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원목(原牧) - 통치자에 대해 논하는 글

by 송화은율
반응형

원목(原牧) - 통치자에 대해 논하는 글

백성을 위해서 목(牧)이 존재하는가, 백성이 목을 위해 태어났는가? 백성들은 곡식과 피륙을 내어 목을 섬기고, 수레와 말을 내어 따르면서 목을 영송(迎送)하며, 고혈(膏血)을 다하여 목을 살찌게 하니 백성들이 목을 위해서 태어난 것인가? 이나다. 목이 백성을 위해서 존재하는 것이다.

태고 시절에는 백성들만이 있었을 뿐이니 어찌 목이 존재했겠는가? 백성들은 한가로 이 마을을 이루어 모여 살았다. 그런데 그들 사이에 분쟁이 일어났을 때 이를 판결할 수 없었다. 이 때 한 노인이 있어 공평한 말을 잘 하였기 때문에 그들은 그 노인에게 가서 판정을 받았고, 모든 이웃사람들도 판정에 복종하였다. 그리하여 그들은 노인을 추대하여 이정(里正)이라 불렀다. 또한 여러 마을 사이에 분쟁이 일어나 판결하지 못하고 있을 때 어느 노인이 있어 현명하고 지식이 많았기 때문에 모두 그에게 가서 판정을 받고 복종하였다. 그리하여 함께 그를 추대하여 당정(黨正)이라고 불렀다. 역시 몇 개의 당 사이에 분쟁이 일어나 해결하지 못하고 있을 때 한 노인이 어질고 덕이 있었기 때 문에 모두 그에게 가서 판정을 받고 복종하였다. 그리하여 그를 추대하여 주장(州長)이 라고 불렀다. 이와 마찬가지로 몇 개의 주장들이 한 사람을 추대하여 우두머리로 삼아 국군(國君)이라 하고, 여러 국군들이 한 사람을 추대하여 우두머리로 삼아 방백(方伯) 이라 하며, 사방의 방백들이 한 사람을 추대하여 가장 높은 우두머리로 삼아 황왕(皇王) 이라 불렀다.

그러므로 황왕의 근본은 이정에서 나온 것이다. 한편, 이정은 백성들의 희망을 좇아 법을 제정하여 당정에게 올리고 , 당정은 백성들의 여망을 좇아 법을 제 정하여 주장에게 올렸다. 역시 주장은 이를 국권에게 올렸으며, 국권은 다시 황왕에게 올렸다. 그러므로 그 법은 모두 백성들을 편안하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후세에는 어느 한 사람이 스스로 황제가 되어 자기의 자제와 종복(從僕)들을 제후(諸侯)로 삼고, 제후는 자기 심복을 뽑아 주장을 삼으며, 주장 역시 자기 심복을 가려 당정· 이정으로 삼았다. 그러므로 황제는 자기 욕망을 좇아 법을 제정하여 제후에게 내리고, 제후는 다시 자기의 욕망대로 법을 제정하여 주장에게 내린다. 이와 같이 주장은 당정에게, 당정은 다시 이정에게 내리니, 그 법은 통치자를 존숭(尊崇)하고 백성을 비하하며, 아랫사람에게는 각박하고 윗사람에게는 너그럽게 되었다. 이렇듯 백성은 한결같이 목을 위하여 태어난 것처럼 되어 버렸다.

오늘날 수령들은 옛날의 제후와 같아져 궁실과 수레, 의복과 음식, 그리고 좌우의 시종들을 거느린 것이 마치 국군의 그것에 길 만하다. 또, 그들의 권능은 넉넉히 사람들을 경하(敬賀)할 만하고, 그들의 형률(刑律)과 위엄은 충분히 사람들을 두렵게 할 만 하다. 결국, 수령들은 오만스럽게 자신을 뽐내고, 태평스럽게 스스로 안일에 빠져서 자 신이 목이라는 것을 망각하고 만다. 사람들이 분쟁을 일으켜 찾아가 판결을 구하면 번거로워하면서 "왜 이렇게 시끄러우냐?" 하고, 굶어 죽는 사람이 있으면 "제 스스로 죽 은 것일 뿐이다."라고 한다. 곡식과 피륙을 바쳐서 섬기지 않으면 곤장을 치고 몽둥이질을 하여 피가 흘러서야 그친다. 날마다 거두어 들인 돈꾸러미를 헤아려 낱낱이 기록하고, 돈과 피륙을 부과하여 전답과 주택을 장만하며, 권세 있는 재상가에 뇌물을 보내 뒷날의 이익을 기다린다. 이러고서야 백성이 목을 위하여 태어난 것이어니와, 어찌 이것이 타당한 이치이겠는가?

요점 정리

작자 : 정약용

형식 : 논설적 수필

성격 : 설득적, 비판적

주제 : 목민관의 유래와 소임

내용 연구

이해와 감상

 

이 글의 제목인 원목은 '통치자에 대해 논하는 글'이라는 뜻이다. 이 글은 당시 질곡에 빠져 있는 조선 왕조 사회 체제를 개혁하고자 했던 다산 정약용의 현실 개혁적 사고를 잘 드러내고 있다. 풍부한 예증과 조리 있는 논거 구성으로 설득력이 있으며, 시대를 앞서 가는 필자의 예지가 돋보이는 글로 목민관은 백성을 위해서 존재하여야지, 백성이 목민관을 존재하게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주장한 것이다. 결국 목민관은 백성들이 추대한 것에서 유래하였으며, 그 소임은 백성을 보살피는 데 있다. 그럼에도 현실적으로는 목민관들이 본연의 소임을 망각하고 있음을 비판하고 있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