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인연(因緣) / 본문 일부 및 해설 / 피천득

by 송화은율
반응형

인연(因緣) / 피천득

 

 

지난 사월 춘천에 가려고 하다가 못 가고 말았다. 나는 성심여자 대학에 가보고 싶었다. 그 학교에 어느 가을 학기, 매주 한 번씩 출강한 일이 있다. 힘드는 출강을 한 학기 하게 된 것은, 주수녀님과 김수녀님이 내 집에 오신 것에 대한 예의도 있었지만 나에게는 사연이 있었다.

 

수십 년 전 내가 열일곱 되던 봄, 나는 처음 동경(東京)에 간 일이 있다. 어떤 분의 소개로 사회 교육가 미우라(三浦) 선생 댁에 유숙을 하게 되었다. 시바꾸 시로가네(芝區白金)에 있는 그 집에는 주인 내외와 어린 딸 세 식구가 살고 있었다. 하녀도 서생도 없었다. 눈이 예쁘고 웃는 얼굴을 하는 아사코(朝子)는 처음부터 나를 오빠같이 따랐다. 아침에 낳았다고 아사코라는 이름을 지어 주었다고 하였다. 그 집 뜰에는 큰 나무들이 있었고 일년초 꽃도 많았다. 내가 간 이튿날 아침, 아사코는 '스위트피이'를 따다가 꽃병에 담아 내가 쓰게 된 책상 위에 놓아주었다. '스위트피이'는 아사코같이 어리고 귀여운 꽃이라고 생각하였다.

 

성심(聖心) 여학원 소학교 일 학년인 아사코는 어느 토요일 오후 나와 같이 저희 학교까지 산보를 갔었다. 유치원부터 학부까지 있는 카톨릭 교육 기관으로 유명한 이 여학원은 시내에 있으면서 큰 목장까지 가지고 있었다. 아사코는 자기 신발장을 열고 교실에서 신는 하얀 운동화를 보여 주었다.

 

내가 동경을 떠나던 날 아침, 아사코는 내 목을 안고 내 뺨에 입을 맞추고, 제가 쓰던 작은 손수건과 제가 끼던 작은 반지를 이별의 선물로 주었다. 옆에서 보고 있던 선생 부인은 웃으면서 "한 십년 지나면 좋은 상대가 될 거예요"하였다. 나는 얼굴이 뜨거워지는 것을 느꼈다. 나는 아사코에게 안델센의 동화책을 주었다.

 

그 후 십 년이 지나고 삼사 년이 더 지났다. 그 동안 나는 국민학교 일 학년 같은 예쁜 여자아이를 보면 아사코 생각을 하였다. 내가 두 번째 동경에 갔던 것도 사월이었다. 동경역 가까운데 여관을 정하고 즉시 미우라 선생 댁을 찾아갔다. 아사코는 어느덧 청순하고 세련되어 보이는 영양(令孃)이 되어 있었다. 그 집 마당에 피어 있는 목련꽃과 같이. 그때 그는 성심 여학교 영문과 삼학년이었다. 나는 좀 서먹서먹했으나, 아사코는 나와의 재회를 기뻐하는 것 같았다. 아버지, 어머니가 가끔 내 말을 해서 나의 존재를 기억하고 있었나 보다.

 

<하략>


 작자 : 피천득
 형식 : 소설
 성격 : 회상적, 감상적
 주제 : 어린 시절의 한 여자애와 얽힌 인연
 특징 : 회상의 매체들)성심여자대학, 국민학교 1학년같은 예쁜 여자 아이들, 우산)을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고, 소설과 비슷한 점(인물, 사건, 배경 등의 소설 구성 요소)들이 많으나, 소설과의 차이점은 이 작품에 등장하는 '나'는 작가 자신이라는 점이다.

 

 영양(令孃) : 남의 집 딸에 대한 높임말 영애(令愛)라고도 함.
 부질없다 : 대수롭지 아니하거나 쓸모가 없다
 진주군(進駐軍) : 남의 나라 영토에 들어와서 머무르고 있는 군대.


 인연에 얽힌 필자의 아름다운 회상을 깔끔하게 표현한 글로, 73년 수필문학을 통해 발표된 이 글은 이야기 전개가 치밀하게 구성되어 있어 한 편의 꽁트를 보는 듯한 느낌이 들 정도이다. 도입부분은 성심여대의 출강, 본문은 지난날의 회상, 끝부분은 만남과 인연을 생각하는 현재로 다시 돌아오는데 회상부분에는 아사꼬를 만나고 헤어진 20년의 세월이 정교하게 축약되어 있다.

 

 첫 번 헤어질 때 아사꼬는 지은이의 목을 안고 뺨에 입을 맞췄고, 두 번째는 가벼운 악수를 했고, 세 번째는 악수도 없이 절만 몇 번씩한다. 서로의 몸이 닿는 면적이 자꾸 줄어드는 만큼 친밀감도 조금씩 줄어든다. 처음 만났을 때 아사꼬는 스위트 피이 같이 어리고 귀여웠고 두 번째는 목련꽃 같이 청순하고 세련되었으며 세 번째는 시드는 백합같이 초라해져 있었다. 세 번 모두 아사꼬는 꽃의 이미지로 묘사된다. 어릴 적 아사꼬는 학교에서 햐얀 운동화를 보여주었고 여대생 아사꼬는 학교에서 연두색 우산을 가지고 나온다. <셀브르의 우산>이란 영화를 봐도 아사꼬를 연상하고 버지니아 울프의 <세월>이란 소설에서도 아사꼬를 연상한다. 하양과 연두, 영화와 소설, 지은이는 구태여 의식하지 않았을지라도 <인연>은 이렇듯 치밀한 짜임새를 획득한 수필로 지은이가 만났던 '아사코'와의 만남과 헤어짐에 얽힌 추억을 소재로 인연이란 말의 의미를 새삼 깨닫게 해 주는 작품이다.

 

 하여간 이 작품은 이러한 점강적인 의미 전개가 곧 이 작품의 제목인 '인연'과 맞닿아 있으며, '그리워하는데도 한 번 만나고는 못 만나게 되기도 하고, 일생을 못 잊으면서도 아니 만나고 살기도 한다'는 끝 부분은 아사코에 대한 그리움을 간접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 작품에서도 피천득의 수필 세계의 특징인 간결하면서 부드러운 문체를 통해 삶의 의미를 서정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셀부르의 우산

프랑스 마들렌 작품으로, 제작 연대는 1964년이고, 감독은 자크 드미이며, 주느비에브 역에 카트린 드뇌브, 기 역에 니노 카스텔누오보가 나온다. 프랑스인 작품다운 멋진 뮤지컬로 등장 인물의 대사가 오페라처럼 가사가 붙여져 노래되어, 영상미와 음악이 훌륭히 균형있게  일체가 된 작품으로 칸 영화제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한 작품인데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영국 해협에 면해 있는 노르망디 지방의 항구 도시 셰르브르, 우산 가게의 딸 주느비에브는 얼마 멀지 않은 주유소에서 근무하는 자동차 수리공 기와 사랑하는 사이다. 우산 가게 주인 에므리 부인은 그들이 아직 젊다는 이유로 결혼을 반대하는 입장이다. 11월이 되자 기에게 갑작스런 소집 영장이 나왔다. 알제리 전투에 참가하라는 명령이다. 출정 전날 밤, 연인들은 영원한 사랑을 맹세하고 주느비에브는 모든 것을 아낌없이 기에게 바친다.

 

전쟁터로 떠난 기로부터 단 1통의 편지를 받았을 뿐, 소식이 없어 불안한 가운데 주느비에브의 몸 안에는 기와의 사랑의 씨앗이 자라고 있었다.

 

딸아이가 버림받았다고 생각하는 에므리 부인은 세금 때문에 곤란을 겪다가, 애지중지 아끼던 진주 목걸이를 팔려고 보석상 주인 카사로를 찾아간다. 평소부터 주느비에브의 미모에 반한 카사르는 주느비에브를 아내로 맞고 싶다고 청혼을 하며, 주느비에브가 임신한 아기의 아버지가 되어 주겠다고까지 한다. 주느비에브도 이제 소식이 끊긴 애인으로부터 친절한 카사르를 향해 차츰 마음이 움직여 간다. 결국 두 사람은 결혼을 하고, 카사르는 그녀와 아이를 극진한 사랑으로 대해 주며 행복한 세월이 흐른다.

 

주느비에브가 결혼한 지 9개월 후, 기는 절름발이가 되어 돌아온다. 그는 주느비에브의 결혼에 상심하지만, 마음의 고독을 달래기 위해 마들렌과 결혼하여 아들까지 두고, 백모의 유산으로 주유소를 차린다.

 

그로부터 3년이 지난 눈 내리는 크리스마스 이브, 주유소에 고급 승용차가 멎는다. 기름을 넣기 위해 들른 주느비에브는 주유소 주인이 된 기를 만난다. 격정에 싸인 그리움으로 두 사람은 한 동안 얼굴만 쳐다보다가 그녀는 옆에 태운 계집애를 가리키며 "당신을 닮았어요."라고 말한다. 두 모녀가 탄 승용차는 멀어져 간다.

 

 

 울프 (Woolf, Adeline Virginia) [1882.1.25~1941.3.28]

영국 런던 출생. 철학자이며 《영국 인명사전》의 편자인 L.스티븐의 딸이다. 빅토리아조 최고의 지성(知性)들이 모인 환경 속에서 주로 아버지로부터 교육을 받았다. 세인트 에이브스의 별장에서 보낸 어릴 때의 여름철 경험이 그녀와 바다를 밀접하게 만들었다. 부모가 죽은 뒤로는 남동생 에이드리언을 중심으로, 케임브리지 출신의 학자 ·문인 ·비평가들이 그녀의 집에 모여 ‘블룸즈버리그룹’이라고 하는 지적(知的) 집단을 만들었으며, 1905년부터는 《타임스》지(紙) 등에 문예비평을 써 왔고, 1912년 정치평론가인 L.S.울프와 결혼하였다.

 

1915년 처녀작 《출항》을, 1919년에는 《밤과 낮》을 발표하였다. 이들은 다 같이 전통적 소설형식을 따랐으나 1922년에 나온 《제이콥의 방》에서는 주인공이 주위 사람들에게 주는 인상과 주위 사람들이 주인공에게 주는 인상을 대조시켜 그린 새로운 소설형식을 시도하였다. 이와 같은 수법을 보다 더 완숙시킨 작품이 《댈러웨이 부인》(1925)이었다. 그 사이 평론 《현대소설론》(1919)과 《베넷씨와 브라운 부인》(1924)에서는 또 새로운 실험적 소설이 갖추어야 할 요소를 논하고, 시대의 변화와 더불어 진실에 대한 관점도 달라진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1927년에는 소녀시절의 원체험(原體驗)의 서정적 승화라고도 할 수 있는 《등대로》를 발표, ‘의식의 흐름’의 기법으로 인간 심리의 가장 깊은 곳까지를 추구하며 시간과 ‘진실’에 대한 새로운 관념을 제시하였다. 친구 S.웨스트의 전기 《올랜도 Orlando》(1928)는 그와 같은 수법의 좋은 예이다. 1931년에 발표한 《물결 The Waves》은 소설이라기보다 시에 가까우며 그녀의 사상의 궁극과 한계를 말해 주고 있다. 그러나 그 후에 발표한 《세월》(1937) 《막간(幕間) Between the Acts》(1941)에서는 또다시 전통적인 수법으로 돌아갔다.

 

이 밖에 문예평론집에 《일반독자 The Common Reader》(2권, 1925∼1932), 여성론 《나만의 방 A Room of One’s Own》(1929) 등이 있다. 1941년 3월 28일 우즈강(江)에서 투신 자살하였다. 원인은 소녀시절부터의 심한 신경증이 재발한 데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