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기초 국어8 - 시의 표현 기법2

by 송화은율
반응형

시의 표현 기법엔 어떤 것들이 있는가?

 

1) 상황의 가정이란 무엇인가?

시적 자아의 절실한 심정을 강조하여 표현하기 위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을 가정하여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무쇠로 한쇼를 디어다가

무쇠로 한쇼를 디어다가

철슈산(鐵樹山)에 노호이다

그 쇼철초(鐵草)를 머거아

그 쇼철초(鐵草)를 머거아

유덕신 님 여히와지<고려가요, 정석가>

 

불가능한 상황을 가정해 놓고 화자가 임과 이별할 수 없음을 강조하고 있다.

 

생활 속에서 이와 유사한 예를 찾아 보자

돼지 뿔 나면 갚을께” (무엇을 빼앗아 가면서 안 갚겠다는 뜻으로 하는 말)

너 거짓말 자꾸 하면 죽어서 무덤에 소나무 나” (죽은 뒤에 안 좋은 일이 생긴다는 상황으로 거짓말 잘 하는 사람을 경계하는 말)

 

2) 주관적 변용이란 무엇인가?

시적 대상이 추상적 관념 또는 무정물(無情物)일 때, 상상을 통해 그것을 구체적인 사물이나 유정물(有情物)로 변용하여 표현하는 방법. 현실적으로는 표현되거나 받아들이기 어려운 내용을 언어로 표현한 것이어서 가진술이고도 한다.

 

동지(冬至)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 내여

춘풍 니불 아래 서리서리 너헛다가

어론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황진이의 시조>

 

추상적 대상인 시간을 마치 물건인 듯 싹둑 베어 이불 아래 두었다가 임이 오신 날 밤에 다시 내놓겠다는 것은 시적 화자의 기발한 상상에 의한 변용인 것이다.

 

우리가 쓰는 말 중에서 이와 유사한 표현을 더 찾아보자

 

 

3) 모티프(motif)의 채용이란 무엇인가?

모티프란 문학이나 예술 작품의 창작에 있어서 어떤 표현의 동기, 또는 동기가 되는 설화나 제재를 말한다.

우리 나라 문학에서는 망부석 설화, 귀촉도 설화, 속죄양, 무릉도원 등이 작품의 모티프로 많이 등장한다.

 

선 채로 이 자리에 돌이 되어도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김소월, 초혼>

 

임을 기다리다가 선 채로 돌이 되었다는 박제상의 처 - 망부석 설화가 표현의 배경이 되었다.

 

향단아, 그넷줄을 밀어라.

머언 바다로

배를 내어 밀 듯이,

향단아. <서정주, 추천사>

 

춘향이가 향단이를 데리고 그네를 타던 소설 속의 이야기를 배경으로 하여 화자의 현실 초월에의 소망을 표현하고 있다.

 

우리 문학에서 모티프가 채용된 이야기나 표현을 더 찾아 보자

 

 

4) 주객전도(主客顚倒)란 무엇인가?

시에서 말하는 주체와 그 대상이 되는 객체 간의 주술 관계가 서로 뒤바뀌어 표현된 경우가 있다.

이는 단순한 표현에 멋을 부려 낯설게 함으로써 독자에게 신선한 느낌을 주기 위한 것이다.

 

비로소 나는 탕에 들어앉아

그것들이 나를 향해

손을 흔들며

기쁘게 다가오고 있는 것 같음을

부우연 노을 속 한 경치로써

조금씩 확인할 따름이다. <박재삼, 겨울 나무를 보며>

 

화자가 겨울 나무를 편안하고 기쁜 마음으로 바라보고 있는 상황인데, 주객을 바꿔 나무가 나를 향해 다가오고 있는 것으로 진술했다.

 

새까만 밤이 밀려 나가고 밀려와 부딪히고,

물먹은 별이, 반짝, 보석처럼 박힌다. <정지용, 유리창>

 

물먹은 별눈물 머금은 별’, 슬퍼하는 아이의 모습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 시의 상황은 아이가 아니라 내가 슬퍼하는 것이다. 곧 내가 슬퍼하는 모습을 아이가 슬퍼하는 것으로 주객을 바꿔 표현했다.


[연습 문제]

 

다음 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접동

접동

아우래비 접동

 

진두강 가람 가에 살던 누나는

진두강 앞 마을에

와서 웁니다.

 

옛날, 우리 나라

먼 뒤쪽의

진두강 가람 가에 살던 누나는

의붓어미 시샘에 죽었습니다.

 

누나라고 불러 보랴

오오 불설워

시샘에 몸이 죽은 우리 누나는

죽어서 접동새가 되었습니다.

 

아홉이나 남아 되던 오랩동생을

죽어서도 못 잊어 차마 못 잊어

야삼경(夜三更) 남 다 자는 밤이 깊이면

이 산 저 산 옮아가며 슬피 웁니다. <김소월, 접동새>


1. 이 시에 채용된 모티프는 무엇인가?

망부석 설화 귀촉도 설화 속죄양 설화 무릉도원 윤회사상

 

2. 이 시의 리듬을 이루고 있는 요소를 모두 찾으면?

3음보 75단어의 반복 통사구조의 반복 의성어


[과제학습지]

 

다음 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그 날이 오면, 그 날이 오면은

삼각산이 일어나 더덩실 춤이라도 추고,

한강물이 뒤집혀 용솟음칠 그날이

이 목숨이 끊기기 전에 와 주기만 할 양이면

나는 밤하늘에 나는 까마귀와 같이

종로의 인경을 머리로 들이받아 울리오리다.

두개골은 깨어져 산산조각이 나도

기뻐서 죽사오매 오히려 무슨 한이 남으오리까.

 

그 날이 와서, 오오 그 날이 와서

육조(六曹) 앞 넓은 길을 울며 뛰며 뒹굴어도

그래도 넘치는 기쁨에 가슴이 미어질 듯하거든

드는 칼로 이 몸의 가족이라도 벗기어

커다란 북을 만들어 들쳐 메고는

여러분의 행렬(行列)에 앞장을 서오리다.

우렁찬 그 소리를 한 번이라도 듣기만 하면

그 자리에 거꾸러져도 눈을 감겠소이다. <심훈, 그 날이 오면>


1. 에 쓰인 표현법은?

감정이입 주관적 변용 상황의 가정 모티프의 채용 상징

 

2. 에 쓰인 표현법은?

주관적 변용 감정이입 모티프의 채용 상황의 가정 상징

 

3. 이렇게 불가능한 상황을 설정하면서까지 표현한 이유는 무엇인가?

화자의 심정이 절실함을 강조하기 위해

표현의 멋을 부리기 위해

독자의 생각을 혼미하게 하기 위해

어차피 불가능한 상황이므로

파격적 표현으로 독자의 관심을 얻으려고

 


[학습 문제]

1. 2.,,

 

[과제학습지]

1. 2. 3.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