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전기소설(傳記小說)에 대하여

by 송화은율
반응형

전기소설(傳記小說)

실존 인물의 일생을 형상화해 구성한 소설. 그러나 한 인간의 일대기를 사실(事實)에 입각해 서술했을 때는 전기문학이며, 비허구적이라는 점에서 전기 소설의 영역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현대소설의 관점에서는, 일반적으로 소설은 주인공의 성격이나 사건을 묘사해 입체 구성을 하고 있기 때문에, 한 인간의 일생을 중심으로 평면적 구성을 하고 있는 전기 소설은 그 나름의 유형상의 특질을 인정받는다.

고소설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작품이 주인공의 일대기를 평면적으로 서술하는 형식의 구성을 하고 있어서, 거의 모든 고소설을 전기 소설의 영역에 포함시킬 수 있는 특수한 사정에 있다. 고소설은 그 발달 과정을 추적해 올라가 볼 때, 그 연원은 사서(史書)의 열전 ( 列傳 ) 기술로 접맥된다.

역사 기술의 한 계열인 정사체(正史體)에는 각 개인의 일생에 관한 기록을 따로 분리해 기술하는 열전 항목을 두고 있다. 엄격한 의미에서 열전 기록은 실제의 행적에 근거, 진실하게 기록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고 있다.

하지만 더러는 비사실적(非事實的)이거나 허구적인 과장 표현을 해 미화시키기도 하고, 세간에 유포되던 허황된 이적(異蹟)을 비판 없이 삽입해 흥미를 돋우는 일이 허다하였다.

이러한 열전 기술의 태도는 역사 기록이라는 신빙성과 결부되어 사람들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었고, 나아가서 소설의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열전 항목을 최초로 설정한 중국 사서인 ≪ 사기 史記 ≫ 에서도 그러했지만, 우리의 ≪ 삼국사기 ≫ · ≪ 고려사 ≫ 의 열전에 기술된 김유신 ( 金庾信 ) · 강감찬 ( 姜邯贊 )의 기록 속에도 사실이라 볼 수 없는 이사(異事)들이 많이 삽입되어 있다.

한편으로, 사서의 열전과는 별도로 개인의 문집들에는 어떤 인물에 관한 전기 형식의 기록이 많이 실려 있는데, 이것을 ‘ 전(傳) ’ 이라고 하는 한 형태로 설정하고 있다.

이 역시 개인의 전기 기술이라는 기본 입장에서 서술하기 때문에 사실의 행적에 근거해 진실하게 표현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많은 기행이적(奇行異蹟)을 삽입하고 있어서 허구적인 요소가 적지 않게 나타나 있다. 이것을 열전에 대해 별전(別傳)이라고 부르는데, 열전보다 소설 발달에 한 걸음 더 가까워져 있다.

이보다 한 단계 더 발전해, 실제로 살았던 사람이 아닌 동물이나 식물 또는 무생물을 의인화해서 열전이나 별전의 기술 방법을 빌린 순수 창작 구성의 전기 형태 작품이 나타났다. 고려 말기의 〈 국순전 麴醇傳 〉 을 비롯한 가전체(假傳體) 작품들이 그것인데, 더 이전에 중국에서도 이미 쓰여져 온 것이다.

이와 같은 단계를 거치면서 고소설이 발달해 왔기 때문에, 실존 인물이 아닌 가상의 주인공을 설정해 소설을 구성하는 경우에도 거의 모두 전기 기술 형식의 소설을 쓰게 된 것이 우리 고소설의 한 특징이다. 따라서, 고소설의 표제에 있어서도 ‘ ∼ 傳(전) ’ 이라 한 것이 대부분이다.

 

고소설의 구성형태가 이와 같이 전기 기술의 영역 속에 있다는 특성 때문에, 고소설을 논하는 저술에서 근자에는 극히 일부(蘇在英, 古小說通論)를 제외하고는 고소설의 유형별 분류에 전기 소설 항목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金起東의 李朝時代小說論, 鄭 泄 東의 古代小說論).

대부분의 고소설이 주인공의 일대기를 평면적으로 서술하고 있어서, 어떤 특정 작품만을 따로 전기 소설이라 분류할 수 없는 난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기 소설은 개인의 전기를 소설로 구성했다는 특성 때문에, 제일차적으로 실존인물을 대상으로 한다는 전제 때문에, 〈 춘향전 〉 이나 〈 유충렬전 〉 이 전기 소설일 수는 없다. 따라서, 고소설에도 전기 소설의 유형을 따로 분류, 항목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

즉, 〈 임경업전 林慶業傳 〉 · 〈 김유신전 金庾信傳 〉 · 〈 을지문덕전 乙支文德傳 〉 · 〈 강감찬전 姜邯贊傳 〉 등과 같은 행적 중심의 작품과 〈 최고운전 崔孤雲傳 〉 · 〈 박문수전 朴文秀傳 〉 · 〈 사명당전 四溟堂傳 〉 · 〈 김덕령전 金德齡傳 〉 등과 같은 이적 과장(異蹟誇張)의 표현 작품, 〈 장자방전 張子房傳 〉 · 〈 조자룡전 趙子龍傳 〉 · 〈 제갈량전 諸葛亮傳 〉 · 〈 설인귀전 薛仁貴傳 〉 등과 같은 중국 인물 대상 작품 등이 여기에 속하게 된다.

지금까지 전기 소설의 항목을 인정하지 않은 논자들은 이들 작품을 거의 모두 역사 소설의 부류에 소속시켜 논하고 있다. 전기 소설이 역사 소설로 분류될 수 있는 것은 역사상의 어떤 사건과 관련 있는 인물들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소설의 내용이 역사상의 어떤 사건을 강조하면서 그 사건과 관련된 인물을 등장시켜 활동하게 했다든지, 또는 한 사건에 여러 인물을 등장시켜 그 행적들을 함께 나타내고 있으면 이는 역사소설이지, 등장 인물 중심의 전기 소설은 아니다. 〈 임진록 壬辰錄 〉 이 그 예가 될 것이다.

반면에 역사상의 사건에 관련되었더라도 활동 인물의 행적에 더 비중을 두고 있다면 이것은 전기 소설이 되는데, 〈 임경업전 〉 이 그 예이다. 전기 소설 중에는 실제로 살았던 인물을 대상으로 작품을 구성하고 있지만, 작중 인물의 활동이 지나치게 허구화되어 있는 경우가 있어서 문제이다.

〈 최고운전 〉 은 신라시대 최치원 ( 崔致遠 )을 대상으로 했는데, 중국에서 크게 이름을 떨쳤다는 사실만을 진실로 표현했고 나머지 이적 표현(異蹟表現)은 모두 비현실적인 허구였다. 〈 박문수전 〉 도 실존 인물이지만 작품 내용에 신이 요소가 지나치게 표현되어 있다.

전기 소설은 대상 인물의 출중한 과인성(過人性)을 부각시킨다는 의도가 작품 이면에 깔려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신이 표현은 자연적인 현상이지만, 행적 자체를 완전히 허구 구성한 경우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고소설의 전기 소설 중에는 조선시대 말기인 개화기에 상당량의 작품이 이루어졌다. 이 때 대상으로 설정된 인물들은 김유신 · 을지문덕 · 강감찬 · 이순신(李舜臣) · 김덕령 · 곽재우 ( 郭再祐 ) · 권율(權慄) · 서산대사(西山大師) · 사명대사 등 대체로 우리 민족의 자존과 관계가 있는 인물들이었다.

당시 외세에 밀려 힘을 펴지 못한 민족의 정신을 고양해야겠다는 애국 정신의 발현이 전기 소설을 통해 나타난 것이다.

≪ 참고문헌 ≫ 朝鮮小說史(金台俊, 學藝社, 1939), 韓國古代小說史(朴晟義, 日新社, 1964), 古代小說論(鄭 泄 東, 螢雪出版社, 1966), 李朝時代小說論(金起東, 二友出版社, 1977), 古小說通論(蘇在英, 二友出版社, 1983), 韓國傳記文學論(金容德, 民族文化社, 1987).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기소설

 

전기라는 말은 기(奇)를 전(傳)한다는 뜻으로, 원래 배형(裴霙)의 저서에 《전기》라는 이름의 소설집이 있었다. 그 이전, 육조시대(六朝時代)의 소설이 귀신(鬼神)·괴이(怪異)의 세계를 묘사하여 '지괴(志怪)'라고 일컬어진 데 대하여, 당나라 때의 소설은 인간의 여러 모습을 그려나가게 되어 전기라는 호칭에 잘 어울리게 되었다.

수(隋)나라 왕도(王度)의 《고경기(古鏡記)》나 초당(初唐) 때 씌어진 작자 미상의 《보강총백원전(補江總白猿傳)》 등에는 아직도 지괴소설적인 요소가 남아 있으나, 중당(中唐)에 이르러 심기제(沈旣濟)의 《침중기(枕中記)》나 이공좌(李公佐)의 《남가태수전(南柯太守傳)》은 몽환(夢幻)의 인생을 그리는 데 뛰어났고, 원진(元拂)의 《회진기(會眞記)》라고도 하는 《앵앵전(鶯鶯傳)》, 백행간(白行簡)의 《이왜전(李娃傳)》, 진홍(陳鴻)의 《장한가전(長恨歌傳)》 등은 모두 남녀간의 연애에서 취재하여 염려(艶麗)하다.

전기소설의 작자는 대개 당시의 문인들로서 문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소설작품으로서의 구성도 세련되어 있다. 또한 송대(宋代)에도 악사(樂史)의 《녹주전(綠珠傳)》 등 유사한 작품이 나타났으나, 전기소설은 점차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근대 이후, 루쉰[魯迅]이 엮은 《당송전기집(唐宋傳奇集)》에 그 명작들이 수록되어 있다.

한편, 한국의 경우에는 갑오개혁(甲午改革) 이전에 나온 고대소설 가운데 전기소설의 형태로 씌어진 작품이 많으며, 국문학에서 전기소설이라고 할 때는 좁은 의미와 넓은 의미의 두 가지 경우가 있다. 좁은 의미로는 현실의 인간생활을 떠나 천상(天上)·명부(冥府)·용궁(龍宮) 등에서 벌어지는 기이한 사건을 다룬 소설을 가리키는데, 《금방울전》 또는 《능견난사(能見難思)》라고도 하는 《금령전(金鈴傳)》과 《금오신화(金鰲新話)》 《삼설기(三說記)》 등이 모두 전기소설에 포함된다. 넓은 의미로는 환상적인 세계를 무대로 하여 기이한 사건이 풍부하게 전개되는 소설은 물론이고, 비현실적인 무용담(武勇譚)이나 연애담의 요소를 지닌 소설을 모두 전기소설에 포함시키기도 한다.(출처 : 동아대백과사전)

전기 (傳奇)

 

중국문학의 한 장르. 문예용어로서의 전기는 당(唐)나라 때 소설의 호칭으로 사용된 것이 그 최초이다. 그 소설도 전반기의 것은 으레 지괴(志怪)라 불리는 육조(六朝) 때의 소설 줄거리에 다소 손질을 한 것이 많았으나, 안녹산의 난을 거쳐 중반기에 이르자 급속히 성장하여 육조의 지괴와는 다른 당나라 독자의 소설 유형을 형성했다. 통틀어 그 중심은 중당기의 사인(士人)의 창작이며, 그 작법도 처음에는 지괴의 줄거리와 짜임새를 원용하면서 독자적인 창의·연구로 모티브를 표출해 간 것이 많았으나, 차츰 지괴의 괴이한 세계를 떠나 현실적인 인간사회에 뿌리를 내린 소설이 쓰여지게 되었다.

진현우(陳玄祐)의 《이혼기(離魂記)》, 심기제(沈旣濟)의 《침중기(枕中記)》 《임씨전(任氏傳)》, 백행간(白行簡)의 《이왜전(李娃傳)》, 진홍(陳鴻)의 《장한가전(長恨歌傳)》, 원진의 《앵앵전(鶯鶯傳)》 등이 그 대표작들이다. 그 뒤 송(宋)나라 때와 그 이후에도 계속 쓰여졌는데, 문인적(文人的)으로 세련된 당나라 때의 작풍(作風)은 없어지고 시민계층의 발흥과 함께 차츰 왕성해진 통속소설과 연극 등 백화체(白話體;구어체)로 된 문예작품이 지괴나 전기와 같은 문언(文言;문어체)으로 된 소설 대신 문예의 중심이 되었다. 그러한 중국문학계내부의 역학관계의 변화와 함께 통속소설과 희곡 중에는 당나라 때의 전기에서 소재를 얻고 그것을 당시의 조류에 맞게 고쳐 쓴 작품이 많이 나왔다. 이러한 풍조 가운데에서 전기라고 하는 호칭의 사용범위에도 변화가 나타나, 중국 남방에서 일어나 명(明)나라 때 융성한 희문(戱文)으로 불리는 희곡의 별칭이 되기도 했다. 그와는 달리 당나라 때의 전기와 같은 소설을 전기소설이라 불러서 구별하는 경우도 있다. 소설의 호칭으로서의 전기는 비현실적이고 환상적, 공상적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이 유럽의 로망과 비슷하나, 그것보다는 짧은 편이다.

〔한국〕

 

주로 갑오개혁 이전에 나온 고전소설 가운데 많으며, 고전소설을 전체적으로 전기소설이라 일컫기도 한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금오신화(金鰲新話)》 《삼설기(三說記)》 《금령전(金鈴傳》 《이화전(李華傳)》 등이 있다. 한편 중국 당나라 때의 전기소설 생성요인인 사회·문화적 여건과 흡사한 신라 말기∼고려 초기를 한국 전기문학의 출발점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출처 : 파스칼세계대백과사전)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