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석보상절(釋譜詳節) 아득한 먼 옛날에 한 보살이 왕이 되어 계시다가, 그 나라를 아우에게 맡기시고, 도리를 배우러 나아가시어, 바라문교의 구담을 만나시어 자기의 옷을 벗도 구담의 옷을 입으시고 깊은 산에 들어가서 과실과 물을 잡수시고 참선을 하시다가, 나라에 빌어먹으러 오시니, 모두가 몰라보더니 소구담이라고 하더라. 보살이 성 밖에 있는 사탕수수밭에 정사를 만들고 혼자 앉아 있으시더니, 도둑 오백 명이 관청 재물을 훔쳐서 정사의 곁으로 지나가나, 그 도둑은 보살의 전세의 원수이더라, 이튿날 나라에서는 도둑의 자취를 밟아 그 보살을 잡아다가 나무에 몸을 꿰어 두었더니, 대구담이 신통력이 있는 눈으로 보고 허공으로부터 날아와서 묻자오되, "그대 자식이 없더니 무슨 죄인고?" 보살이 대답하되, "곧..
상대별곡(霜臺別曲) 1장 북한산의 남쪽, 한강의 북쪽, 옛날부터 이름난 경치 좋은 땅, 광교, 종로 건너 들어가 휘휘 늘어진 소나무, 우뚝 솟은 잣나무(사직의 원로 대신), 위엄 있는 사헌부 (위) 청렴한 모습 그것이 어떠합니까? (엽) 영웅 호걸 당대의 인재들 영웅 호걸 당대의 인재들 (위) 나를 위시하여 몇 사람입니까? 2장 닭이 이미 울고 날이 밝아 올 때, 잣나무가 호위하듯 길게 늘어선 길로, 대사헌, 노집의, 장령, 지평 등 사헌부 관리들이 아름다운 가마를 타고, 앞에서 길을 치우고 뒤에서 옹위하며, 잡인의 통행을 막으면서, 아, 사헌부로 등청하는 광경, 그것이 어떠합니까? 엄숙하도다. 사헌부의 관리들, 엄숙하도다, 사헌부의 관리들, 아, 허물어진 기강을 떨쳐 일으키는 광경이 그 ..
문덕곡(文德曲) 법궁(法弓)이 유엄심구증(有嚴深九重) 하시니 일일만기분기총(日日萬機粉其叢)하샷다 군왕(君王)이 요득민정통(要得民情通)하야 대개로달사총(大開路達四聰)하시다. 개언로군불견(開言路君不見)가 아으 아후지덕(我后之德)이 여순홍(與舜興)하샷다. (출처 : 동아대백과사전) 요점 정리 작가 : 정도전 형식 : 칠언한시에 토가 달린 4장 6행의 현토체, 개언로(開言路)·보공신(保功臣)·정경계(正經界)·정례악(定禮樂)의 4장 주제 : 태조의 문덕을 찬양 이해와 감상 1393년(태조 2) 정도전(鄭道傳)이 지은 송도가(頌禱歌). 칠언 한시에 토가 달린 4장 6행의 현토체이다. ≪태조실록≫ 권4 태조 2년 7월조와 ≪삼봉집 三峯集≫에 한시가 전하며, ≪악학궤범≫에는 현토(懸吐)된 가사가 전한다. 조선창..
감군은(感君恩) 사해 바다의 깊이는 닻줄로 잴 수 있겠지만 임금님의 은덕은 어떤 줄로 잴 수 있겠습니까? 끝없는 복을 누리시며 만수무강하십시오. 끝없는 복을 누리시며 만수무강하십시오. 밝은 달빛 아래에서 낚싯대를 드리우며 지내는 것도 역시 임금님의 은혜이시도다. 태산이 높다고 하지만 하늘의 해에 미치지 못하듯이 임금님의 높으신 은덕은 그 하늘과 같이 높으십니다. 밝은 달빛 아래에서 낚싯대를 드리우며 지내는 것도 역시 임금님의 은혜이시도다. 아무리 넓은 바다라고 할지라도 배를 타면 건널 수 있겠지만 임금님의 넓으신 은택은 한평생을 다한들 갚을 수 있겠습니까? 밝은 달빛 아래에서 낚싯대를 드리우며 지내는 것도 역시 임금님의 은혜이시도다. 일편단심뿐이라는 것을 하늘이시여 아소서. 백골이 ..
악장(樂章)문학 정의 조선 시대 궁중에서 종묘 제향(宗廟祭享)때 부르던 송축가(訟祝歌)로서, 조선 건국 및 문물 제도(文物制度)를 찬양하는 내용의 노래로,'악부(樂府)'라고도 한다. 조선 건국이 천명(天命)이었음을 들어 창업주(創業主)들의 공덕을 찬양하고, 임금의 만수무강(萬壽無疆)과 자손의 번창을 축원하며, 후대 임금을 권계(勸戒)하는 내용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조선 전기에 발생한 시가(詩歌) 형태로 ‘악부(樂府)’라고도 한다. 궁중의 제전(祭典)이나 연례(宴禮) 때 주악(奏樂)에 맞추어 부르던 가사(歌詞)이다. 건국의 성업(聖業)과 선대 임금의 위업 및 공덕을 기리고 금상(今上)의 만수 및 자손의 번성을 송축(頌祝)한 내용으로, 특히 조선의 창업을 칭송한 것이 대부분이다. 4구 2절의 형식..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