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서도 여운(西道餘韻), 옷과 밥과 자유- 김소월

by 송화은율
반응형

서도 여(西道餘韻) - 옷과 밥과 자유- 김소월

 

 

 

공중에 떠다니는

저기 저 새요

네 몸에는 털 있고 깃이 있지

 

밭에는 밭곡식

논에는 물베

눌하게 익어서 숙으러졌네

 

초산(楚山)지나 적유령(狄踰靈)

넘어선다.

 

짐 실은 저 나귀는 너 왜 넘니?

 

(동아일보, 1925.1.1)


 

<감상의 길잡이>

소월은 <엄마야 누나야>와 같은 소박한 전원시 또는 동시적(童詩的) 경향과,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류의 애틋한 사랑시, 그리고 <삭주구성(朔州龜城)>, <> 등의 향토적 서정시, <부모>로 대표되는 가족주의시, <접동새>와 같은 설화적 민속시 모두를 망라하고 있어, 그야말로 서정시의 다양한 세계를 보여 준 시인이었다. 그러나 이 <옷과 밥과 자유> 같은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나 저항 의지가 담긴 또 다른 시세계를 보여 주기도 하였다.

 

이 시는 곡식나귀를 바라보는 관찰자로서 등장하는 시적 화자의 옷과 밥과 자유를 상실한 절망감과 탄식을 그려내고 있다. 제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시어의 선택으로 인해 다소 모호한 것처럼 보이지만, 시인은 우회적이고 간접적인 표현을 통해 에서 , ‘곡식에서 , ‘나귀에서 자유를 유추시키는 의도적인 구성 방법을 취하고 있다.

 

새에게는 털 있고 깃이 있어 마음대로 공중에 떠다니지만, 그것에 대응하는 한 벌 갖지 못한 시적 화자는 한낱 미물(微物)에 불과한 보다도 못한 식민지 백성들의 곤궁한 삶을 대변하고 있다. 그리고 일제의 악랄한 토지 수탈 정책으로 인해 농토를 빼앗긴 그들에게 있어서 눌하게 익어서 수그러밭곡식물벼는 이미 그림의 떡일 뿐이다.

 

또한 초산 지나 적유령 / 넘어서나귀는 고단한 삶을 살아가는 시적 화자의 고통스런 모습을 상징한다. ‘너는 왜 넘니?’라는 반문의 마지막 시행에서 굴레와 같은 코뚜레와 으로 표상되는 나귀를 통해 자유를 잃고 고달픈 삶을 살아가는 백성들의 비극적 모습을 유추할 수 있다. ‘자유라는 최소한의 생존권마저 빼앗기고 살아가던 당시의 식민지 상황을 충분히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다.

 

<맥락 읽기>

1. 위 시에는 화자가 직접 드러나 있는가?

 

2. 그러면 이 시는 대상 중심의 시구나? 이 시의 화자가 어디에서 어떤 대상을 보고 있지? 각 연 별로 말해보자.

1: , 2: 밭곡식, 물베, 3,4: 나귀

 

3. 1연의 새는 어떤 모습인가?

털이 있고 깃을 가지고 공중에 떠다닌다.

 

4. 새의 모습을 이렇게 보고 표현한 화자의 심리적 상태를 제목과 관련지어 짐작해 볼 때 지금 어떤 처지일 것 같은가?

새는 옷이 있고 자유가 있는데 비해 자신은 옷도 자유도 없다.

 

5. 2연의 곡식은 어떤 모습인가?

눌하게 익어 숙으러졌다.

 

6. 4번에서와 같이 표현한 화자의 내면적인 의도는?

곡식은 이렇게 잘 익었으나 내가 먹을 것은 없다.

 

7. 3,4 연에서 나귀의 모습은 어떠한가?

짐 실은 나귀가 초산 지나 적유령 고개를 넘는다.

 

8. 여기서 나귀의 삶은 어떠하다고 느껴지는가?

고단하고 구속된 삶을 살고 있다.

 

9. 그러면 나귀에게는 옷과 밥과 자유가 주어져 있는 것 같은가?

그렇지 않다.

 

10. 위 시에서 본 화자의 처지와 나귀는 어떠한가?

같다. 그렇다면 화자는 나귀의 모습에서 자신의 삶의 모습을 발견한 것이로구나. 시적 대상에 대한 화자의 자기 동일시 뭐 그런 것이 되겠네.

 

11. 4연의 물음은 누가 누구에게 하는 말 같냐?

화자가 자기 자신에게 하는 말 같은데요.

 

12. 그렇지요. 정리하면, ‘내가 꼭 이렇게 살아야 하나? 왜 사나?’하고 말이다.

 

<생각해 보자>

## 시인이 살아온 삶의 시대와 관련지어 이 시를 생각해 보자.

 

<보충 해설>

간단한 서경 묘사에 소박하나 절제된 탄식과 연민이 깃들어 있으며 직접 옷과 밥과 자유를 애기하지 않으면서 그 결핍을 선연히 드러낸다. 화자는 우선 공중에 떠다니는 새를 가리키면서 사람들이 헐벗고 있음을 암시한다. 이어서 잘 익은 곡식을 가리키면서 그것이 화자의 그의 이웃들에게 사실상그림의 떡에 지나지 않음을 암시한다. 나그네 임이 분명한 화자는 짐 싣고 재를 넘는 나귀에서 바로 자신의 고단한 모습을 발견한다. ‘짐 실은 저 나귀는 너 왜 넘니?’란 마지막 구절은 예사로운 반문 속에 화자의 고단함과 굴레와 자유 없음의 긴 사연이 간결하게 암시되어 있다. 소월에게 옷과 밥과 자유를 모두 빼앗긴 상황이 헐벗고 굶주리고 자유없는 식민지 조국의 현실이었음은 말할 나위도 없다. 이런 간절 사연이 애사로운 어조로 더욱 잘 드러나고 있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