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행인과 나룻배(原題:나룻배와 행인) - 한용운

by 송화은율
반응형

행인과 나룻배(原題:나룻배와 행인) - 한용운

 

 

나는 나루,

당신은 행인.

 

당신은 흙발로 나를 짓밟읍니다.

나는 당신을 안고 물을 건너감니다.

나는 당신을 안으면 깁흐나 엿흐나 급한 여을이나 건너감니다.

 

만일 당신이 아니 오시면 나는 바람을 쐬고 눈비를 마지며 밤에서 낫가지 당신을 기다리고 잇슴니다.

당신은 물만 건느면 나를 도러 보지도 안코 가심니다 그려.

그러나 당신이 언제든지 오실 줄만은 아러요.

나는 당신을 기다리면서 날마다 날마다 낡어 감니다.

 

나는 나루,

당신은 행인.

 

(시집 님의 침묵, 1926)


작가 : 한용운(1879-1944) 본명 정옥(貞玉). 계명 봉완(奉玩). 아명 유천(裕天). 호는 만해(卍海). 용운(龍雲)은 법호(法號). 충남 홍성 출생. 1926년 시집 님의 침묵을 발간하며 등단. 한말에 의병운동을 했으며, 31 운동 당시 33인 중의 주동자로 피검되어 3년간 투옥. 승려, 급진적 불교개혁론자, 독립 지사.

 

그는 당시의 퇴폐적인 사조에 초연하면서, 단 한 권의 시집으로 우뚝한 시사(詩史)의 봉우리를 점했다. 그는 종교적 민족적 전통시인인 동시에 저항시인으로 평가되며, 그의 시는 깊은 사색과 신비적인 특성을 드러냈다. 특히 동인 활동을 거치지 않고 독자적이고도 전통적인 시의 세계를 이룩했다는 점에서 그의 존재는 특기할 만하다.

 

그의 전작(全作)한용운 전집(신구문화사, 1973)에 수록되어 있다. 장편소설로 흑풍(黑風)(조선일보, 1935), 후회(後悔)(조선중앙일보, 1936) 등이 있고, 이외에도 불교유신론, 불교대전등의 저서가 있다.

 

<핵심 정리>

감상의 초점

이 시는 나룻배와 행인을 제재로 하여 참된 사랑의 본질이 자(), ()에 있음을 노래하고 있다. 나룻배와 행인으로 비유된 나와 당신의 관계, 나의 태도, 나의 깨달음을 불교적 세계관과 관련지어 이해하도록 하자.

성격 : 명상적, 상징적

어조 : 여성적 어조

표현 : 쉬운 우리말 표현 속에 깊이를 담음.

구성 : 수미쌍관의 구성

: 나와 당신의 관계(1)

: 당신의 무심함과 나의 희생(2)

: 인고(忍苦)하며 기다리는 나(3)

: 나와 당신의 관계(4)

제재 : 나룻배와 행인

주제 : 참된 사랑의 본질인 희생과 믿음.불교적 자비와 법인(法忍)

 

 

<연구 문제>

1. 남에게 모욕과 박해를 받아도 화내지 않으며, 또한 모든 것이 공()임을 깨닫는 경지를 법인(法忍)이라 한다. 이러한 인()의 경지가 잘 드러난 두 구절을 찾아 쓰라.

당신은 흙발로 나를 짓밟습니다.’, ‘날마다 날마다 낡아 갑니다.’

 

2. ‘흙발의 상징 의미를 한 단어로 쓰라. 번뇌

 

3. 불교에서 말하는 제도(濟度)를 형상화한 시행을 찾아 쓰라.

나는 당신을 안고 물을 건너갑니다.’

 

4. 에 내포된 의미를 20자 정도로 쓰라.

중생은 불도의 은혜를 잊어버리기 쉽다.

 

< 감상의 길잡이 1 >

이 시는 기결의 4단 짜임으로 되어 있다.

1연에는 나와 당신의 관계가 제시되어 있다. 나룻배에 비유된 는 만해 자신 또는 불도(佛道)를 가리키며, 행인에 비유된 당신은 중생(衆生)을 가리킨다.

 

2연에는 당신에 대한 의 헌신적 태도가 형상화되어 있다. 당신은 번뇌 때문에 불도의 귀중함을 깨닫지 못한다. 그러나 나는 자비를 베풀어 당신으로 하여금 생사라는 고해(苦海)를 건너게 한다. ‘나는 당신을 안고 물을 건너갑니다.’라는 구절은 제도(濟度)를 뜻한다.

 

3연에는 인고(忍苦)하며 기다리는 나의 모습이 형상화되어 있다. 나는 속세의 괴로움, 번뇌를 겪으며 모든 중생이 구제되기를 기다리고 있으나, 중생은 무심하게도 불도의 은혜를 잊어버리곤 한다. 그러나 회자정리(會者定離)요 거자필반(去者必反)이라, ‘당신이 언젠가 오실 거라고 굳게 믿으며 남에게 모욕과 박해를 받아도 화내지 않고 기다리고 있다.

 

다음에 참고로 제시하는 신경림의뗏목과 이 시를 비교해 보면 재미있을 것이다.

 

 

뗏목은 강을 건널 때나 필요하지

강을 다 건너고도

뗏목을 떠메고 가는 미친 놈이 어데 있느냐고.

이것은 부처님의 말씀을 빌어

명진 스님이 하던 말이다.

저녁 내내 장작불을 지펴 펄펄 끓는

방바닥에 배를 깔고 누운 절 방

문을 열어 는개로 뽀얀 골짜기를 내려다보며

곰곰 생각해 본다.

혹 나 지금 뗏목으로 버려지지 않겠다고

밤낮으로 바둥거릭고 있는 것은 아닐까.

혹 나 지금 뗏목으로 버려져야 할 것들을 떠메고

땀 뻘뻘 흘리며 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

 

 

< 감상의 길잡이 2 >

이 작품도 만해의 다른 시들처럼 에 대한 절대적 의미를 부여한 노래이다. 시적 화자는 자신을 나룻배에 비유하고, 나룻배와 행인의 관계를 통하여 인내와 희생, 그리고 사랑에 대한 숭고한 의지를 노래하고 있다.

 

행인인 은 나를 흙발로 짓밟지만, 나룻배로 나타난 시적 화자는 기쁨과 사랑을 느낀다. 왜냐하면, 흙발로 짓밟히는 그 순간만이 그가 을 만날 수 있는 시간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당신, 을 맞기만 하면 나룻배, 곧 시적 자아는 깊으나 얕으나 급한 여울이나를 막론하고 기쁨에 넘쳐 강을 건너게 된다. 바람과 눈비를 맞는 고통 속에서 밤에서 낮까지’ ‘을 기다리던 어느 날, 마침내 은 나룻배를 타게 된다. 그러나 그뿐, 나룻배인 그에게는 눈길 한 번 주지 않고 그냥 사라져 버린다. 그러나 이 반드시 돌아올 것을 믿으며 또다시 을 기다리며 날마다 외롭게 낡아가고 있다.

 

이 작품에서 을 기다리는 시간 동안 그로 하여금 절망하지 않게 하는 원동력은 바로 23행의 당신이 언제든지 오실 줄만은 알아요.’에 나타나 있다. 이것은 에 대한 절대적 믿음이다. 이 믿음은 <님의 침묵>떠날 때 다시 만날 것을 믿습니다.’와 동일한 차원으로, 거자필반(去者必反)의 원리를 믿고 있기에 날마다 을 기다리며 낡아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 작품의 기본 바탕은 욕된 일에 성내거나 원망하지 않고 참는 인욕(忍辱)’과 자기 것을 남에게 아낌없이 주고 희생함으로써 탐욕을 이겨내고 사랑을 실천하는 보시(布施)’의 불교적 윤리 의식과도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흙발로 짓밟혀도 원망하지 않고(인욕), ‘을 안아 물을 건너며(보시), ‘이 오실 때를 기다리는 헌신적 사랑을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만해에게 있어서 은 현실적으로 떠나고 없지만, 과의 이별은 만남이라는 밝은 긍정을 전제로 하고 있는 차원 높은 이별이다. 소월의 은 이미 죽었거나 돌아오지 않을 곳으로 떠나 버린 이므로 그의 시가 비탄과 체념적인 어조를 띠고 있는 데 비해, 만해의 은 반드시 돌아올 것을 확신하는 이므로 그의 시는 항상 희망적이고 긍정적인 분위기이다.

 

< 감상의 길잡이 3 >

이 작품은 나룻배라는 사물을 비유적 매개물로 하여 무한한 인내, 희생과 사랑의 의지를 노래한 시 이다. 이러한 시상은 불교적 정신을 바탕으로 삼은 것으로서, 특히 인욕(忍辱)과 보시(布施)의 윤리 의식에 관계가 깊다 하겠다.

 

인욕이란 욕된 일에 성내거나 원망하지 않고 참는 것이며, 보시란 자기가 가진 것을 아낌없이 주고 희생함으로써 탐욕을 이기고 사랑을 실천하는 것이다. 작품 속의 인물은 자신을 `나룻배'라하고, 나룻배와 행인의 관계를 통해 이와 같은 숭고한 의지를 알기 쉬운 구체적 형상으로 제시하고 있다. 불교적 의식 태도를 관념으로 설명하는 대신에, 흙발로 짓밟혀도 원망하지 않고(인욕) `당신'을 안아 물을 건너며(보시), 언제 올 지 모를 `당신'을 기다리는 헌신적 자세(精進, 사랑)를 일상적 사물의 비유로써 제시한 데에 이 작품의 호소력이 있다. [해설: 김흥규]

 

< 감상의 길잡이 4 >

이 시는 나룻배와 행인을 제재로 하여 참된 사랑의 본질이 자비와 인을 바탕으로 한 희생과 믿음임을 노래한 작품이다. 평범하고 쉬운 시어를 구사하고 있으면서도 정감의 절실한 깊이를 노래하여 시적 체험의 진실성을 획득했다. 나룻배는 강을 건너게 해 주는 도구인데, 강을 건너는 일이란 불교에서의 구제를 표상하는 것이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