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파산(破産) / 요점정리 / 염상섭
by 송화은율작자소개
염상섭 (廉想涉 1897 ~1963)
호 횡보(橫步). 서울 출생. 보성학교(普成學校)에 재학 중 도일하여 교토부립중학[京都府立中學]을 졸업, 게이오[慶應]대학 사학과에 입학했으나 3 ·1운동에 가담한 혐의로 투옥되었다가 귀국, 동아일보 기자가 되었다. 1920년 《폐허(廢墟)》지 동인에 가담하여 문학의 길에 투신했다. 1921년 《개벽(開闢)》지에 단편 《표본실의 청개구리》를 발표하여 문단적인 위치를 굳히고 1922년에는 최남선(崔南善)이 주재하던 주간종합지 《동명(東明)》에서 기자로 활약했으며, 현진건(玄鎭健)과 함께 시대일보 ·매일신보 등에서 일하기도 했다. 1946년 경향신문 창간과 동시에 편집국장, 6 ·25전쟁 때는 해군 정훈국에 근무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만세전(萬歲前)》 《잊을 수 없는 사람들》 《금반지》 《고독》과 장편 《삼대(三代)》 등이 있고, 8 ·15광복 후에도 《두 파산(破産)》 《일대의 유업(遺業)》 《짖지 않는 개》 등의 단편과 장편 《취우(驟雨)》 등이 있다. 자연주의 및 사실주의 문학을 이 땅에 건설한 최초의 작가로서 김동인(金東仁) ·현진건과 함께 뚜렷한 공적을 남겼다.
특히 그의 처녀작 《표본실의 청개구리》는 한국 최초의 자연주의적인 소설로 평가되며, 그 후의 대부분의 소설은 전형적인 사실주의 계열의 작품으로 일관되었다. 1953년 서울시 문화상을 받았고 예술원 종신회원에 추대되었으며, 1955년 서라벌 예술대학장에 취임하고 아시아 자유문학상, 1956년 대한민국 예술원상, 1962년에 삼일문화상(三一文化賞), 1971년 대한민국 문화훈장 은관 등을 받았다.
요점정리
갈래 : 단편소설, 세태소설
배경 : 해방 직후(1940년대 후반)의 서울 황토현 부근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문체 : 치밀한 묘사적 문체
특징 : 1) 자연주의적 인생관과 사실주의적 창작 태도가 일관되어 흐르고 있다. / 2) 순 객관적인 표현양식
3) 빠른 사건의 진행보다는 현실의 느린 전개
경향 : 사실주의, 객관적 서술
주제 : ① 물질적·정신적으로 인간을 파산시키는 해방 후 혼란한 사회상.
(물질만능의 세태 풍자)
② 있는 자는 돈의 노예가 되어 도덕적으로 타락을하고 없는
선한 자는 있는 자에게 피해를 받음.
인물 : 정례모친 - 호남형의 남편과 자식이 있으며 일본 유학을 했고,
생활에 쪼들리게 되자 국민학교 앞에서 구멍가게를
차려 놓고 문방구를 팔며 생계를 유지하지만 여의치
않아 빚을 내어 운영하다가 친구 옥임과 교장의 수에
넘어가 가게를 옥임에게 넘기고 파산함.(물질적 파산자)
김옥임 - 문학과 예술을 사랑했던 젊은 시절과 달리, 일제 시대
증경 도지사의 후처로 들어가 반민법 때문에 불구가 된
남편과 함께 살면서 이로 인한 열등감(자식, 젊은 남편
문제) 때문에 오로지 돈을 최고의 가치로 삼고 돈놀이에
매달려 친구(정례모친)까지도 저버리는 정신적 파산자.
정례부친 - 가난하면서도 호남으로 생활력이 없으며 부인에게 정성을
다하고 낙천적임. 새로 찾은 나 라를 위해 정치 일선에
나서기도 함. 어수룩한 자동차로 옥임에게 사기칠 궁리를
함.
옥임의 남편 - 친일파 고위 관리.
교장 - 전에는 교편을 잡았으나 돈 놀이를 하며 옥임의 부탁으로
공모하여 정례모친에게서 돈을 받아냄.
구성 : 발단 - 해방 후 정치에 뛰어든 남편 대신 생계를 위해 은행빚을
얻어 가게를 여는 정례 모친.
전개 - 장사가 어려워지자 옥임에게 빚을 얻어 가게를 운영함.
위기 - 정례 부친의 자동차 사업 실패와 이자마저 못 갚는 어려움에
처한 정례 모친.
절정 - 옥임에게 진 빚 때문에 망신 당하는 정례 모친.
결말 - 정례 모친이 옥임에게 가게를 뺏기고 옥임의 성격 파산을
한탄함.
이해와 감상
1949년 <신천지> 4권에 발표. 이 작품은 해방 직후 경제적·도덕적 가치의 혼란 속을 살아가는 두 여성의 생활을 그려 나가면서 현실 타협 또는 현실 적응주의의 생태를 제시하고 있다. 경제적 파산과 정신적 파산이라는 두 개의 서로 다른 파산을 제시하면서, 작자는 어느 것이 옳다 그르다 하는 판단을 유보한 채 삶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두 파산>은 해방 직후 가치관의 혼란을 일으키고 있던 우리 사회를 배경으로, 정신적인 가치와 물질적인 가치의 대립과 갈등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작가는 그 두 가치 중 어느 한 쪽을 굳이 선택하지 않는다.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입장을 고집하는 작가는 '정례 모친'의 심리와 함께 '옥임'의 심리도 상세하게 밝힘으로써, 그들이 모두 현실을 살아가는 개성적 인물들 중의 하나일 뿐임을 그리고 있다. '옥임'의 남편이 친일파인 점을 중시한다면, 작가는 가난하면서도 지조를 지켜 새로 찾은 나라를 위해 정치 일선에 나선 '정례 부친'을 긍정한다고 보기가 쉽다. 그러나 '정례 부친'도 무위 도식을 일삼다가 급기야는 어수룩한 자동차를 가지고 '옥임'이를 사기쳐 먹을 궁리나 하는, 그렇고 그런 인물일 뿐이다.
그리하여 작가는 친일파나 소시민을 작품의 제재로 채택하되 그 역사적 의미를 따지는 단계로 나아가지 않는다. 그에게 있어서 중요한 것은 시정(市井)에서 사소한 일에 매달려 꿈과 이상을 잊은 채 오늘을 살고 있는 서민들의 세태와 애환인 것이다. 작품에서 비교적 긍정적인 인물로 그려지던 '정례 모친'이 남편의 사기칠 계획을 듣고도 애매한 태도를 취하는 것은 그들도 결국 경제적인 문제를 초월할 수 없는 평범한 인간임을 증명하고 있다.
<두 파산>의 표현상 특징으로는 첫째로 현실을 살아가는 인물의 태도와 심리를 실감있게 그렸고, 둘째로 긍정적 인물에게도 어수룩하고 능갈친 점이 있음을 보여 줌으로써 은연 중에 부정과 풍자의 효과를 얻고 있으며, 셋째로 풍부한 경기 지역 사투리를 능란하게 구사함으로써 현실감을 돋보이게 한다.
줄거리
해방이 되자, 정례 어머니는 별 수입도 없이 정치를 합네 하고 돌아 다니는 남편을 믿고 있을 수 없게 되자 문방구 가게를 열기로 결정한다. 남편에게 졸라 집문서를 담보로 하여 은행에서 빚을 얻어내어 국민학교 앞에 가게를 차린다. 그러나 돈이 딸려서 물건을 제대로 갖추어 놓지 못하면서 장사가 어렵게 되고, 할 수 없이 옛날 동창생인 김옥임에게 빚을 얻어 가게를 운영한다.
그러나 새로이 시작한 남편의 자동차 사업이 실패하게 되어 옥임에게 진 빚의 이자마저도 제대로 갚지 못하는 어려운 형편이 된다. 문학을 사랑하고 여성 해방 운동을 찬양하면서 꿈 많던 처녀 시절을 보낸 옥임이는 이젠 돈놀이에 몰두하여 성격 파산자로 변모, 경제적으로 파산한 정례 모친에게 길거리에서 심한 창피를 준다.
동경 유학생으로 신여성임을 부르짖던 김옥임은 도지사 대감의 후실이 되었는데, 그 남편이 지금은 중풍을 앓을 뿐 아니라 과거의 친일 행위로 인하여 반민자(反民者)로 몰려 있다. 그러자 옥임은 고리대금에서 삶의 재미를 갖게 되었고, 정례 모친은 옥임이의 그러한 정신 파산을 한탄한다. 그러나 옥임이는 오히려 친구인 정례 모친에게 망신을 준 것을 통쾌하게 여기면서, 그것이 젊은 남편과 장래성 있는 자녀를 둔 친구에 대한 시기심에서 나온 화풀이인 것을 자인한다.
옥임은 교장에게 빚을 진 게 있다. 옥임은 정례 모친더러 교장에게 자신이 진 빚을 대신 갚으라고 말하고, 교장은 정례 모친에게 빚독촉을 한다. 이에 더 이상 견디지 못하고 정례 모친은 학용품점을 처분하여 빚을 갚고는 허탈감에 앓아 눕는다. 그러나 성격이 욱한 남편은 어수룩한 자동차로 옥임이에게 사기칠 궁리를 한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