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김영랑(金永郞, 1903-1950, 본성명 김윤식·允植) · 시인. 전남 강진 생. 지주의 아들로 태어남. 강진 공립 보통학교 졸 · 서울 휘문고보 졸. 3·1운동 때 6개월간 복역 · 출옥 후 동경 청산학원 영문과 수학. 1923년 관동대지진 때 귀국 · 22세(1925)에 결혼 · 27세(1930) 정지용, 정인보와 함께 [시문학] 동인지 발간 - 예술적 최고의 미(美)인 ‘순수미’를 추구(‘북의 소월, 남의 영랑’이란 칭호) · 1945년 강진에서 우익운동 주도, 강진대동청년단장으로 활동 · 1948년 가족과 함께 서울 신당동으로 이사, 공보처 출판국장 역임 · 작품 경향 (1) 시의 음악성 강조, 유미주의적(唯美主義的). (2) 짧은 형식의 시행 채택. 섬세한 정서의 흐름. (3) 영랑의 시는 ‘..
독을 차고 / 김영랑 내 가슴에 독(毒)을 찬 지 오래로다 아직 아무도 해(害)한 일 없는 새로 뽑은 독(毒) 벗은 그 무서운 독(毒) 그만 흩어버리라 한다 나는 그 독(毒)이 벗도 선뜻 해(害)할지 모른다고 위협하고. 독(毒) 안 차고 살아도 머지않아 너 마주 가버리면 누억천만(屢億千萬) 세대(世代)가 그 뒤로 잠자코 흘러가고 나중에 땅덩이 모지라져 모래알이 될 것임을 ‘허무(虛無)한듸! 독(毒)은 차서 무엇하느냐고? 아! 내 세상에 태어났음을 원망 않고 보낸 어느 하루가 있었던가, ‘허무(虛無)한듸! 허나 앞뒤로 덤비는 이리 승냥이 바야흐로 내 마음을 노리매 내 산 채 짐승의 밥이 되어 찢기우고 할퀴우라 내맡긴 신세임을 나는 독(毒)을 차고 선선히 가리라 막음 날 내 외로운 혼(魂) 건지기 위하여 *..
북 / 김영랑 자네 소리하게 내 북을 잡지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엇모리 잦아지다 휘몰아보아 이렇게 숨결이 꼭 맞어사만 이룬 일이란 인생에 흔치 않아 어려운 일 시원한 일 소리를 떠나서야 북은 오직 가죽일 뿐 헛 때리면 만갑(萬甲)이도 숨을 고쳐 쉴 밖에 장단을 친다는 말이 모자라오 연창(演唱)을 살리는 반주쯤은 지나고 북은 오히려 컨닥타 ― 요 떠받는 명고(名鼓)인디 잔가락을 온통 잊으오 떡 궁! 동중정(動中靜)이요 소란 속에 고요 있어 인생이 가을같이 익어 가오 자네 소리하게 내 북을 치지 요점 정리 지은이 : 김영랑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전통적, 체험적, 교훈적, 음악적, 낭만적, 감상적, 향토적 제재 : 북과 창의 조화 어조 : 원숙하고 관조적인 어조 주제 : 예술과 인생의 조화, 북..
모란이 피기까지는 / 김영랑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다리고 있을 테요.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나는 비로소 봄을 여읜 설움에 잠길 테요. 오월 어느 날, 그 하루 무덥던 날, 떨어져 누운 꽃잎마저 시들어 버리고는 천지에 모란은 자취도 없어지고, 뻗쳐 오르던 내 보람 서운케 무너졌느니,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 해는 다 가고 말아, 삼백 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내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기다리고 있을 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요점 정리 지은이 : 김영랑(金永郞)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순수시 성격 : 유미적(탐미적 : 아름다움을 추구하여 거기에 빠지거나 깊이 즐김), 낭만적(실현성이 적고 매우 정서적이며 이상적으로 사물을 파악하는 심리 상태. 또는 그런 ..
독을 차고 / 김영랑 내 가슴에 독(毒)을 찬 지 오래로다. 아직 아무도 해(害)한 일 없는 새로 뽑은 독 벗은 그 무서운 독 그만 흩어버리라 한다. 나는 그 독이 선뜻 벗도 해할지 모른다 위협하고, 독 안 차고 살어도 머지않아 너 나 마주 가버리면 억만 세대(億萬世代)가 그 뒤로 잠자코 흘러가고 나중에 땅덩이 모지라져 모래알이 될 것임을 ‘허무(虛無)한듸!’ 독은 차서 무엇하느냐고? 아! 내 세상에 태어났음을 원망 않고 보낸 어느 하루가 있었던가, ‘허무한듸!’ 허나 앞뒤로 덤비는 이리 승냥이 바야흐로 내 마음을 노리매 내 산 채 짐승의 밥이 되어 찢기우고 할퀴우라 내맡긴 신세임을 나는 독을 차고 선선히 가리라 막음 날 내 외로운 혼(魂) 건지기 위하여. 요점 정리 지은이 : 김영랑 시대 : 1930년..
내 마음을 아실 이 / 김영랑 내 마음을 아실 이 내 혼자ㅅ마음 날가치 아실 이 그래도 어데나 계실 것이면 내 마음에 때때로 어리우는 티끌과 속임 업는 눈물의 간곡한 방울방울 푸른 밤 고히 맺는 이슬 가튼 보람을 보밴 듯 감추엇다 내여 드리지. 아! 그립다. 내 혼자ㅅ마음 날가치 아실 이 꿈에나 아득히 보이는가 향 맑은 옥돌에 불이 달어 사랑은 타기도 하오련만 불빛에 연긴 듯 희미론 마음은, 사랑도 모르리 내 혼자ㅅ마음은. 원시 보기 (하윤옥선생님 제공) 요점 정리 지은이 : 김영랑(金永郞)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순수시 율격 : 내재율 성격 : 낭만적, 유미적, 서정적, 여성적 어조 : 여성적 호소의 어조 표현 : 비유와 상징, 가정과 자문자답(自問自答)하는 형태 구성 : 1연 임의 존재에 대한 가..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