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대(三代) / 요점정리 / 염상섭
by 송화은율작자소개
염상섭 (廉想涉 1897 ~1963)
호 횡보(橫步). 서울 출생. 보성학교(普成學校)에 재학 중 도일하여 교토부립중학[京都府立中學]을 졸업, 게이오[慶應]대학 사학과에 입학했으나 3 ·1운동에 가담한 혐의로 투옥되었다가 귀국, 동아일보 기자가 되었다. 1920년 《폐허(廢墟)》지 동인에 가담하여 문학의 길에 투신했다. 1921년 《개벽(開闢)》지에 단편 《표본실의 청개구리》를 발표하여 문단적인 위치를 굳히고 1922년에는 최남선(崔南善)이 주재하던 주간종합지 《동명(東明)》에서 기자로 활약했으며, 현진건(玄鎭健)과 함께 시대일보 ·매일신보 등에서 일하기도 했다. 1946년 경향신문 창간과 동시에 편집국장, 6 ·25전쟁 때는 해군 정훈국에 근무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만세전(萬歲前)》 《잊을 수 없는 사람들》 《금반지》 《고독》과 장편 《삼대(三代)》 등이 있고, 8 ·15광복 후에도 《두 파산(破産)》 《일대의 유업(遺業)》 《짖지 않는 개》 등의 단편과 장편 《취우(驟雨)》 등이 있다. 자연주의 및 사실주의 문학을 이 땅에 건설한 최초의 작가로서 김동인(金東仁) ·현진건과 함께 뚜렷한 공적을 남겼다.
특히 그의 처녀작 《표본실의 청개구리》는 한국 최초의 자연주의적인 소설로 평가되며, 그 후의 대부분의 소설은 전형적인 사실주의 계열의 작품으로 일관되었다. 1953년 서울시 문화상을 받았고 예술원 종신회원에 추대되었으며, 1955년 서라벌 예술대학장에 취임하고 아시아 자유문학상, 1956년 대한민국 예술원상, 1962년에 삼일문화상(三一文化賞), 1971년 대한민국 문화훈장 은관 등을 받았다.
요점정리
갈래 : 장편소설, 가족사 소설.
배경 : 1920년대의 서울
경향 : 사실주의
시점 : 3인칭 전지적 작가 시점
문체 : 치밀하고 묘사적 문체
의의 : 사실주의 소설의 대표작
주제 : 식민지 현실 속에서의 세대간, 계층간의 갈등
인물 : 조 의관(할아버지) - 조씨 가문의 가장(家長). 구시대의 고루한
사고방식과 인습에 젖어 있는 봉건주의 자. 재산을 노린 후취
'수원집'의 일당에 의해 독살당함.
조상훈(아버지) - 조 의관의 아들. 덕기의 아버지. 미국 유학을
다녀온 기독교 신자이자 개화주의자이 나 축첩과 노름을 일삼는
위선적 인물.
조덕기(아들) - 조상훈의 아들. 일본 유학생. 할아버지와 아버지
사이에서 중도적 입장을 취한다. 사회 주의 운동의 심정적
동조자.
김병화 - 덕기의 친구. 사회주의자. 신념과 의지를 가지고 인간다운
삶의 길을 추구함.
구성 : 발단 - 유학생 덕기가 방학차 다니러 왔다가 떠나며, 조부·아버지와
첩·병화 등이 등장함.
전개 - 집안의 뒤엉킨 인간 관계를 알게 되는 덕기.
위기 - 조 의관의 위독과 수원집의 모략.
절정 - 조 의관의 사망 후 집안의 갈등 심화. 어수선해지는 사회
환경으로 주요 인물 피검(被檢).
결말 - 덕기는 무혐의로 풀려나 앞으로 살 길을 모색.
이해와 감상
1931년 <조선일보>에 연재된 장편소설. 1920년대의 서울을 배경으로 하여, 만석꾼인 조씨 일가의 할아버지, 아버지, 아들 3대가 각기 다른 가치관 아래서 어떻게 살아가는가를 그린 장편소설이다. 작품 속에서의 사건은 비교적 짧은 기간에 일어나고 있지만, 세대간의 서로 다른 모습을 그렸다는 점에서 가족사 소설의 성격을 지닌다.
이 작품은 1920년대 서울 중구 수하동의 만석꾼인 조씨 일가의 삼대를 다룬 것으로써 식민지 체제 아래에서 한 집안이 어떻게 몰락하고, 그들이 어떤 의식을 지녔으며, 당대의 청년들의 몸부림치는 정황이 어떠한가를 사실적으로 파헤친 작품이다. 1931년에 <조선일보>에 연재된 이 작품은 그 시대의 역사성과 사회성을 조화시킨 염상섭의 대표작이자. 우리 수설 문학의 중요한 수확이라 할 만하다.
이 소설의 중심 인물 3인은 제각기 문제점을 지닌 인물인데, 할아버지 '조 의관(議官)'은 봉건제도의 전형적 구세대 인물이며 20대의 후처(수원집)에게 아들을 낳기를 바라는 탐욕적 인간으로 나타난다. 아들 '상훈'은 신문물과 기독교에 기울어진 신사이지만 애욕과 축첩(蓄妾)의 이중 생활에서 재산만 탕진하는 무기력·무의지의 과도기적 인물이다. 아들 '덕기'는 선량한 인간성을 지니고 있으나, 이러한 불협화음 밑에서 재산을 지키는 데 한정되고, 적극성을 가지지 못한 미적지근한 순응형이다.
<삼대>의 인간 드라마는 조부의 죽음을 둘러싸고 재산 상속욕에 불이 붙으면서 주변 인물들의 추악성이 절정에 이르고, '병화'가 추구하는 인간에의 길, '필순 아버지'의 혁명가로서의 불행한 일생 등에서는 대조적으로 새로운 삶을 전개하려는 안간힘을 엿볼 수 있다.
<삼대>에서 작가는 새로운 세대인 '덕기', '병화' 등의 미래상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이것은 일제의 식민지 상황에서 어쩔 수 없는 한계였으리라 생각된다. 몇 가지 한계에도 불구하고 작가는 사회적 계층간의 갈등도 치밀하게 그려 내고 있다. 역사적·사회적 변동 속에서 세대 교체의 실상을 분명하게 보이고 있다.
줄거리
만석(萬石)꾼의 살림을 꾸려 가는 '조 의관'은 봉건적 관념과 허욕에 사로잡힌 인물이다. 개인의 이익과 집안의 위신을 높이는 일에 최대의 가치를 두는 인물로서, 을사조약을 전후해서 사회가 혼란해지자 2만 냥이라는 큰 돈으로 의관(議官) 벼슬을 산다. 다음에는 남의 족보에 끼어 들어가서 가문을 뽐내려 하고, 이 때문에 큰 돈을 들여 족보를 만든다. 기독교에 물든 아들 상훈이 제사도 지내지 않으리라는 판단 때문에 조 의관은 아들을 불신하여 별거하고 있으며, 며느리보다 더 새파란 젊은 부인을 후취로 얻어 산다.
한편, '상훈'은 미국에서 공부하고 돌아온 지식인으로서 교회의 장로 노릇을 하면서도 술집 출입을 하며, 아들과 동창생이기도 한 여급 '홍경애'와 불륜의 관계를 갖는다. 아버지 조 의관의 가문 치장이나 족보 사업을 쓸데없는 일이라고 반대한다. 사회 사업을 하기 위해 집안 돈을 갖다 쓰기도 하지만 뚜렷한 의식 없이 안이하게 살아간다.
또한, '덕기'는 일본에 유학하면서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틈바구니에서 많은 정신적 가등을 경험한다. 사회주의 사상에 젖어 있는 친구 '병화'로부터 부르주아라는 핀잔을 곧잘 받기도 하는 그는 '병화'의 소개로 가난한 하숙집 딸 '필순'을 알게 되고 그녀에게 사랑을 느낀다.
조부(祖父)의 의문의 죽음 이후 '덕기'의 집안은 점점 몰락하고, 사회는 3·1운동의 실패로 극도의 혼란에 빠지게 된다. 사회주의자들 간에 불신과 반발이 고조되고 테러 행위가 자행되는 가운데 '필순'의 아버지도 여기에 희생되면서 그의 가족을 '덕기'에게 부탁한다. '덕기'는 앞으로 어떤 삶을 살아야 할 것인가를 곰곰히 생각한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