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집', '횟집' 중 옳은 표기
by 송화은율반응형
'회집', '횟집' 중 옳은 표기
분야 : | |
질문 : | '회집', '횟집' 어느 것이 맞습니까? |
답변 : | 사이시옷을 넣어야 하는지, 넣지 말아야 하는지 하는 것은 구체적인 예에 들어가면 대단히 어렵습니다. 어느 신문에서는 '수도물'로 쓰고 어느 신문에서는 '수돗물'로 쓰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사이시옷에 대해서는 한글 맞춤법 제30항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사이시옷을 써야 하는 경우를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두 음절로 된 6개 한자어'의 세 경우가 바로 그것입니다. 따라서 한자어와 한자어로 된 구성은 그것이 합성어라고 하더라도 이 제30항에 들어 있는 6개가 아니면 사이시옷을 쓸 수 없습니다. 순 우리말이 하나라도 들어 있는 구성은 앞의 두 경우를 보면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합성어이어야만 사이시옷을 쓸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조건을 갖추었다고 해서 다 사이시옷을 쓸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제30항은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으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고유어가 하나라도 들어 있는 구성은 뒷말이 된소리로 나거나 앞말과 뒷말 사이에 'ㄴ'이 덧나고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합성어이어야만 사이시옷을 쓸 수 있는 것입니다. 우리가 글을 쓸 때 사이시옷을 놓고 망설이게 되고 또 알 만한 사람에게 물어 보았을 때 어느 누구도 선뜻 시원스러운 대답을 못해 주는 것은 바로 여기에서의 '합성어'의 성격이 문제되기 때문입니다. 합성어는 통사적 구성, 다시 말하면 구가 아닌 하나로 굳어진 단어를 뜻합니다. 이론적으로 구와 단어를 구별하는 기준이 있기는 하지만 실제적으로 구와 단어를 명확하게 구별하는 일은 그렇게 쉽지 않습니다. 사이시옷과 관련해서 명사와 명사가 이어진 구성이 구인지 단어인지 구별하기는 더욱 힘이 듭니다. 그래서 여기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구와 단어를 구별할 수 있는 기준으로 이야기된 것 가운데 몇 가지를 들어 보기로 하겠습니다. (1) 앞의 명사가 뒤 명사와는 별도로 관형사, 관형형, 명사, 명사구의 수식을 받으면 구다. (2) 앞의 명사를 다른 명사로 바꾸는 데 제한이 없으면 구고, 상당히 제약되어 있으면 단어다. (3) 두 명사 사이에 다른 요소가 들어갈 수 있으면 구다. 질문하신 '횟집'의 경우는 이런 기준을 적용해 볼 때 구가 아닌 단어이고, 사이시옷을 써야 하는 다른 조건을 갖추고 있으므로 '횟집'으로 쓰는 것이 올바른 표기입니다. |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