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매잡이 / 줄거리 및 해설 / 이청준

by 송화은율
반응형

매잡이( <신동아>, 1968)

 

 

작가:이청준(李淸俊, 1939 - )

전남 장흥 출생. 1962년 서울대 독문과 졸업. 대학 재학 중인 1965<사상계> 7회 신인 문학상에 단편 퇴원이 당선되어 문단에 등단. 1967병신과 머저리로 제 13회 동인문학상을 수상하는 등 여러 차례 상을 탐. 주로 현실과 이상의 차이. 그 속에서 일어나는 심리적 고통을 집요하게 추구함. 대표작으로 이어도(1976), 별을 보여드립니다(1971), 소문의 벽(1972) 등이 있다.

 

 

등장인물

 

: 서술자. 소설가. 민태준 형의 취재 노트를 넘겨 받아 매잡이라는 소설을 쓴다.

민태준: 소설가 지망생. 별다른 소설은 쓰지 않았으나 여러 차례 취재여행을 함.

곽서방: 매잡이. ‘번개쇠라는 매로 매잡이를 함.

중식: 벙어리.곽 서방의 뒤를 이어 매잡이가 되고자 함.

 

 

줄거리

 

지난 봄 갑자기 세상을 등지고 만 민태준 형은, 그가 이승에 있었다는 흔적으로 단 한 가지의 유물만을 남겨 놓고 갔었다. 아는 이는 다 알고 있는 일이지만 그것은 별로 값지지도 않은 몇권의 대학 노우트로 되어있는 비망록이었다. 우리는 그가 원래 시골집에 논섬지기나 땅을 가지고 있었고 (하략)

 

주인공인 나는 민태준 형의 자살에 접하여 당황한다. 결핵을 앓고 있던 형은 지난 해 봄 갑자기 단 한 가지 유물만 남기고 세상을 떴다. 아는 이는 다알 고 있는 것이지만 그것은 별로 값지지도 않는 몇 권의 대학 노트로 되어 있는 비망록이었다. 형의 생전에 나는 형으로부터 여행 비망록의 한 부분을 본 바가 있었다. 그것은 전라북도 창원에 있는 어느 지방에 살고 있는 매잡이에 관한 것이었다. 그는 나에게 돈과 취재 요령을 적은 메모지를 주며 그곳을 취재해 보라고 권하였었다. 이렇게 해서 나는 첫번째 매잡이라는 소설을 쓰게 된다. 이 작품에는 이렇게 첫번째 매잡이라는 소설을 쓰게 된 경위와 내용을 소개한다. 따라서 이 작품은 두번째 매잡이가 된다.( 사실 이는 허구이며 작자- 이청준-는 첫번째 매잡이라는 소설도 쓰지 않았다. 이것은 작가의 작품 창작과정을 작품 속에 수용하는 모더니즘적 기법이다.)

 

나는 민태준이 준 소설의 소재가 적인 메모지를 들고 민태준이 매잡이에 대하여 취재한 마을을 찾아 벙어리인 중식이라는 소년을 찾아 간다. 중식은 쉰 살짜리 매잡이인 곽돌[郭石]과 같이 번개쇠라는 매로 꿩사냥을 하는 소년이다. 나는 중식과 함께 매잡이를 나서지만 허탕치고 만다. 여기에 첫번째 매잡이 소설에 대한 내부 이야기가 소개된다.

 

매잡이 곽 서방은 매잡이라는 옛 관습을 지키는 최후의 사람이다. 중식이가 한 사흘을 굶긴 매를 들고 산골짜기에 가면 곽 서방이 꿩을 몬다. 그러나 이제는 꿩도 없어 매잡이가 되지 않고, 하지도 않는다. 마지막 매잡이에서는 매는 꿩을 배불리 먹고 다른 데로 날아간다. 날아간 매는 시장에서 매값과 바꾸게 되어 있다. 겨우 서영감에게서 매값을 구한 곽돌은 매를 가지고 나온 친구에게 매값을 주었으나 받지 않고 가 버린다. 곽돌은 매값으로 술을 마시고 매를 가지고 와 중식이네 닭을 먹인 후 날려 보낸다. 곽돌은 그 뒤에 밥 한 숟가락 입에 넣지 않고 죽는다.

 

한편 날아간 매는 다시 중식의 손에 돌아 오고 나는 취재 여행에서 돌아 온다. 얼마 지나 세 번째의 유언에 따라 봉투를 뜯어 본 나는 깜짝 놀란다. 그것은 완벽한 매잡이소설이었다. 이렇게 해서 매잡이란 세 편의 소설이 나오게 되는 것이다. 의문의 소설가인 민형은 완벽한 매잡이소설을 작성해 놓았던 것이다. 이제사 나는 민형의 취재 노트에서 왜 석 장이 찢겨졌는지 이해하게 된다.

 

이번에 또 소설을 쓰게 된 나의 관심은 아무래도 민형과 그의 소설에 대한 쪽이며, 곽서방과 소년을 포함한 매잡이의 풍속 자체의 것은 아니었다. 그리고 그것은 민형에게서처럼 나에게 절실한 나의 풍속이 될 수는 없었다. 나 자신이 이미 그렇게 될 수가 없게 되어 있는 것이다.

 

 

해설

세상은 쉬지 않고 변한다. 시류에 따라 변한다. 가장 소중했던 옛것은 버리고, 눈앞의 일에만 열중한다. 그러기에 옛것을 지키려는 노력은 비현실적인 꿈이 되고 만다. 이 작품은 매잡이 사냥을 하던 곽 서방이 시류(時流)에 영합하지 않고 그것을 그대로 지키려는 처절한 삶의 모습을 산꼴짜기를 배경으로 그려내고 있다. 작중 화자인 가 친구 민태준의 수기를 서두에 내놓고 매잡이 곽 서방을 찾아가 그의 삶의 자세를 그려낸 1 인칭 시점의 액자 소설이다.

 

이 소설은 창작 과정을 소설로 수용하는 모더니즘적 기법을 쓰고 있다. 이것은 작자가 창작에 이끌려가는 과정에 독자를 동반시킴으로써 독자의 공감의 폭을 넓히려는 것이다. 이런 소설 형태를 짜는 고도의 지적 조작은, 그이 특유한 문체의 불분명함과 함께, 진실한 인간의 삶을 억압하고 강제하는 형체없는 사회적 폭력에 대항하는 일종의 암유이다.

 

> 매잡이란 무엇인가 ? 작품 속에 나타나 있는 대로 살피면 - 매를 잡는 사내. - 사전에는 없음. (현지에서는 <매를 부리는 사내를 매잡이>라고 함. ) 매잡이의 <잡이>잡는 이라는 뜻이기 보다는 민형이 참고로 보인 것처럼 잡는 것. <손잡이><잡이>에 가까운 듯. 매잡이 사내는 언제나 매를 팔뚝에 올려 앉히고 다녔다.

 

 

(주제) 사라져 가는 옛것을 지키려는 장인 정신과 그것의 현대적 의미

(시점) 내부 이야기: 작가 관찰자 시점

외부 이야기: 1인칭 주인공 시점

(갈래) 중편 소설, 액자 소설.

 

참고

이청준(1984),󰡔매잡이󰡕,오늘의 작가총서,민음사.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