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마귀 / 요점정리 / 이태준
by 송화은율작자소개
이태준(李泰俊: 1904- ? )
강원도 철원 출생. 호는 상허(尙虛). 동경 상지대학 예과 중퇴. 1925년 <시대일보>에 <오몽녀(五夢女)>로 등단. 이화여전 강사, <조선 중앙일보> 학예부장 역임. <구인회(九人會)> 동인. <문장>지 주관. 해방 후 <조선 문학가 동맹 중앙 집행 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좌익 문학 운동을 하다가 1946년 월북함. 그는 탁월한 미학적 문체로 예술적 정취가 짙은 단편을 남겼다. 그는 이러한 서정적 작품 속에서도 시대 정신을 추구한 작가로 평가되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까마귀>, <달밤>, <사냥>, <제2의 운명>, <불멸의 함성> 등이 있다.
요점정리
갈래 : 단편소설
배경 : 시간 - 늦가을에서 겨울까지
공간 - 고풍스럽고 음습한 별장
시점 : 3인칭 전지적 시점
성격 : 유미주의
제재 : 폐병 환자와 까마귀. (또는, 고독과 죽음)
주제 : 아무도 대신해 줄 수 없는 인간의 근원적인 고독과 죽음의 문제
인물 : 그 - 독자에게 별로 인기가 없는 작가. 폐병에 걸린 한 여인에게
희망을 불어넣어 주기 위해 노력한다.
여인 - 폐병 환자로 요양차 시골에 와 있다가 '그'를 만나게 된다.
정자 지기 - 별장 관리인.
구성 : 발단 - 작가인 '그'는 겨울을 나기 위해 친구의 별장을 찾는다.
전개 - 별장 부근에서 한 여인을 만나고 그녀와 가깝게 사귄다.
절정 - 까마귀를 병적으로 싫어하는 그녀에게 용기를 주기 위해
실제로 까마귀를 잡아 그 내장을 확 인시켜 줄 계획을 세운다.
결말 - 그녀에게 까마귀의 내장을 보여 주기 전에 그녀는 죽고 만다.
이해와 감상
1936년 <조광(朝光)>에 발표된 단편 소설. 1930년대 우리 사회의 일각에 만영되었던 일종의 '사(死)의 찬미'에 해당하는 작품으로, 음울한 분위기를 통해 모든 것을 아름답게만 바라보는 작가의 시각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줄거리나 인물의 형상화보다는 소설에서 분위기가 어떻게 주제 표출에 기여하는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작품은 음습한 별장, 반복되는 까마귀의 울음 소리, 폐병 환자의 죽음으로 이어지는 어둡고 침침한 분위기의 묘사를 통해 주인공인 '그'와 '그'의 문명(文名)을 사모하는 어떤 여인과의 만남을 그리면서, 인간의 죽음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태준의 다른 작품과 마찬가지로 현실에서 소외된 인물들이 등장하며, 이에 따라 작품의 주조(主調)가 어둡게 채색되어 있다. 작가는 죽어 가는 인물을 연민의 시선으로 그려 나가면서 서정적인 정서가 투사된 서술 태도를 드러낸다. 그러나 이러한 서술 태도를 단순히 감상주의로 규정할 수는 없다. 작가의 감정이 절제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작품에서 돋보이는 것은 감각적 묘사이다. 고색 창연한 별장의 시각적 묘사와 까마귀 울음 소리의 청각적 묘사를 통해 작품의 분위기를 이끌어 나가고 있다. 특히, 까마귀의 울음 소리는 작품의 정조를 우울하게 만드는 역할뿐만 아니라 젊은 여인의 죽음이라는 극적 사건을 예감케 한다.
다른 한편으로, 이 작품은 작가가 아름다움이 무엇인지 시도해 보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그'의 가난, 여인의 병, 정혼자에 대한 그녀의 사랑, 그리고 여인에 대한 '그'의 감정 모두를 아름다운 것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이것은 작가가 삶의 비극성을 역설적으로 미화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소멸의 미학, 죽음의 미학이라 불릴 만하다.
일반적으로, 소설에서는 서사성과 인물의 형상화가 중심이지만, 이 작품에서는 분위기가 그것을 압도하고 있다.
줄거리
괴팍한 문체로 독자에게 별 인기를 못 얻고 있는 작가인 '그'는 생활의 여유가 없다. 그는 궁여지책(窮餘之策)으로 한적한 시골에 있는 친구의 별장을 빌려 겨울을 나기로 한다. 그 별장 주위의 나무에는 많은 까마귀가 날아와 둥지를 틀고 있다.
어느 날, 별장 정원을 산책하던 중, 폐병 요양 차 이곳에 온 한 여인과 만난다. 몇 번의 만남이 이루어지면서 그는 이 여인에게 호감을 갖게 되고 그녀가 삶에 대한 미련이 없이 자포자기한 인물임을 알게 된다.
특히, 그녀는 거의 병적으로 까마귀의 울을 소리를 싫어하며, 까마귀가 마치 자신의 죽음을 재촉하는 것처럼 생각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녀는 까마귀의 뱃속에, '아마 별별 구신 딱지가 다 든 것'처럼 무서워 하고, '무슨 부적이 들구, 칼이 들구, 시퍼런 불이 들어 있는 것'처럼 생각한다.
'그'는 이 여인에게 삶의 희망을 불어넣어 주기 위해 그녀의 애인이 될 것과 까마귀에 대한 그녀의 공포를 덜어 주기 위해 까마귀를 잡아 그 배 속에 든 것(내장)을 직접 확인시켜 줄 계획을 세우고는 실제로 까마귀를 잡아 매달아 놓는다.
그러나 그녀는 며칠이 지나도록 나타나지 않고, 얼마 후 그녀의 상여가 나간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