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 김소월
by 송화은율길 / 김소월
어제도 하로밤나그네 집에가마귀 가왁가왁 울며 새였소.
오늘은또 몇 십 리어디로 갈까.
산으로 올라갈까
들로 갈까
오라는 곳이 없어 나는 못 가오.
말 마소, 내 집도정주(定州) 곽산(郭山)차(車) 가고 배 가는 곳이라오.
여보소, 공중에저 기러기공중엔 길 있어서 잘 가는가?
여보소, 공중에저 기러기열 십자(十字) 복판에 내가 섰소.
갈래갈래 갈린 길길이라도내게 바이 갈 길은 하나 없소.
요점 정리
지은이 : 김소월성격 : 애수적, 독백적, 상징적, 향토적, 민요적운율 : 7·5조 3음보의 리듬과 종결 어미를 이용해 운율적 효과를 드러냄.
어조 : 자문자답의 형식의 하소연하는 어조. 영탄조의 독백체 '하오'체의 사용
제재 : 방향을 상실한 나그네
주제 : 나그네(떠돌이)의 비애(悲哀)
표현 :
①유랑하는 나그네의 심정을 신세 타령의 영탄조에 실어 표현하고 있다.
②대화체의 형식을 가미한 독백체로서, 시적 자아의 내면적 정감을 잘 토로하고 있다.
③길, 기러기, 열십자 등의 상징적 심상어를 구사하여 이 시의 의미를 다면적으로 해석 할 수 있도록 했다.
④의인법을 통하여 감정 이입의 기법을 구사했고 소박하고 일상적인 언어를 통해 화자의 쓸쓸한 정서를 드러냄.
출전-<진달래꽃>(1925)
내용 연구
어제도[반복의 의미] 하로밤[끝없는 나그네의 유랑길 중의 어느 하루 밤(떠돌이 생활이 하루 이틀이 아님을 암시함)]
나그네 집에[화자의 처지 / 일제 강점기에 고향을 상실한 우리 민족]
가마귀[불길한 새, 답답한 분위기를 더해 주는 소재, 어두운 이미지. 시적 자아의 분신 불안 의식의 표상 / 화자의 불안하고 암담한 심리 반영] 가왁가왁 울며[나그네의 비애] 새었소. (불안한 분위기 조성 / 화자의 처지 형상화) - 나그네의 현실적 상황 제시
오늘은
또(유랑의 반복) 몇 십 리(十里)[끝없는 나그네의 여정]
어디로 갈까.(방향 상실감. 지향할 곳 없는 나그네의 비애를 나타냄 / 자문) - 떠돌이의 고달픈 신세
산(山)으로 올라갈까
들로 갈까[뚜렷한 갈 곳이 없음 / 나그네의 방향 상실감]
오라는 곳이 없어 나는 못 가오[나그네의 신세 - 암담하고 서글픈 심정(현실 인식) / 자답]. -
갈 곳 없는 화자의 처지
말 마소,[처량한 심정] 내 집도
정주 곽산(定州郭山)[지금은 갈 수 없는 마음의 고향]
차(車) 가고 배 가는 곳이라오. [서글픈 고향 자랑 / 갈 수 있지만 가지 못하는 신세 토로 / 기러기와 같음. 시적 자아와 대조적 존재] - 자기 연민과 위안
여보소, 공중에[자유로운 공간]
저 기러기(공중의 기러기에게 말을 건넴, 부러움의 대상. 고향과 나를 연결시켜주는 매체)
공중엔 길 있어서 잘 가는가? [길이 없어 보이는데도 어찌 그리 잘 가는 가라는 의미로 기러기에 대한 부러움이 담겨 있고, 자기 자신의 처지에 대한 탄식]- 방향 상실의 비애
여보소, 공중에
저 기러기[선망의 대상, 희망과 의욕의 공간 / 화자와 상반된 처지 - 가마귀(화자의 불안한 심리 반영)]
열십자(十字)[화자가 서 있는 공간 / 방황하는 공간 / 열십자는 선택의 기로를 상징. ] 복판에 내가 섰소[운명의 기로. 방황하는 모습]. - 방향 상실의 비애
갈래갈래 갈린 길[동일한 음운 배열을 통해 리듬 형성, 'ㄱ'음의 반복. 나그네의 정신적 방황의 심화]
길이라도
내게 바이(전혀) 갈 길은 하나 없소.[목적지를 상실한 나그네의 모습 / 암담하고 우울한 심정과 절망감] - 화자의 비극적 현실
이해와 감상
이 시는 목적지를 상실한 나그네의 비애를 소월 특유의 전통적 리듬과 소박하고 일상적 언어, 자문 자답 형식의 대화체를 빌어 표현한 시로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는 나그네의 서글픈 정한은 현실의 삶에서 낙오된 소월 자신의 근원적 애수를 표현한 것일 수도 있고,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결부시킨다면 일제의 식민지 수탈 정책에 의해 삶의 터전을 상실하고 유랑의 삶을 살아야 했던 우리 민족의 비애를 대변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