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고도 조심성 없이 / 이솝
by 송화은율물리고도 조심성 없이 / 이솝
병 든 사자가 동굴 속에 누워 있었습니다. 사자는 절친한 동무인 여우에게 말했지요.
"내가 회복되어 살기를 바란다면 자네의 달콤한 혓바닥을 놀려 숲 속에 살고 있는 큰 사슴을 꾀어 내 발톱이 미치는 곳으로 데려오도록 하게나. 나는 사슴의 창자와 허파가 먹고 싶단 말일세."
여우는 나가서 숲 속에서 뛰놀고 있는 사슴을 발견했습니다. 거기 끼여들어가 여우는 사슴에게 이렇게 인사말을 붙였지요.
" 나는 아주 좋은 소식을 가지고 왔습니다. 우리들의 왕인 사자님과 내가 이웃이란 것은 알고 계시지요? 병환이 나서 오늘내일 하십니다. 그래서 어떤 동물이 다음에 왕이 되어야 할지를 생각하고 계시거든요. 돼지는 지각이 없고, 곰은 게으름뱅이요, 표범은 성미가 고약하고, 호랑이는 허풍선이라는 것이지요. 그래서 사슴이 왕좌(王座)에는 가장 적임자라는 것이지요. 귀도 인상적으로 크고 장수하는 동물인 데다가 두 뿔은 뱀도 무서워 한다는 것이지요. 요컨대 귀하가 왕으로 지명되신 겁니다. 이 소식을 처음으로 전해 드리는 제게 무슨 대답을 주시렵니까? 어서 말씀해 주세요. 전 서둘러야 합니다. 사자님은 매사에 제 조언에 의존하십니다. 그래서 곁에 있기를 바라실 것입니다. 이 늙은이의 충고를 따르셔서 저와 함께 가셔서 임종(臨終) 때까지 사자 곁에 눌러 계십시오."
이 말에 사슴의 마음은 자부심으로 부풀어 올랐습니다. 그래서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아무런 의심도 않고 동굴로 갔습니다. 사자는 열을 내어 사슴에게 덤벼 들었지요. 그러나 발톱으로 사슴 귀를 찢을 수 있었을 뿐입니다. 그리고 사슴은 급히 숲 속으로 달아났습니다. 여우는 자기 헛수고에 실망하여 두 손을 치고 야단이었습니다. 사자는 분하고 배가 고파서 큰 소리로 탄식하고 으르렁거렸습니다. 종당에 사자는 다시 한 번 시도해서 사슴을 꾀어 오라고 여우에게 간청했습니다.
"제게 맡기시는 일은 참 어렵고 성가신 것이지만 그러나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하고 여우는 대답했지요. 그리고 간교한 궁리를 하면서 사냥개처럼 사슴을 뒤쫒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몇몇 목동들에게 피가 묻은 사슴을 보았느냐고 물었습니다. 그들은 사슴이 들어간 숲을 손가락으로 가리켜 주었습니다. 급히 도망쳐 와서 몸을 식히고 있는 사슴을 보고 여우는 뻔뻔스럽게도 말을 붙였습니다. 사슴은 노여움으로 머리카락이 쭈뼛해졌지요.
이런 속임수로 여우는 재수 없는 사슴을 다시 함께 가도록 하였습니다.
동굴로 들어서자마자 사자는 사슴을 먹어 치웠고 뼈와 골수와 내장도 모조리 삼켰습니다. 여우는 서서 구경을 했지요. 시체에서 염통이 떨어져 나오자 그는 몰래 나꿔채어 자기 수고에 대한 보수라고 먹어 치웠습니다. 사자는 그것을 놓치고 두루 찾았습니다.
"염통 찾기를 그치는 게 좋아요."
하고 여우는 안전한 거리에서 말하는 것이었습니다.
"사실은 염통이 없으니까요. 두 번이나 사자 굴과 사자 손아귀로 찾아드는 녀석에게서 무슨 염통을 기대한단 말입니까?"
요점 정리
작자 : 이솝(Aesop; B.C. 620∼560)
갈래 : 우화(寓話)
성격 : 우화적, 교훈적, 풍자적
제재 : 사자, 사슴, 여우
주제 : 세계와 대결하기 위해서는 조금도 방심하지 않고 대상을 직시해야 한다.
의의 : 최초의 우화로서 교훈 문학의 정수를 보여 준다
출전 <이솝 우화집>
구조
기 : 사자가 사슴을 데려 오도록 함
승 : 여우의 꼬임에 넘어간 사슴을 사자가 놓침
전 : 여우의 달콤한 말에 사슴이 다시 속아 사자굴에 들어감
결 : 사슴이 잡아먹힘
내용 연구
매사(每事) : 일마다. 하나하나의 모든 일.
임종(臨終) : 숨이 끊길 때. 부모가 돌아가실 때 그 곁에 있는 일.
종당에 : 마침내
사실 염통이 없으니까요 : 어리석은 자의 죽음이 당연하다는 향유자의 인식이 드러나 있다.
이해와 감상
이 작품에 나타난 사자, 여우, 사슴은 단순히 동물이 아니라, 작품 속에서 형상화된 인물의 성격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한 인물의 전형적 행위를 통하여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를 깨우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사슴이 죽게 된 것을 어떻게 설명하고 해석할 것인지 생각해 보도록 하자. 사슴과 같이 모든 인간은 끊임없는 욕망의 일면을 지니고 있다. 그 욕망 때문에 사리의 분별을 하지 못하는 예는 수없이 많은 것이다. 사슴의 행위가 바로 우리가 저지를 수 있는 일이라는 것을 생각하면서 이 글을 읽어 보자.(출처 : 우한용외 3인저 동아문학교과서)
감상2
이 글은 동물의 이야기를 통해서 인생에 교훈을 주는 우화(寓話)이다. 등장하는 동물들은 그에 견주어지는 인물 유형을 표상한 것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따라서 동물들의 행위를 통해 인간들의 행위의 어떤 전형이 탐색되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이 작품에서 사자는 강력한 힘을 가진 존재로 다른 동물의 생명을 위협하는 인물의 표상이다. 여우는 그 권력자에게 빌붙은 간교한 인물을 나타낸다. 그러나 사자나 여우는 부수적인 인물이다.
여우의 꾐에 넘어가는 사슴이 주인공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사슴은 여기서 세속적인 욕망에 사로잡힌 인물이다. 그는 욕망에서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결국은 죽음을 맞게 된다. 비록 그가 욕망을 지니고 있을지라도 자신의 처지를 냉정히 관찰할 수 있는 지혜를 가졌더라면 죽음에서 벗어날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그러한 지혜가 없었을 뿐더러 과거의 경험에서도 아무런 깨달음을 얻지 못하는 어리석은 존재이다. 다만 욕망의 부추김에 따라 촛불에 날아드는 부나비처럼 퍼덕일 뿐이다.
욕망 때문에 사리 분별을 하지 못하고 자신의 운명을 재촉하는 것이다. 이솝은 사슴의 예를 통해서 헛된 욕망에 사로 잡혀 날뛰는 사람들을 경계하고 있는 것이다.
감상3
이 우화는 사슴이 가진 욕망, 즉 최고 권력자가 되고자 하는 욕망을 경계하자는 내용을 지니고 있다. 인간은 누구나 이 작품에 등장하는 사슴처럼 높은 자리에 오르고 싶은 욕망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 욕망에 눈이 먼 나머지 사리 판단을 하지 못한 채 스스로 파멸을 초래할 가능성도 있다. 그러므로 이런 위험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여우와 같이 교묘한 말로 남을 칭찬하는 인물을 경계해야 한다. 왜냐 하면, 진정으로 남이 잘 되기를 바라는 사람은 입에 발린 칭찬보다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충고를 해 주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심화 자료
이솝(Aesop)
그리스 우화집 작가로 여겨지는 인물에게 붙여진 이름으로 그는 거의 전설적인 인물에 가깝다. 고대에는 그가 실존 인물이었음을 입증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었다. BC 5세기의 헤로도토스는 이솝이 BC 6세기에 살았던 노예였다고 했다. AD 1세기의 플루타르코스는 이솝이 BC 6세기 때 리디아의 왕이었던 크로이소스의 조언자였다고 했다. 그가 트라키아 출신이라고 하는 설도 있고 프리지아 사람이라는 설도 있다. 1세기에 씌어진 이집트 전기를 보면 그는 사모스 섬에 살던 노예였고 주인에게 자유를 얻어 리쿠르고스 왕의 수수께끼 푸는 자로 바빌론에 갔으며 마침내 델포이에서 죽음을 맞는 것으로 나온다. 아마 이솝은 동물을 중심으로 한 우화들의 작가로 만들어낸 인물에 불과한 것 같다. 그래서 '이솝 이야기'란 곧 '우화'를 뜻하게 되었다. 우화의 중요성은 이야기의 줄거리보다 이야기가 주는 교훈에 있다.(출처 : 브리태니커백과사전)
이솝 우화
고대 그리스 우화집. 동물과 그 밖의 세계에 빗대어 인간생활의 여러 가지 모습을 그려내고 있다. 아이소포스(Aisopos;이솝)의 작품으로 전해지는데, 그의 전기(傳記) 속에 수록되어 있던 우화가 독립하여 하나로 정리된 것으로 보인다. BC 5세기에 이미 <아이소포스의 이야기>라는 특정한 동물우화집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희극시인이나 변론가에게 애호되었다. 호메로스의 서사시가 영웅과 귀족의 문학이라고 한다면, 이것은 학대받는 민중의 문학이라 할수 있다. 시대사상이나 종교규범과는 관계가 없고, 통철한 안목으로 인간생활을 묘사했다는 점에서 그리스인정신을 상징하는 합리주의적 사고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동물우화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이것 이외의 우화나 아프리카·소아시아의 외래 우화도 아이소포스의 우화집속에 들어가게 되었다. 전승면에서 맨처음 우화집의 편집자는 아리스토텔레스 문하(門下)의 데메트리우스라고 하나 전해지는 것은 없다. 오늘날 전해지고 있는 가장 오래된 그리스어 원문은 2∼3세기의 것이다. 이것은 치음부터 이해하기 쉬운 명쾌한 산문으로 씌어져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것을 운문으로 고쳐 쓰는 시도도 몇 차례 이루어졌다. 그 대표적인 예는 2세기의 바브리오스의 우화시이다. 또한 로마에서는 일찍부터 소개되었지만 제정 초기에 파에도르스가 라틴어의 시형(詩形)으로 우화집을 발표하였다. 이들 시는 비잔틴시대와 유럽 중세를 통하여 이솝우화의 전승에 큰 역할을 하였다. 아이소포스의 우화집은 그리스 민족의 문화유산일 뿐만 아니라, 중세를 거쳐 르네상스시대에 와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세계문학의 하나가 되는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출처 : 동아대백과사전)
우화(寓話/fable)
빗대어 풍자한 이야기로 일반적으로 사람처럼 행동하고 말하는 동물들을 주인공으로 삼으며 인간의 어리석음과 약점들을 부각시키기 위해 지어낸 이야기이다. 윤리적 가르침이나 행동에 대한 교훈이 이야기 속에 있으며, 그 교훈은 대개 끝부분에 명시된다. 서구의 우화 전통은 사실상 이솝 우화에서 시작되었다(BC 6세기). 이솝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이솝 우화의 현대판들에는 200여 편에 이르는 우화가 실려 있지만, 그 이야기들의 실제 기원을 추적하기는 불가능하다. 이솝풍의 이야기를 발전시켰던 고전 작가로는 로마의 시인 호라티우스와 그리스의 전기 작가 플루타르코스, 그리스의 풍자작가 루키아노스 등이 있다. 다른 풍유(알레고리) 문학과 마찬가지로 우화도 중세에 번성했으며, 12세기말 마리 드 프랑스는 유명한 우화집을 만들었다. 중세 우화는 동물담시(beast epic)라는 보다 폭넓은 형식을 낳았는데, 이 형식은 서사시의 장엄함을 풍자적인 방식으로 모방하면서 영웅, 악당, 희생자, 끝없이 계속되는 영웅적인 노력들을 다룬 길고 일화적인 동물 이야기이다.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12세기 프랑스에서 일련의 이야기들을 모아 엮은 〈여우 이야기 Roman de Renart〉이다. 이 이야기의 주인공은 교활한 사람을 상징하는 여우 르나르(Renart[또는 Reynard])이다. 르네상스 시기에 에드먼드 스펜서는 〈엄마 허버드 이야기 Mother Hubberd's Tale〉(1591)에서 이런 종류의 소재를 사용했다. 존 드라이던은 〈암사슴과 표범 The Hind and the Panther〉(1687)에서 진지한 신학적인 논쟁을 빗대어 말하기 위한 목적으로 동물담시를 되살려 썼다. 우화는 전통적으로 그다지 길지 않으며, 그 형식은 17세기 프랑스의 장 드 라 퐁텐의 작품에서 절정에 달했다. 라 퐁텐이 주제로 삼은 것은 인간의 어리석은 허영심이었다. 1668년에 나온 라 퐁텐의 첫번째 우화집 〈우화 Fables〉는 이솝풍을 본떴으나, 그후 25년 동안 내놓은 작품에서는 궁정, 궁정의 관료, 교회, 부상하는 중산층 등 실로 인간사의 모든 측면을 풍자했다. 그의 영향력은 유럽 전역에 두루 미쳤고, 낭만주의 시대에 그의 뒤를 이은 탁월한 우화작가는 러시아의 이반 안드레예비치 크릴로프였다.
우화는 19세기에 아동 문학이 일어나면서 새롭게 각광받기 시작했다. 우화 형식을 이용했던 이름난 작가들로는 루이스 캐롤, 케니스 그레이엄, 루드야드 키플링, 힐레어 벨록, 조엘 챈들러 해리스, 비어트릭스 포터 등이 있었으며, 아동들을 주 대상으로 하지는 않았다 하더라도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과 오스카 와일드, 생 텍쥐페리, J. R. R. 톨킨, 제임스 서버 등도 유명한 우화작가들이다. 우화를 좀더 진지하게 사용한 현대적인 예로는 스탈린 치하의 러시아를 신랄하게 풍자한다. 조지 오웰의 〈동물 농장 Animal Farm〉이 있다.
구전(口傳)되는 인도 우화의 제작 연대는 BC 5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산스크리트로 된 동물 우화집 〈판차탄트라 Pancatantra〉는 사자왕의 고문들인 두 재칼의 이름을 따 〈칼릴라와 딤나 Kallah wa Dimnah〉라는 제목으로 알려진 8세기 아랍어 번역에만 남아 있다. 〈판차탄트라〉는 여러 나라 말로 번역되었는데, 13세기에 카푸아의 요한네스가 히브리어 번역본으로부터 라틴어판을 만들었다. 중국에서 우화가 많이 발전하지 못한 이유는 동물이 사람처럼 행동하고 말한다는 생각을 받아들이지 못하게 했던 사상적 전통 때문이었다. 그러나 4~6세기 중국 불교에서 종교 교리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불교국 인도에서 우화를 들여와 중국 상황에 맞게 바꾸었다. 그 우화들을 편찬한 책이 〈백유경 百喩經〉이다. 일본에서는 8세기의 역사서인 〈고지키 古事記〉와 〈니혼쇼키 日本書紀〉에 우화들이 실려 있다. 그중 많은 우화는 작고 영리한 동물이 크고 우둔한 동물보다 낫다는 주제를 다룬다. 우화형식은 가마쿠라 시대[鎌倉時代 : 1192~ 1333]에 최고에 달했다. 16세기에 예수회 선교사들이 일본에 이솝 우화를 소개했고 그 영향은 현대까지 계속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우화의 전통은 오래된 듯하나 작품이 많이 남아 있지는 않다. 전하는 우화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는 〈삼국사기〉의 〈구토지설 龜兎之說〉·〈화왕계 花王戒〉 등을 들 수 있다.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우화형식이 발전하여 가전(家傳)과 우화소설들이 나왔다.(출처 : 브리태니커백과사전)
우화집(寓畵集/emblem book)
상징적인 그림들을 모아놓은 책.
보통 운문으로 된 경구와 해설이 곁들여지며 산문으로 된 해설이 나오는 경우도 많다. 중세 알레고리와 동물지에서 유래된 우화집은 16세기에 이탈리아에서 삽화문학 장르로 발전했으며 17세기에는 서부 유럽 전역에 퍼졌다.
우화 문학의 아버지는 16세기 이탈리아 법률가·인문주의자였던 안드레아 알치아토이다. 그의 작품 〈엠블레마타 Emblemata〉(라틴어판, 1531)는 번역되어 150판 이상 발행되었다. 플란틴 출판사는 우화 문학을 전문적으로 출판하여, 1565년 안트웨르펜에서 헝가리의 의사·역사가인 요한네스 삼부쿠스의 〈엠블레마타〉와, 1565년 네덜란드에서 의사인 하드리아누스 유니우스(아드리안 데 용헤)의 〈엠블레마타〉, 레이덴에서 영어로 된 초기 우화집으로 알치아토와 유니우스를 비롯한 여러 사람의 우화를 모아 엮은 제프리 휘트니의 〈우화선집 Choice of Emblemes〉(1585) 등을 펴냈다. 영어로 된 우화집은 네덜란드에서 출판되거나 영어글과 외국 그림을 조합하여 만들어졌는데, 네덜란드 초기의 중요한 우화집인 옥타비우스 바이니우스(오토 반 벤)의 〈사랑의 우화 Amorum Emblemata, Figuris Aeneis Incisa〉(1608)의 영어판이 그런 예이다.
네덜란드는 우화집 유행의 중심지가 되었다. 바이니우스의 〈사랑의 우화〉는 오비디우스를 비롯한 고대 로마의 여러 성애(性愛) 시인의 은유를 그림으로 나타내 실었다. 네덜란드의 우화집은 여러 나라에서 번역되고 표절되고 다른 글과 그림으로 재판되었다. 다국어판으로 된 우화집이 나오면서부터 우화집 출판은 국제적인 사업이 되었는데, 네덜란드어와 라틴어, 뒤에는 프랑스어까지 곁들인 헤인시우스의 시집이 그 효시였다. 연인들은 사랑의 우화집을 주고 받았으며, 사랑의 우화집은 르네상스 시대 전반에 걸쳐 여러 학회의 학구적인 오락거리였던 '사랑의 문제들'에 대한 작은 백과사전 노릇을 했다.
한편 네덜란드의 우화 제작가들은 종교적인 우화로 방향을 바꾸어, 우화를 포교의 수단으로 삼았던 예수회 수사들과 칼뱅주의자들을 도왔다. 바이니우스의 〈신의 사랑에 관한 우화 Amoris Divini Emblemata〉(1615)에는 오비디우스의 시구 대신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글이 인용되었고 큐피드가 영혼의 교사로 다시 나오고 있다.
폭넓은 인기를 얻었던 유일한 영어 우화집은 프랜시스 퀄즈의 〈우화집 Emblemes〉(1635)으로, 인기있는 예수회 우화집이었던 〈경건한 소원 Pia Desideria〉·〈세계상(像) Typus Mundi〉(1627)에 나오는 그림들을 싣고 있다.(출처 : 브리태니커백과사전)
우화의 특징
우화는 현실을 헤쳐나가는 데 필요한 도덕적 교훈과 인간 행동의 원리를 전달하거나 세상을 풍자할 목적으로 씌어지는 짧은 이야기이다. 그러므로 우화는 겉으로 보기에는 동물들의 모습이나 행위를 표현하고 있으면서도, 속으로는 인간의 행동과 성격을 우회적으로 비판하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 한편, 우화가 우리에게 던져 주는 교훈은 도덕적 원리보다는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인 경우가 많다. 요컨대, 우화는 꾀와 조심성을 독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세상살이에 도움을 주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