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 여름 -
by 송화은율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 여름 -
윤선도(尹善道)
하사(夏詞)
구즌 비 머저가고 시낻물이 맑아 온다
배떠라 배떠라
낫대를 두러 메니 기픈 흥(興)을 금(禁) 못 할되
지국총 지국총 어사와
연강덥쟝(沿江 )은 뉘라셔 그려낸고
년닙희 밥 싸두고 반찬으란 쟝만마라
닫드러라 닫드러라
청약립(靑蒻笠)은 써잇노라 녹사의(綠蓑依) 가져오냐
지국총 지국총 어사와
무심(無心)한 백구(白駒)는 내 좃는가 제 좃는가
마람 닙희 바람나니 봉창( 窓)이 서늘코야
돋다다라 돋다다라
녀름바람 뎡할소냐 가는 대로 배시켜라
지국총 지국총 어사와
븍포 남강(北浦南江) 이 어디 아니 됴흘러니
믉결이 흐리거든 발을 싯다 엇더하리
이어라 이어라
오강(吳江)의 가쟈하니 천년노도(千年怒濤) 슬플로다
지국총 지국총 어사와
초강(楚江)의 가쟈 하니 어복튱혼(漁腹 混) 낟글셰라
만류록음(萬柳綠陰) 어릔 고대 일편태긔(一便苔磯) 긔특(奇特)하다
이어라 이어라
다리예 다 닫가든 어인쟁도(漁人爭渡) 허믈마라
지국총 지국총 어사와
학발로옹(鶴髮老翁) 만나거든 뢰택양거(雷澤讓居) 효측(效側)하쟈
긴 날이 져므는 줄 흥(興)의 미쳐 모르도다
돋디여라 돋디여라
뱃대를 두드리고 슈됴가(水 歌)를 블러 보쟈
지국총 지국총 어사와
애내 셩듕에 만고심(萬古心)을 긔 뉘알고
석양(夕陽)이 됴타마는 황혼(黃昏)이 갓깁거다
배셰여라 배셰여라
바회 우희에 구븐 길 솔 아래 빗겨 잇다
지국총 지국총 어사와
벽슈앵셩(碧樹鶯聲)이 곧곧이 들리나다
몰괘 우희 그믈 널고 둠 미틔 누어 쉬쟈
배매어라 배매어라
모괴를 뮙다 하랴 창승(蒼蠅)과 엇더하니
지국총 지국총 어사와
다만 한 근심은 상대부(桑大夫) 드르려다
밤 사이 풍낭(風浪)을 미리 어이 짐쟉하리
닫디여라 닫디여라
야도횡쥬(夜渡橫舟)도 진실로 어엳브다
와실(蝸室)을 바라보니 백운(白雲)이 둘러잇다
배븟텨라 배븟텨라
부들부체 가라 쥐고 셕경(石逕)으로 올라가쟈
지국총 지국총 어사와
어옹(漁翁)이 한가(閑暇)터냐 이거시 구실이라
하 |
소박한 어옹의 생활 夏詞(하사) 궂은 비가 점차 멎어가고 시냇물도 맑아온다[대구] 배 띄워라 배 띄워라 낚싯대를 둘러메니 깊은 흥(솟구치는 흥)이 절로난다[참을 수가 없구나] 삐그덕 삐그덕 어기여차 안개가 자욱한 강과 겹겹이 싸인 산봉우리는 (산수의 경개) 그 누가 그려낸 그림인가[연강텹쟝은 왕진경의 '연강첩장도'를 인용하여 표현한 말] - 비갠 후의 아름다운 경치
연(蓮)잎에 밥을 싸고 반찬은 준비하지 말아라.[건강하고 소박한 어부의 생활이 드러나며, 이런 소박한 속에도 여유가 있음이 엿보이는 말로 물고기를 잡으면 반찬이 될 터인데 따로 반찬을 마련할 필요가 있겠느냐는 말이다. 단사표음, 안분지족] 닻 들어라 닻 들어라 삿갓은 이미 쓰고 있노라. 도롱이는 가져 왔느냐[대구법] 삐그덕 삐그덕 어기여차 무심한 갈매기[욕심 없는 - 화자 자신의 객관적 상관물]는 내가 저를 좇는 것인가 저가는 나를 좇는 것인가[갈매기와 노래하는 이가 하나가 되는 물아일체의 경지를 말한 것. 혼연일체, 물심일여, 자연 친화] - 안분지족과 물아일체의 즐거움
마름[물풀의 하나]잎에 바람 부니 봉창[배에 있는 창문]이 서늘하구나[촉각적 심상] 돛 달아라 돛 달아라 여름 바람 일정하게 불겠느냐 가는대로[바람에 흘러가는 대로] 배 맡겨라[내 버려 두어라] 삐그덕 삐그덕 어기여차 북쪽 포구와 남쪽 강이 어느 곳인들 아니 좋겠는가[어딘들 좋지 않겠는가 - 설의법] - 배 위의 시원한 풍경과 자연의 질서에 순응하는 삶
물결이 흐리거든 발 씻은 들 어떠하리[불편하더라도 자연적인 요건에 만족하려는 마음이 드러남] 배 저어라 배 저어라 오강[중국 양자강 입구에 있는 강]에 가자 하니 천년노도[자서원한(子胥怨限) : 죽어 오강에 던져진 오자서의 원한 어린 마음] 슬프도다 삐그덕 삐그덕 어기여차 초강(楚江)에 가자 하니 어복충혼(魚腹忠魂) : 중국 춘추 시대에 초의 굴원이 지은 어부사에서 유래된 말이다. 굴원의 본명은 평으로 초나라 희왕때 삼려대부가 되어 임금의 신임이 두터웠다. 그러나 참소로 인하여 왕이 멀리하므로 '이소'라는 노래를 불렀다. 그 뒤 경양왕 때에 다시 참소를 받아 양자강변으로 유배되었다. 이 곳에서 어부사를 지어 충성심을 밝히고 멱라수에 빠져 목숨을 끊었다. 그의 어부사 속에 '차라리 상수에 가서 강물에 몸을 던져 고기 뱃속에 장사를 지낼지언정 어찌하여 이 결백한 몸에 세속의 티끌과 먼지를 둘러쓴단 말가'라는 구절이 있다. 또한 '屈原忠魂'이라고도 하고, 충신의 절조를 나타내는 말로 쓰인다.) 낚을까 두렵다 [ 화자의 우국충정을 고사성어를 이용하여 드러냄]
버들숲이 우거진 곳에 여울돌이 갸륵하다 배 저어라 배 저어라 다리에서 앞다투는 어부들을 책망 하랴 삐그덕 삐그덕 어기여차 백발노인을 만나거든 순제(舜帝) 엣 일본을 받자
긴 날이 저무는 줄 흥에 미쳐 모르도다[자연에 몰입된 화자의 정서를 보여주는 것으로 여름의 긴 날이 지는 것도 모를 정도로 자연의 즐기는 기쁨에 빠졌다는 의미] 돛 내려라 돛 내려라 돛대를 두드리며 수조가(水調歌 : 상의 음을 주된 음으로 하여 속악에서 많이 쓰던 중국 노래인 상조곡의 이름으로 수나라 양제가 지었다고 함)를 불러 보자 삐그덕 삐그덕 어기여차 뱃소리 가운데[관내성은 '관내'는 '나무로 만든 노'라는 뜻으로 노 젓는 소리에서 뱃노래로 의미가 바뀌었다고 함] 만고의 수심[오랜 세월에 변하지 않는 마음으로 충성심을 말함]을 그 뉘 알꼬 석양이 좋다마는 황혼이 가까웠도다 배 세워라 배 세워라 바위 위에 굽은 길이 솔 아래 비껴 있다 삐그덕 삐그덕 어기여차 푸른 나무숲 꾀꼬리 소리 곳곳에 들리는구나
모래 위에 그물 널고 배 지붕 밑에 누워 쉬자 배 매어라 배 매어라 모기를 밉다 하랴 쉬파리와 어떠한가 삐그덕 삐그덕 어기여차 다만 한 근심은 상대부(桑大夫 : 전한의 재정가인 상흥양을 말하는 데 소인배를 말하는 것으로 간신을 상징하므로 부정적 시어이며 고전 작품에서는 구름가 바람 등은 간신을 상징하는 경우가 많다) 들을까 두렵다
밤 사이 바람 물결 미리 어이 짐작하리 닻 내려라 닻 내려라 사공은 간 데 없고 배만 가로놓였구나 삐그덕 삐그덕 어기여차 물가의 파란 풀이 참으로 불쌍하다 작은 집을 바라보니 흰구름이 둘러있다 배 붙여라 배 붙여라 부들부채 가로 쥐고 돌길 올라가자 삐그덕 삐그덕 어기여차 어옹(漁翁)이 한가(閑暇)터냐 이것이 구실이다 |
이해와 감상
궂은 비는 멎어 가고 시냇물이 맑아 오는데 집 안에만 있을 수 없다. 낚싯대를 둘러메고 나서니 벌써 마음이 흥겨워진다. 마치 왕 진경이 그리고 소 동파가 찬을 쓴, 그 그림 같은 저 경치는 참으로 아름답구나. 첫여름의 아름다움 풍경 속에 낚시질을 나서니 어부의 흥취가 넘치고 있다.
초강의 흐린 물에 발을 씻는다는 것은, 곧 당세의 정계가 부패하여 맑은 물이 되지 못한다는 것을 암시한 것으로, 굴 원의 어부사에 나오는 '창랑지수'의 노래에서 암인한 것이다. 중장의 천년노도와 종장의 어복 충혼은 중국 고사를 연상하면서 작자 자신의 충의심을 나타낸 것이다. 이 노래는 윤 선도의 다른 작품에 비하여 한자 어구와 중국 고사가 남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내용도 다듬어지지 않아 다른 것에 비해 많이 뒤지는 작품이다.
어복 충혼
중국 춘추 시대에 초의 굴 원이 지은 어부사에서 유래된 말이다. 굴원의 본명은 평으로 초나라 희왕때 삼려대부가 되어 임금의 신임이 두터웠다. 그러나 참소로 인하여 왕이 멀리하므로 '이소'라는 노래를 불렀다. 그 뒤 경양왕 때에 다시 참소를 받아 양자강변으로 유배되었다. 이 곳에서 어부사를 지어 충성심을 밝히고 멱라수에 빠져 목숨을 끊었다. 그의 어부사 속에 '차라리 상수에 가서 강물에 몸을 던져 고기 뱃속에 장사를 지낼지언정 어찌하여 이 결백한 몸에 세속의 티끌과 먼지를 둘러쓴단 말가'라는 구절이 있다. 여기에서 어복 충혼이라는 말이 생겼는데, 충신의 절조를 나타내는 말로 쓰인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