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사평역(沙平驛)에서 / 곽재구

by 송화은율
반응형

사평역(沙平驛)에서 / 곽재구

 

막차는 좀처럼 오지 않았다

대합실 밖에는 밤새 송이눈이 쌓이고

흰 보라 수수꽃 눈시린 유리창마다

톱밥난로가 지펴지고 있었다

그믐처럼 몇은 졸고

몇은 감기에 쿨럭이고

그리웠던 순간들을 생각하며 나는

한줌의 톱밥을 불빛 속에 던져 주었다

내면 깊숙이 할 말들은 가득해도

청색의 손바닥을 불빛 속에 적셔두고

모두들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산다는 것이 때론 술에 취한 듯

한 두름의 굴비 한 광주리의 사과를

만지작거리며 귀향하는 기분으로

침묵해야 한다는 것을

모두들 알고 있었다

오래 앓은 기침소리와

쓴 약 같은 입술 담배 연기 속에서

싸륵싸륵 눈꽃은 쌓이고

그래 지금은 모두들

눈꽃의 화음에 귀를 적신다

 

<후략>


< 감상의 길잡이 >

시의 화자는 혼자 여행을 하고 있는 사람인 모양이다. 시행에서 정확하게 밝히고 있지는 않지만, 그의 여행은 조금은 쓸쓸하고 우울한 편이다. 이 시를 모티브로 하여 시인의 친구인 소설가 임철우는 비슷한 제목의 단편을 쓴 바 있는데, 그 소설에서 1인칭의 화자가 수배중인 운동권 대학생이었음을 참고하면 이 시를 재미있게 읽는 데 도움이 된다. 어쨌든 그가 어두운 분위기의 여행을 하고 있음은, 78연의 `그리웠던 순간들을 생각하며 나는 한 줌의 톱밥을 불빛 속에 던져주었다'라는 서정적 표현에 의해 뚜렷이 드러난다. 이 표현은 사실 이 시의 분위기에 주춧돌을 이루는데, 마지막에는 약간 변주되어 `그리웠던 순간들을 호명하며 나는 한줌의 눈물을 불빛 속에 던져 주었다'에서 한번 더 나타난다. 조용히 지난 일을 떠올리며 톱밥난로에 톱밥을 던져주는 젊은 남자, 이 장면은 이 시가 이룩한 하나의 서정적 성취의 중심에 있다고 할 만하다. 그래서 우리는 붉게 타오르는 불씨를 삶의 핵심적 정력으로, 그 위에 던져져 작고 아름다운 불꽃으로 연소하는 톱밥을 시간 위에 꽃 피는 삶의 아름다운 순간들로 바꿔 읽을 수 있게 된다.

 

특급열차는 서지 않는 변방의 간이역. 그 역사의 바깥을 채우며 내려 쌓이는 눈. 막차를 기다리는, 삶에 지친 사람들. 그 사람들 가운데 지펴진 난로. 이와 같은 극적 공간에서 시인은 시적 경구를 생산해 내는데, 그것은 `산다는 것은 때론 한 광주리의 사과를 만지작거리며 귀향하는 기분으로 침묵해야 한다는 것을 모두들 알고 있었다'는 아름다운 구절이다. 과연 조용한 침묵의 시간 속에서 우리는 삶의 진정한 실체를 느끼게 될 법도 하다. 이 시는 우리에게 혼자만의 여행이 주는 응시의 시간을 환기한다. 설사 그 여행이 강요된 것이며 도피의 몫이라 할지라도.

 

이 시는 1981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당선작품으로 곽재구 시인의 등단작이다. 제한된 공간 속에서 알뜰하게 사람사는 얘기를 서정적인 필치로 엮어내고 있는 이 시는 1980년대의 한국 서정시가 도달한 한 정점을 잘 드러내고 있다. [해설: 이희중]

 

 

 

<맥락 읽기>

 

1. 말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2. 나는 어떤 상황인가?

사평역 대합실에서 막차를 기다림

 

3. 의 배경을 말해보자.

눈이 내리는 늦은 밤, 추운 겨울

 

4. 시 속에 등장하는 사람들은 어떻게 묘사되고 있는가?

졸고, 쿨럭이고, 말이 없고, 낯설어 하고, 뼈아픔을 느끼고

 

5. 그들의 삶의 모습은 어떻다고 짐작했는가?

어렵고 힘겨워 보인다.

 

6. 이들에게 위로가 되는 것은?

톱밥 난로,

 

7. 화자의 태도는?

공감하고 위로가 되고자 한다. / -눈물을 던져줌

 

8. ()는 어떤 기분인가?

부대끼는 현실을 벗어남, 설레임.

정겨웠던 옛날을 생각한다.

 

9. ()는 어떤 의미일까?

현재의 고통과 상념들이 내일이면 모두 그리운 추억이 된다.

 

10. 열차와 인생, 대합실과 삶의 과정이 연관되는 이미지라면 우리들의 삶의 자세는 어떠해야 하겠는가?

 

 

아름다운 시어, 서정성이 느껴지는 말들을 찾아 보자.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