삭주 구성(朔州龜城)- 김소월
by 송화은율삭주 구성(朔州龜城) - 김소월
물로 사흘 배 사흘
먼 삼천 리
더더구나 걸어 넘는 먼 삼천 리
삭주 구성(朔州龜城)은 산(山)을 넘은 육천 리요
물 맞아 함빡이 젖은 제비도
가다가 비에 걸려 오노랍니다.
저녁에는 높은 산
밤에 높은 산
삭주 구성은 산 넘어
먼 육천 리
가끔가끔 꿈에는 사오천 리
가다오다 돌아오는 길이겠지요
서로 떠난 몸이길래 몸이 그리워
님을 둔 곳이길래 곳이 그리워
못 보았소 새들도 집이 그리워
남북으로 오며가며 아니합디까
들 끝에 날아가는 나는 구름은
반쯤은 어디 바로 가 있을텐고
삭주 구성은 산 넘어
먼 육천 리
(개벽 40호, 1923.10)
<감상의 길잡이>
이 시는 ‘삭주 구성’에 대한 그리움을 3음보 율격에 담아낸 작품으로 <산>과 그 성격이 비슷하다. 그러나 이 시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삭주 구성’은 돌아갈 수 없는 곳이다. ‘삭주 구성’은 ‘물 맞아 함빡이 젖은 제비도 / 가다가 비에 걸려 오’는 곳이요, ‘산 넘어 / 먼 육천 리’인 곳으로, 꿈속에서도 쉽게 갈 수 없는 ‘불귀지지(不歸之地)’의 장소이다. 그러므로 <산>에 등장하는 ‘삼수갑산’과 더불어 유배지, 불귀지지, 또는 죽음의 이미지를 지닌 공간이다. 이렇게 화자에게 있어서 ‘삭주 구성’이라는 곳은 가고 싶어도 갈 수 없는 체념의 장소이다. 그러나 화자는 그 곳이 결코 돌아올 수 없는 곳임을 알면서도, 사랑하는 ‘님을 둔 곳이길래’ 그 곳을 지향하는 것이다.
비록 ‘산 넘어 / 먼 육천 리’인 곳이지만, ‘가끔가끔 꿈에는 사오천 리’일 정도로 그리워하는 곳일 뿐 아니라, ‘새들도 집이 그리워 / 남북으로 오며가며’ 하는 것을 바라보며 화자는 귀향에 대한 소망의 의지를 불태운다. ‘들 끝에 날아가는 나는 구름은 / 반쯤은 어디 바로 가 있을텐고’ 하는 데에서 화자는 그 구름을 타고 어느덧 ‘삭주 구성’ 가까이 가 있는 듯한 꿈에 부풀기도 한다. 이처럼 화자가 갖는 체념과 미련의 양면성을 함께 표상하는 것이 바로 ‘산’이다. 산은 화자가 지향하는 ‘삭주 구성’을 가로막고 있는 장애물의 표상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그것을 넘기만 하면 곧바로 ‘삭주 구성’에 도달할 수 있기에 극복의 대상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그는 마음속으로나마 ‘산’을 넘고 있는 것이다. 화자가 존재하는 이 곳은 고달픈 생활의 연속인 현실의 공간이요, 임이 없는 부재의 공간임에 비해, 화자가 그토록 가고 싶어하는 ‘삭주 구성’은 다시는 돌아올 수 없는 곳임에도 불구하고 임이 계신 곳이자 안식과 평화를 가져다 주는 동경(憧憬)의 공간이기 때문이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