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금 따는 콩밭 / 줄거리 / 김유정

by 송화은율
반응형

금 따는 콩밭 줄거리

 

 

 

김유정의 금따는 콩밭- 1935<개벽> 3월호에 발표

김유정(金裕貞) 19081937. 강원도 춘천에서 출생. 1933년 이효석이무영등과 순수 문예 운동 표방하는 <구인회> 조직. 그 후 단편 소설을 계속 발표하여 중견작가의 위치 확립. 어려서 부모를 잃은 데다가 폐결핵을 앓아 그의 작품에는 우울과 애수가 깃들어 있으며, 농촌과 도시의 가난한 서민층의 생활에 파고들어 토속적인 인간상을 잘 묘사했다. 토속적인 어휘의 구사와 표현, 어리석고 무지한 인물의 설정, 전통적인 유머의 형상화 등이 그의 소설의 특징이다.

<소낙비>, <노다지>, <만두방>, <봄봄>, <동백꽃>, <땡볕> 등의 작품이 있다.

 

<줄거리>

농촌에서 소작을 하며 생활을 영위하던 영식이라는 인물이 어느 날부터 농사일을 물리치고 밭을 파헤쳐 금을 찾고자 하는 꿈의 실현을 위해 애쓰는 과정을 그린 소설

 

<작품 해설>

자신의 생활 체험을 소재로 해서 쓰여진 작품이다. 김유정은 꿈을 찾아 헤매는 많은 사람들을 보았고, 그들의 삶에서 횡재를 노리며 살아가는 인간상을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 작품은 소낙비와 마찬가지로, 작가의 감정이 투사(投射)된 음침한 배경과 자연 묘사가 나타남으로써 작품 속 사건의 결말이 결코 해피엔딩으로 끝나지 못할 것임을 암시하고 있다. 농사를 짓고 살던 농사꾼 영식이 농사를 포기하고 밭에서 금을 따겠다고 결심하는 것 자체가 이미 상식적인 판단을 벗어난 발상법의 결과이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성실히 일하던 영식이 왜 갑자기 그런 일에 마음을 두게 되었는가 하는 점이다. ‘영식은 매우 성실한 농사꾼이었음에도 비료값 품삯조차 갚을 길 없는 곤궁으로 빠지게 된다. 그 결과 그들은 콩밭을 파헤쳐 금을 뒤지는 웃지 못할 장면을 연출해 내는 것이다. 결국 작가의 의도는 성실하게 살고자 했던 그들의 삶을 이렇게 희화적으로 만들 수밖에 없었던 당시 농촌 사회의 열악한 경제상과, 그 구조적 모순을 바로 보아야 하는 것이다. 또 이 작품 속에서 우리는, 미래가 불투명한 식민지적 폐쇄 사회에 있어서 한 인간이 미래에 대한 확신과 희망을 갖고 자신에게 맡겨진 일만을 묵묵히 고수한다는 것 자체가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를 깨닫게 된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