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조법보단경언해 (六祖法寶壇經諺解)
by 송화은율육조법보단경언해 (六祖法寶壇經諺解)
요점 정리
시대 : 조선 전기(1496)
중국 당(唐)나라 선종(禪宗)의 제6조(祖)인 혜능(慧能:638~713)의 어록(語綠)을 그의 제자가 편찬한 《육조법보단경》을 언해한 책.
내용 연구
이해와 감상
육조법보단경
《육조법보단경》은 혜능의 제자가 3권 3책으로 간행된 듯하나 현재 권1과 권2만 전한다. <시식권공언해(施食勸供諺解)> 끝에 있는 발문에는, 1496년(연산군 3) 인수대비(仁粹大妃)의 명으로, 이른바 인경 목활자(印經木活字)로 300부를 간행한다고 쓰고 있다. 이 책은 후대의 중간본(重刊本)이 없으므로 매우 귀중하다. 한자음 표기를 《동국정운(東國正韻)》식 한자음에 따르지 않고 현실화한 점 등에서 한국 국어사 연구에도 귀중할 뿐 아니라 목활자로 인쇄된 점에서 서지학적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가 된다. - 자료출처 - 동아대백과사전-
심화 자료
육조법보단경요해(六祖法寶壇經要解)
조선 후기의 고승 긍선(亘璇)이 혜능(慧能)의 ≪육조법보단경≫을 주석한 책. 1권 1책. 필사본. 권두에 저자가 1845년(헌종 11)에 쓴 서가 있다.
우리 나라 불교계에서 교과서 역할을 하였던 이 책은, 서문에서 선(禪)만이 대대로 전하여온 정법안장(正法眼藏)이고, 교학과 율학(律學)은 정법안장을 장식하는 조도(助道)라고 하였으며, 고려 중기의 보조국사(普照國師)가 ≪육조법보단경≫을 스승으로 삼았다는 것, 수행승이 참된 방편과 수증(修證)을 위하여 이 책을 쓴다는 것 등을 밝혔다.
본문은 오법전의(悟法傳衣)·석공덕정토(釋功德淨土)·정혜일체(定慧一體)·교수좌선(敎授坐禪)·전향참회(傳香懺悔)·참청기연(參請機緣)·남돈북점(南頓北漸)·당조징소(唐朝徵詔)·법문대시(法門對示)·부촉유통(付囑流通) 등 ≪육조법보단경≫의 열가지 법문에 대한 대요를 해석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법문을 해석하기 전에 ≪육조법보단경≫의 대지(大旨)는 곧바로 사람의 마음을 가리켜서 성품을 보아 성불하게 하는 직지인심(直指人心) 견성성불(見性成佛)이라고 밝히고, 아울러 임제종(臨濟宗)·운문종(雲門宗)·위앙종(館仰宗) 등의 종지와 삼처전심(三處傳心), 활인검(活人劒) 등 선종의 특수용어에 대한 해설을 가하였다. 동국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