |
다. 등장 인물의 성격
허 생 | 개혁 의지를 가진 비판적 지식인의 전형. 현실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그것을 행동으로 보여주는 각성된 사대부의 모습을 대표하는 전형적 성격의 인물. 글 읽기에만 몰두하다가, 아내의 질책으로 현실에 참여하여 성격의 변화가 일어나는 입체적 성격의 인물 |
허생의 처 | 생활을 걱정하는 현실적 인물, 작가의 목소리 대변 |
변 씨 | 도량이 크며, 허생으로 하여금 경륜을 펴게 함. 이완과 접촉시키는 역할, 사람을 알아보는 비범한 인물. 근대적 정신을 자각하기 시작한 인물 |
이 완 | 당대 무능한 사대부 상징. 북벌론의 핵심 인물. 사대부(위정자)의 전형적 인물 |
라. 허생전 창작 당시의 사회적 배경
성 격 | 특 성 |
시간적 | 중세에서 근대로 이행해 가는 역사적 전환기 |
정치적 | 극심한 당쟁으로 인한 정치적 혼란 |
경제적 | 부의 축적과 집중화 현상이 가속화 |
사회적 | 경제력 향상에 의한 신분 제도의 동요와 사회 변동 |
사상적 | 성리학에 대한 비판과 실생활에 관심을 둔 실학 사상 만개 |
마. 작품에 나타난 연암의 사상
1. 부(富)의 획득 문제 ⇒ 매점매석을 통한 부의 획득(조선의 사회가 물자 유통이 이루어지지 않고, 외국과의 무역이 없기 때문에 조선이 부흥할 수 없다는 연암의 비판이 담김)
2. 무인도에서의 경영(이상적인 공동체) ⇒ 글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을 데리고 들어간다거나, 일본과의 무역을 하는 데서, 실학을 하지 않고 허례허식과 공리공론에만 매달린 양반 식자층은 나라의 화근이 될 수밖에 없다는 연암의 비판이 담김.
3. 북벌론 비판 ⇒ 허생이 제시한 북벌론에 대한 세 가지 제안이 하나도 받아들여지지 않은 데서, 북벌의식은 하나의 허위에 지나지 않음을 드러냄.
바. 고소설의 일반적 특징과 ‘허생전’ 비교
구 분 | 고 소 설 | 허 생 전 |
주 제 | 권선징악(勸善懲惡) | 실학 사상의 고취 |
구 성 | 평면적, 전기적, 일대기적 | 액자 구성, 피카레스크식 구성 |
인 물 | 전형적, 평면적 | 개성적 |
사 건 | 우연성, 비현실성 | 약간의 필연성 부여, 현실 사회 반영 |
배 경 | 대체로 중국 | 국내외 포괄적 배경 |
표 기 | 한글 | 한문 |
작 자 | 미상 | 박지원 |
사 상 | 무속 신앙, 유교, 불교 | 실학 사상 |
결 말 | 행복한 화해의 결말 구조 | 미완결성, 비극적 결말 구조 |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