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경언해(孝經諺解)
by 송화은율효경언해(孝經諺解)
어버이를 사랑하는 이는 감히 사람에게 싫어함을 아니 받고, 어버이를 공경하는 이는 감히 사람에게서 업신여김을 받지 아니하나니, 사랑하며 공경하기를 어버이 섬김에 다하면(어버이 섬김과 같이 정성을 극진히 다하면), 어진 가르침이 백성에게 더하여 온 천하의 법도가 되나니, 천자의 효이니라.
아비 섬기기에 바탕을 삼가 어미를 섬기되, 사랑함이 한가지며, 아비 섬기기에 바탕을 삼아 임금을 섬기되 공경함이 한가지니, 고로 어미에게는 그 사랑함을 취하고 임금께는 그 공경함을 취하나니, (이것을) 겸한 사람은 아비다. 그러므로 효로써 임금을 섬기면 충성이고, 공경으로써 어른을 섬기면 공순함이니, 충성과 공순을 잃지 아니하며 그 위를 섬긴 연후에야 능히 그 벼슬과 녹을 안보하여 그 제사를 지키나니 사의 효이니라.
요점 정리
연대 : 선조 23년(1590)
종류 : 산문, 언해문
내용 : 효경을 번역한 것
주제 : 효가 유교적 행동 철학의 근본
의의 ; 16세기 말엽의 모습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가 된다.
내용 연구
이해와 감상
효경중 천자가 지켜야 할 효와 선비가 지켜야 할 효에 대해 설명한 부분으로 효경은 공자와 증자가 문답한 것을 기록한 것이라 하는데, 공자가 이르기를 "무릇 효는 덕의 근본이다. 모든 가르침이 여기에서 시작되는 것이니라"라고 하여 효가 유교적 행동 철학의 근본임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에 소개된 글은 천자가 지켜야 할 효는 사랑과 공경이고 선비가 지켜야 할 효는 충성과 공순임을 내세우고 이를 설명한 내용이다.
심화 자료
효경언해
조선 선조 때 홍문관에서 ≪효경대의 孝經大義≫를 언해한 책. 불분권(不分卷) 1책. 경진자본(庚辰字本). 간기는 없으나, 내사기(內賜記)에 의하여 1590년(선조 23) 간행으로 추정된다. 현재 가장 완전한 상태인 일본 동경의 손케이가쿠문고(尊經閣文庫) 소장본에 ‘宣賜之記’라는 주인(朱印)과 ‘萬曆十八年(1590) 九月日內賜云云’의 내사기가 있기 때문이다.
책 끝에 1589년 6월 유성룡(柳成龍)의 ‘효경대의 발(跋)’이 있는데, 그 내용은 ≪효경대의≫의 간행과 ≪효경언해≫의 경위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효경≫의 가르침이 오랫동안 돌보아지지 않음을 탄식한 선조의 명령에 따라 ≪효경대의≫와 함께 간행되었다고 한다. ≪효경대의≫는 원나라 동정(董鼎)이 주자의 ≪효경간오 孝經刊誤≫에 근거하여, 그 설을 정리, 개편하고 주석을 붙여 ≪효경≫의 대의를 풀이한 것이다.
언해는 ≪효경대의≫를 그대로 번역한 것은 아니다. 즉, 주자간오의 경(經) 1장과 전(傳) 14장의 본문만을 대상으로 하고 그 대의와 주석은 모두 생략하고 있다. 언해방식은 경과 전의 본문에 한글로 독음과 구결을 달고 이어 번역을 실었다. 그런데 그 번역도 동정의 대의에 전적으로 따르지는 않았다.
발문에서는 왕이 홍문관으로 하여금 언해하도록 하였다고 하나, 언해의 양식과 책의 판식, 경진자로 된 활자본인 점 등이 교정청(校正廳)의 사서언해와 꼭 같으므로, 이 책도 교정청의 언해사업의 일환이라 하겠다. 후대의 이본은 모두 이 원간본을 대본으로 하여 방점과 정서법 등만 약간 손질한 것들이다. 국내에 널리 유포된 후대의 이본으로써 원간본의 윤곽을 알 수 있다.
그런데 ≪효경언해≫는 중종 때 최세진(崔世珍)이 ≪소학언해≫와 함께 찬술하여 왕에게 바쳤다는 기록(中宗實錄 34年 5月 甲申條)이 있으나, 그 책은 전하지 않는다. 차자(借字)로 구결만 달린 ≪효경≫이 전하는데, 책의 판식과 지질·구결표기로 보아서 16세기초의 책이라 생각된다. 최세진의 ≪효경언해≫와의 관련여부는 분명하지 않다.
그리고 구결이 달린 그 책의 원전은 ≪효경언해≫의 원전인 ≪효경대의≫와 같지 않다. 분장 (分章)만 보아도 이 책은 마지막 장이 ‘상친장(喪親章) 18’로 되었으나 ≪효경대의≫는 경 1장과 전 14장으로 모두 15장이다.
〔의의〕 이 책은 교정청의 ≪사서언해≫·≪소학언해≫와 마찬가지로 방점과 ‘戇, 窮’이 나타난다. 그러나 ‘戇, 窮’은 매우 제약되어 쓰인다. ‘戇’은 한자 독음표기와 조사에만 쓰이며, ‘窮’은 받침으로만 쓰이고 초성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책은 중세어와 근대어의 교체기 자료로서 국어사연구에 도움이 된다.
또, ≪효경≫은 옛날부터 ≪천자문≫·≪동몽선습 童蒙先習≫ 등과 같이 초학자의 교재로 널리 사용되었기 때문에 이 책은 유학사와 교육사 연구에도 가치가 있다. 그 밖에 원간본이 경진자로 인출되어 활자연구에도 좋은 자료로 이용된다. 일본의 손케이가쿠문고에 원간본이 전하며 국내에 다수의 이본이 있다.
≪참고문헌≫ 孝經諺解(朝鮮學報, 日本 27, 1963, 영인본), 中世語의 한글資料에 대한 綜合的인 考察(安秉禧, 奎章閣 3, 1979), 庚辰字本孝經諺解と小學諺解(田川孝三, 朝鮮學報 27, 1963).(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