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황당 인보기(田黃堂印譜記) / 요점정리 - 정한숙
by 송화은율 작자소개
정한숙(鄭漢淑: 1922 - 1997)
평북 영변 출생. 1950년 고려대학 국문과를 졸업하였다. 1957~1988년 고려대 국문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1982년 고려대학에서 명예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1988년 이후 고려대 명예교수로 활동하였으며, 펜클럽 한국본부 이사,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예술원 회장, 문예진흥원장 등을 지내면서 학계와 예술행정에 두루 업적을 남겼다.
1948년 《예술조선》지에 단편 《흉가》가 입선하여 문단에 데뷔한 이래 《배신(背信)》 《광녀(狂女)》 《내일에의 번민》 《준령(峻嶺)》 《닭》 《그늘진 계곡》 《바위》 《눈 내린 날》 등 다양한 소재를 도입한 단편소설을 발표하였으며, 특히 《전황당인보기(田黃堂印譜記)》 《고가》 《금당벽화》 등 전통문화를 소재로 한 주옥 같은 작품은 현대문학사에 한 줄기를 차지하는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대체적인 작품경향은 작품의 주제나 구성보다 다양한 언어구사에 치중한 편이다. 내성문학상, 3·1문화상, 예술원상, 대한민국예술문학상 등을 수상하였다.
요점정리
배경 : 6 25 후 서울. 성품이 다른 두 친구의 우정.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인물 : 강명진(호: 수하인) - 성품이 곧고 단아한 인물. 문방사우를 만지며
사는 깨끗한 선비이 며 옛것을 보존하고자 하는 심성을 지닌 인물.
석운 - 배금 사상에 물든 세속적 인물. 벼슬을 하자, 더욱 현실에
눈이 멀게 됨.
주제 : (속세에 눈이 먼 석운과 깨끗한 선비인 수하인의)우정의 미묘성과
전통의 미풍이 사라져가는 데 대한 반성.
이해와 감상
1955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입선된 단편 <전황당 인보기>는 우정의 미묘성과 사라져 가는 전통의 미풍을 전아한 문체로 그린 작품으로, 속세에 눈이 먼 사람과 문방사우를 만지며 사는 깨끗한 선비 사이의 갈등과 삶의 애수를 표현하였다.
이 작품은 정한숙 문학이 지닌 가장 중요한 특징인 전통의 현대적 파악이라는 측면이 잘 나타나 있다. 특히, 전아한 문체로 전통에 대한 향수를 통해서 현실의 황폐한 삶의 모습을 서정적인 세계로 끌어들이는 소설적 기법은 정한숙의 개성적 세계로 평가된다.
줄거리
친구인 석운이 벼슬을 하자, 수하인 강명진은 기념이 될만한 정표를 선사하고 싶어하던 중, 우연히 석재 한 방을 발견하고 흥분에 사로잡힌다. 그것은 십오륙 년 전쯤 서화(書畵)를 즐기던 거부(巨富) 이모(李某)가 보여주던 바로 그것이었다. 이 전황석은 값을 따지자면 금값의 열 배가 넘지만 수하인은 친구 석운에게 줄만한 내력 있는 물건을 구했다는 것에 기쁨을 느끼며 도장을 파기 시작한다. 온갖 정성과 땀으로 완성한 인장(印章) 한 방을, 풀칠한 양단 헝겁으로 산홍이가 만들어 준 갑(匣) 속에 넣고 바라보는 수하인은 새로운 싹이 돋아 오르는 양 흐뭇해한다.
수하인이 석운을 찾아갔으나 석운은 없고 그의 아내가 맞이하는데, 석운의 아내는 무슨 골치 아픈 부탁이라도 하려고 찾아온 것으로 넘겨짚어 수하인을 대한다. 석운의 아내는 요즘 가끔 청탁조로 들어오는 뇌물을 받아 축적하는 재미가 한창인 터라, 수하인이 건네는 선물이 그저 하찮기만 한 것이었다. 그래서 남편이 들어오자 수하인이 머리가 돈 것이 아니냐며, 격(格)이 낮다고 험담을 해댄다. 석운 역시 수하인의 인장 선물이 눈에 차지 않았다. 다만 수하인다운 일이라는 생각밖에는…….
한편, 석운에게는 교분이 두터운 오준이라는 친구가 있었다. 그는 석운의 집을 무상으로 출입하고 있었는데, 그날도 어김없이 오준이 찾아왔다. 그러자 석운은 수하인이 가지고 온 인장을 내보였다. 오준 역시 수하인을 조금 아는 터라, 천지가 변해도 수하인의 격은 변하지 않는다는 말을 나누며 인장이 별 쓸모가 없는 것이라는 생각을 한다. 그래서 오준은 석운에게 결재 도장 하나를 새겨다 줄 것을 약속하고는 그 인장을 들고 나와 도장 가게로 들어가 맡기고는 인장을 파 달라고 했다. 마침 도장 가게 주인이 수하인을 아는 사람이어서 다른 재료로 도장을 파 주고는 대신 수하인의 인장을 사들여 그것을 다시 수하인에게 되돌려 주게 되었다. 도장방 주인은 수하인으로부터 그 인장을 새긴 돌이 전황석이라는 말을 듣고는 취기가 싹 가심을 느낀다. 그러나 수하인은 그것이 도장방 주인의 복이라며 받지 않는다.
다음날 수하인은 오준이 주문한 도장을 자신이 직접 계혈석에 새기면서 전황석에 새기던 때의 솜씨가 아님을 느낀다. 도장방 주인 역시 인면(印面)을 들여다보면서 수하인의 솜씨라기엔 너무 형편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집에 돌아온 수하인은 산홍이를 옆에 앉힌 후 참지 한 권에 천 개나 되는 인장을 연대순으로 찍어 인보(印譜)를 만들었다. 맨 나중에 전황석 한 방을 찍은 뒤, 산홍과 더불어 살아온 인생을 그린 인보를 보면서 처음으로 삶의 보람을 느낀다. 산홍이가 연적의 물을 따라 먹을 갈자, 수하인은 인보의 표지에 [전황당 인보기(田黃堂印譜記)]라 썼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