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김소월
by 송화은율길
- 김소월
어제도 하로밤
나그네 집에
가마귀*가왁가왁 울며 새였소.
오늘은
또 몇 십 리
어디로 갈까.
산으로 올라갈까
들로 갈까
오라는 곳이 없어 나는 못 가오.
말 마소, 내 집도
정주(定州) 곽산(郭山)
차(車) 가고 배 가는 곳이라오.
여보소, 공중에
저 기러기
공중엔 길 있어서 잘 가는가?
여보소, 공중에
저 기러기
열 십자(十字) 복판*에 내가 섰소.
갈래갈래 갈린 길
길이라도
㉠내게 바이* 갈 길은 하나 없소.
(문명, 창간호, 1925.12)
* 가마귀 : 불길한 새. 답답한 분위기를 더해 주는 소재
* 열십자 복판 : ‘ 명의 기로’를 상징
* 바이 : 전혀
<핵심 정리>
▶ 감상의 초점
이 시는 목적지를 상실한 나그네의 비애를 소월 특유의 전통적 리듬과 소박하고 일상적 언어, 자문자답 형식의 대화체를 빌어 표현한 시다.
정처 없이 떠돌아 다니는 나그네의 서글픈 정한은 현실의 삶에서 낙오된 소월 자신의 근원적 애수를 표현한 것일 수도 있고,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결부시킨다면 일제의 식민지 수탈 정책에 의해 삶의 터전을 상실하고 유랑의 삶을 살아야 했던 우리 민족의 비애를 대변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 성격 : 전통적, 애수적, 민요적
▶ 운율 : 3음보의 율격의 정형성
▶ 어조 : 하소연하는 어조
▶ 문체 : 소박하고 일상적인 구어체
▶ 구성 : ① 현실적 상황(제1연)
② 떠돌이의 고달픈 신세와 방향 상실감(제2,3연)
③ 자기 위안과 연민(제4연)
④ 방향 상실의 비애(제5,6연)
⑤ 유랑인의 비애(제7연)―현실적 상황
▶ 제재 : 길
▶ 주제 : 유랑인(떠돌이)의 비애
<연구 문제>
1. 이 시의 제재인 ‘길’이 상징하는 의미를 두 어절로 쓰라.
☞ 유랑의 길. (삶의 행로, 삶의 여정)
2. 시의 리듬은 동일 음운의 일정한 배열을 통해서 드러나기도 한다. 어두 운(語頭韻)의 운율적 효과를 드러낸 시구 둘을 찾아 쓰라.
☞ 가마귀 가왁가왁, 갈래갈래 갈린 길
3. 이 시에는 나그네의 정서를 드러내는 소재로 ‘가마귀’와 ‘기러기’가 제시되어 있다. 두 소재를 통하여 드러나는 화자의 정서의 차이를 간단히 쓰라.
☞ 가마귀는 화자의 불안 심리를 반영하며, 기러기는 선망의 대상이다.
4. ㉠에서 드러나는 화자의 심정을 10자 내외로 쓰라.
☞ 안타깝고 절망적인 심정. (수탈당한 민중의 절망감)
5. 이 시에서 의미가 이원적 대립을 이루는 것은 무엇인지 두 어절로 쓰라.
☞ 방황과 정착
<감상의 길잡이>
이 시는 기질적으로 유랑인의 생리를 타고난 소월의 삶의 투영이며, 개인의 정한을 표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소월은 실제로 삶의 터전을 찾아 여러 곳을 옮겨 다니며 살았다. 정처 없이 떠도는 나그네의 영혼의 고향을 그리워하며 떠돌고 있다. ‘오늘은 / 또 몇 십 리 / 어디로 갈까’, ‘오라는 곳이 없어 나는 못 가오’, ‘내게 바이 갈 길은 하나도 없소’ 등의 독백 속에 고향을 상실하고 유랑하는 나그네의 서글픈 심정이 표백되어 있다.
나그네가 가는 길은 끝이 없는 여정으로서 뚜렷한 목적지가 없이 가야 하는 길이고, 당시의 현실을 고려한다면 떠돌아다닐 수밖에 없는 실향미의 비애를 대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길’은 우리가 평소 걸어 다니는 시골의 오솔길이나 도회지의 보도일 수도 있고, 눈에 보이지 않으나 비유적으로 쓰이는 인생길이나 운명의 갈림길일 수도 있으며, 혹은 인간의 도리나 종교적 진리를 가리키는, 추상적이고도 관념적인 길일 수도 있다. 이 시에서의 ‘길’은 그 자체가 하나의 상징으로 ‘유랑민의 삶의 행로’를 표상한다.
특히, 이 시가 우리에게 공감을 주는 까닭은 우리의 인생이 지상의 현실 속에서 피안의 세계를 갈구하며 살아가는 역려 과객(逆旅過客)으로 존재하는 데 있지 않은가 한다.
기러기(선망의 대상) 공중(희망의 공간)
↕ ↕
나(목적지가 없음) 열십자 복판(운명의 기로)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