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사치의 바벨탑 / 본문 및 해설 / 전혜린

by 송화은율
반응형

사치의 바벨탑 / 전혜린

 

 

"여자는 전체로 보아서 아직도 하인의 신분에 있다. 그 결과 여성은 자기로서 살려고 하지 않고 남성으로부터 이렇다고 정해진 자기를 인식하고 자기를 선택하도록 된다. 남자의 손에 쥐어진 경제적 특권, 남자의 사회적 가치, 결혼의 명예, 남자에의 의존하는 것에서 얻은 효과, 이러한 모든 것이 여자들로 하여금 남자의 마음에 들도록 애쓰게 하고 있다."

여성에 관해서 말한다는 것은 필연적으로 남성에 대한 여성의 관계에 있어서 언급되어야 한다. 우리 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의 어느 나라에서도 여성과 남성간의 사회적 차이와 대립이 완전히 제거된 곳은 없으며 앞으로도 사회 구조의 전적인 변화가 없는 한은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여성의 사회적 지위는 몹시 느린 속도로 향상되어 가는 과정에 있고 아직도 우리는 평균적으로 보아서 여자가 사회에 한 발을 디디고 서기가 마치 미국에서 한 흑인이 그렇게 하려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힘드는 처지에 있다. 그러한 남성과 여성간의 커다란 차이를 미리 고려하면서 우리는 여성의 제 문제 또는 약점을 파고 들어갈 수가 있을 것이다.

 

여성의 가장 본질적 약점으로 나는 생 전반에 대한 비본연적 태도를 들고 싶다. 자기 자신을 순간순간마다 의식하고 사회와 세계에 대해서 자기를 투기하고 초월하면서 사는 것이 본연적 생활태도라면, 태반의 여성의 생활은 그와 반대라고 말할 수 있다. 즉 보다 큰, 보다 진실한 문제―유일한 문제는 회피하고 일시적인 눈가림인 사실의 세계―물질이 지배하는―에 빠져 있고 그곳에서 아무런 타격도 전율도 반응 없이 흘러가듯이 사는 생활 태도, 말하자면 비진정(非眞正)하고 불성실한 생활 태도가 대부분 여자의 것이라 말할 수 있다.

 

남녀를 막론하고 인간이라는 무서운 조건 하에 있는 우리가 해야 할 유일의 일은 우리의 삶을 규명하는 것일 것이며 적어도 그러한 근본적인 생활 감정에서 지배된 생활이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유일의 진실하고 엄숙한 문제는 회피하고 자그마한 일들, 물질, 사치스런 생활, 남자에게 의존 또는 기계와 소외해버리는 생활은 허위 위에 있는 것이다. 생과 사에 자기를 똑바로 응시하고 산다는 것은 무서운 용기와 신경력을 요한다. 특히 이 사회의 구조와 한국적 풍토 속에서는 너무나 신경이 긴장되는 작업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것 없이는 전생(全生)의 의의가 무(無)로 화하는 것이니까 그것을 회피하는 것은 일회적으로 주어진 우리 삶에 대한 죄인 것이다.

 

무엇보다 자기를 좀더 응시할 수 있을 것, 자기를 견딜 수 있을 것이 결과적으로는 다 비극인 우리의 생의 소상을 긴박한, 팽팽하게 차 있는 참된 순간으로 지속시키는 방법일 것이다.

 

우리가 존재에서 외면하고 사실의 세계로만 눈을 향하는 데에 여성에 대한 사회의 비난의 근본 원인이 있다고 본다. 자기 과제를 느끼지 못하는 삶에는 필연적으로 공허가 따르고 따라서 오락의 필요가 생긴다.

 

최신 유행의 여성들에게 갖는 매력은 거기에 있다. 왜냐하면 물건을 사는 것―특히 몸에 붙일―은 어느 나라 여성을 막론하고 남자들에게 있어서 바(Bar)와 필적할 만한 상쾌한 오락인 까닭이다.

 

가장 유행하고 가장 비싼 물건을 입거나 신은 여자의 얼굴에는 반드시 어떤 빛나는 생기가 떠 있다. 그 순간은 그 여자는 살고 있는 까닭에 자기가 이룰 수 없는 사회내의 일이나 지위나 가치의 인정을 완전히 보상해 주고 부드러운 감촉으로 위안해 주는 환상의 역할을 하나의 옷은 여자에 있어서 하고 있다. 사치스러운 복장에 대한 여성의 판타직[狂的追求]은 억눌려진 야심, 사회 내에서 해당하고 싶은 본질적 욕망과, 자기는 다른 여자와 다르다고 어떤 여자든지 반드시 믿고 있는 오신(誤信), 또 누구나 다소 가지고 있는 나르시시즘(자기 연애) 등의 혼합물인 것이다.

 

정말로 수많은 여인은 이 광신(狂信)의 추구를 위해서는 어떤 희생도 아끼지 않고 있다. 월급의 전액을 차지하는 값의 외투도 서슴지 않고 해 입는다.

 

현실에서는 발견하거나 인정되지 않는 자아의 가치를 이러한 방법으로나 가상적으로라도 만들어 보려는 것이다.

외투도 신도 곧 닳아 버리는 물건이고 유행도 바뀐다. 즉 가상적 자아의 바벨탑은 너무나 빨리 무너지는 것이다. 그러면 또 새로운 투쟁이 시작된다.

 

이렇게 끊임없이 되풀이되는 여성의 물질에 대한 애착은 웃거나 비난하기에는 너무나 어둡고 심각한 근원이 여성의 내재(內在)속에 있는 것이다.

 

이렇게 비본질적 존재로 여성을 만든 것은 여성의 지능계수도 생리도 아니고, 다만 사회의 상황인 것으로 사회와 가정은 여성을 가능한 한 비본질적으로 교육하기에 전력을 다해 왔다.

 

여성의 자주성을 찾으려는 가장 조그만 움직임이나 생각까지도 조소되고 비난받아 왔고, 다만 두 사람의 합의에 의해서 공동으로 생활을 건설해 가고 둘이 다 자아의 생장을 지속시켜 가는 공동체라고 보아야 할 결혼을 사회는 여자의 궁극적인 숙명, 여자의 자아 전의 무덤으로서, 또 어떤 절대적인 영광스러운 예속으로서 가르쳐 주어 왔다.

 

<중략>

 

그러나 어느 여자도 그것에 완전히 만족하거나 행복을 느끼지도 않을 것이다. 적어도 그런 생활에는 일순일순의 팽팽한 충일감과 초월의 느낌이 없을 것이다. 어느 주부든지 어떤 순간에는 반드시 자기를 부조리하게 느낄 것이다. 쌀 씻고 빨래하고 옷 꿰매는 나날의 무서울 만큼 단조한 반복 속에서 그 여자의 의식은 엷게나마 눈을 뜰 것이다.

 

이것이 나의 생활인가 하고, 그럴 때 우리는 그 의식의 각성을 소중히 포착해야 한다. 그리고 파고 들어가야 한다. 분명 그것은 나의 생활은 아닌 것이다. 누구나의 생활에 불과한 것이지 자기를 사물이나 타자의 속에 소외해 버린 일반적인 아무나의 삶이지 그것은 이 일회적인 나만이 가질 수 잇는 삶은 아닌 것이 분명하다.

 

그것을 의식할 때 우리는 우리의 생이 진정한 것이 아니었고 불성실한 것이었음을 알게 된다. 그리고 보다 한 발자국 '나'와 가까워진다. 자아에 대해서 비로소 눈을 뜬 느낌을 갖게 된다. 무엇보다도 자아에, 자기의 감정과 이성과 신경에게 충실할 것, 순간마다 충실할 것, 그것 이외에 우리가 자아에 이를 수 있는 길은 없다. 그것만이 사치, 허위, 소극성, 아첨, 비굴, 수다 등등의 여성에 붙여진 비난의 제 레테르(상품명이나 제조처 따위를 써서 상품에 붙이는 종이나 헝겊 조각.) 라벨(label)를 벗는 길로 한 걸음 나아가는 길이다.

 

이 모든 레테르는 남성들의 사회에서 남성에 의해서 붙여진 레테르이다.

그러나 사회 상황의 변화에 의해서 남녀가 정말로 동등한 입장이 되고 여자도 남자와 마찬가지로 세계에 향해서 자신을 초월하는 행위 소에 자기를 찾을 수 있을 때까지 여성은 개인적으로라도 무서운 고독과 절망과 싸우면서 자아를 좇는 길을 걸어가지 않을 수 없으며 현재도 걸어가고 있는 사람이 숨은 곳에 많으리라고 확신한다.

 

지엽적(枝葉的)인 여성의 결점은 모두 이러한 비실존적 생활 태도에서 나온 것이므로 우리는 여성의 결점을 열거하는 것보다도 우선 우리의 존재의 문제를 좀더 밝혀야 한다고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즉 여성도 남성과 마찬가지로 사회적 경제적으로 비의존적(非依存的)으로 투기가 가능해진다면, 아니 한 마디로 여서의 경제적 지위가 남성의 그것과 동등해진다면 여성의 근본 결함인 비진정, 불성실한 생활 태도는 자연 소멸하고 여성의 보다 높은, 보다 참된 과제를 자기의 생활 과제로 삼게 될 것이다.

 


 작자 : 전혜린
 형식 : 수필
 성격 : 철학적, 사변적,
 주제 : 여성의 진정한 삶의 존재 고찰


(출처 :http://gallery.xy.co.kr/artist/foart/1rene/bruegel/br10b.jpg)

 

 소상(素尙) : 본디부터의 소원.
 판타직 : 환상적인, 현실에 기반하지 않은.
 실존을 스스로 - 행해서 투기하는 생활 : 자신에 대한 자각을 하고 자신의 능력으로 과감하게 세계와 대결하여 이를 개척해 나가는 정열적인 삶.
 충일감 : 넘칠 듯이 가득 찬 느낌.
 라벨 : 상표, 고유의 이름.
 실존 : 실존 철학에서, 개별자로서 자기의 존재를 자각적으로 물으면서 존재하는 인간의 주체적인 상태.
 지엽(枝葉) : ①식물의 가지와 잎. 가엽(柯葉). ② 본질적이거나 중요하지 아니하고 부차적인 부분.

 

 남자에 의해서 길들여진 여성성을 찾는 길이 진정한 여성의 길이라고 주장하는 글로 "여성도 남성과 마찬가지로 사회적 경제적으로 비의존적(非依存的)으로 투기가 가능해진다면, 아니 한 마디로 여서의 경제적 지위가 남성의 그것과 동등해진다면 여성의 근본 결함인 비진정, 불성실한 생활 태도는 자연 소멸하고 여성의 보다 높은, 보다 참된 과제를 자기의 생활 과제로 삼게 될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당시로서는 상당히 페미니스트적인 글로 선구적인 여성의 고민을 엿볼 수 있는 길이다.

 

 

 전혜린(田惠麟)  

 1934 ∼ 1965. 수필가 · 번역문학가. 평안남도 순천 출생. 법률가인 봉덕(鳳德)의 1남 7녀 중 장녀이다. 1953년 경기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였고, 같은 해 서울대학교 법학과에 입학하였으나 1955년 3학년 재학 중 전공을 독문학으로 바꾸어 독일로 유학하였다.

 

1959년 독일 뮌헨대학 독문학과를 졸업하고 이 학교 조교로 근무하였다. 유학 중 1955년 가톨릭에 귀의하여 막달레나(Magdalena)라는 영세명으로 영세를 받았으며, 이듬해 법학도인 김철수(金哲洙)와 혼인하였다.

 

1959년 5월 귀국하여 경기여자고등학교 ·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 이화여자대학교의 강사를 거쳤고, 1964년 성균관대학교 조교수가 되었다. 펜클럽 한국본부 번역분과위원으로 위촉되어 일하기도 하였다.

 

1965년 1월 11일 31세로 자살하였으며, 뜻하지 않은 죽음은 그의 총명을 기리는 모든 이에게 충격과 아쉬움을 남겼다. 독일 유학 때부터 시작된 그의 번역작품들은 정확하고 분명한 문장력과 유려한 문체의 흐름으로 많은 독자들에게서 사랑을 받았다.

 

사강(Sagan,F.)의 〈 어떤 미소 〉 (1956), 슈나벨(Schnabel,E.)의 〈 안네 프랑크-한 소녀의 걸어온 길 Anne Frank 〉 (1958), 이미륵 ( 李彌勒 )의 〈 압록강은 흐른다 Der Yalu Fliesst 〉 (1959), 케스트너(K ○ stner,E.)의 〈 화비안 Fabian 〉 (1960), 린저(Rinser,L.)의 〈 생의 한 가운데 Mitte des Lebens 〉 (1961), 뵐(B�[ll,H.)의 〈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Und Sagte Kein Einziges Wort 〉 (1964) 등 10여 편의 번역작품을 남겼다.

 

그밖에 수필집 ≪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 (1966)와 ≪ 미래완료의 시간 속에 ≫ (1966)가 있고, ≪ 이 모든 괴로움을 또 다시 ≫ 라는 제명으로 1976년 대문출판사(大文出版社)에서 일기가 유작으로 출간되기도 하였다.

 

순수와 진실을 추구하고 정신적 자유를 갈망하던 그의 모습은 지금까지도 당대의 새로운 여성상으로 평가받는 한편, 완벽한 정신세계를 지향하는 지성적인 현대 여성의 심리로서 분석되는 등 관심의 대상으로 지속되고 있다.

 

≪ 참고문헌 ≫ 아! 田惠麟, 田惠麟評傳(鄭孔采, 文學藝術社, 1982), 전혜린이야기(李德姬, 예하, 1988), 사랑의 메아리 田惠麟文庫(韓國日報, 1966.3.20.), 불꽃처럼 살다 간 田惠麟(東亞日報, 1982.4.15.), 死後 20年 田惠麟의 精神세계(韓國日報, 1985.6.29.).

 

 

 바벨탑 (Tower of Babel)  

 인류역사의 초기, 즉 대홍수가 휩쓸고 지나간 후 노아의 후손들은 다시 시날(바빌로니아) 땅에 정착하기 시작하였는데, 이곳에서 사람들은 도시를 건설하고 꼭대기가 ‘하늘에 닿게’ 탑을 세우기로 하였다. 성경에 기록된 그들의 탑 건축 목적은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탑을 쌓아올려 자기들의 이름을 떨치고 홍수와 같은 야훼의 심판을 피하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그들의 민족신 야훼는 노아의 홍수 이후에는 물로써 대심판을 하지는 않겠다고 약속하였는데, 그 약속의 표징이 무지개였다고 한다. 그러나 사람들은 야훼를 불신하는 상징으로 바벨탑을 세운 것이다. 이를 괘씸하게 여긴 야훼는 탑을 건축하는 사람들의 마음과 언어를 혼동시켜 멀리 흩어지게 함으로써 탑 건축이 중단되게 하였다. 그래서 이 지명을 바벨(Babel), 또는 바빌론(Babylon)이라고 불렀다. 그 뜻은 ‘그가 (언어를) 혼잡하게 하셨다’(창세 11:9)는 내용이다.

 

 이 탑의 크기를 헤로도토스의 《역사》 등 여러 고증을 통해서 보면, 1층이 길이 90m ·너비 90m ·높이 33m, 2층은 길이 78m ·너비 78m ·높이 18m, 3층은 길이 60m ·너비 60m ·높이 6m, 4층은 길이 51m ·너비 51m ·높이 6m, 5층은 길이 42m ·너비 42m ·높이 6m, 6층은 길이 33m ·너비 33m ·높이 6m이고, 7층이 길이 24m ·너비 24m ·높이 15m로 알려져 있다. 이 이야기는 각 민족에 따라 달라지는 언어현상의 유래담(由來談)이 근간이 되어 합성된 것으로 보는 학자들도 있다.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나르시시즘(Narcissism)

 자기 자신에게 애착하는 일. 자신이 리비도의 대상이 되는 정신분석학적 용어. 자기애(自己愛)라고 번역한다. 물에 비친 자신의 모습에 반하여 자기와 같은 이름의 꽃인 나르키소스, 즉 수선화(水仙花)가 된 그리스 신화의 미소년 나르키소스와 연관지어, 독일의 정신과 의사 네케가 1899년에 만든 말이다. 자기의 육체를 이성의 육체를 보듯 하고, 또는 스스로 애무함으로써 쾌감을 느끼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한 여성이 거울 앞에 오랫동안 서서 자신의 얼굴이 아름답다고 생각하며 황홀하여 바라보는 것은 이런 의미에서의 나르시시즘이다. 그러나 이 말이 널리 알려진 것은 S.프로이트가 이를 정신분석 용어로 도입한 뒤부터이다.

 

 그에 의하면 자기의 육체, 자아, 자기의 정신적 특징이 리비도의 대상이 되는 것, 즉 자기 자신에게 리비도가 쏠려 있는 상태이다. 보다 쉽게 말하면 자기 자신이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정신분석에 따르면 유아기에는 리비도가 자기 자신에게 쏠려 있다. 그래서 프로이트는 이 상태를 1차적 나르시시즘이라고 하였다. 나중에 자라면서 리비도는 자기 자신으로부터 떠나 외부의 대상(어머니나 이성)으로 향한다(對象愛). 그러나 애정생활이 위기에 직면하여 상대를 사랑할 수 없게 될 때, 유아기에서처럼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것이 2차적 나르시시즘이다. 프로이트는 정신분열병(精神分裂病)이나 파라노이아(偏執病)는 극단적인 예라고 생각하였다.(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