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 접두사와 '햅-' 접두사
by 송화은율반응형
'햇-' 접두사와 '햅-' 접두사
분야 : | |
질문 : | '햇밤, 햇곡식, 햇병아리'의 '햇-'이란 접두사와 '햅쌀'에서의 '햅-'은 같은 성격의 접두사입니까? |
답변 : | 같은 성격의 접두사입니다. '햇병아리, 햇밤, 햇보리, 햇콩' 등에서의 '햇-'은 '그 해에 새로 난 것'을 뜻하는 접두사입니다. 그런데 이 '햇-'이 '쌀'과 결합할 때는 '햇쌀'이 아닌 '햅쌀'의 형태를 취합니다. '쌀(米), 싸리(荊), 씨(種), 때(時)' 등은 중세 국어에서 각각 ', , , '의 형태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단어 첫머리에 'ㅂ' 음을 가지고 있었던 이런 단어들은 독립된 형태로 쓰일 때에는 첫머리의 'ㅂ' 음이 숨어서 나타나지 않으나 다른 단어나 접두사와 만나는 경우에는 두 형태소 사이에서 'ㅂ' 음이 발음됩니다. 이런 구조의 합성어나 파생어에서는 뒤에 오는 단어가 주가 되는 것이므로, '햇-'과 '쌀'이 만날 때 '햇쌀'이 아니라 뒤의 '쌀'이 원래부터 가지고 있던 'ㅂ'의 영향을 받아 '햅쌀'이 되는 것입니다. 같은 이치로 '찰지지 않고 메진'을 뜻하는 접두사 '메-'의 경우도 다른 단어들은 '메조, 메떡, 메벼' 등으로 '메-'의 형태가 그대로 살아 있지만, '쌀'과 결합할 때는 숨어 있는 'ㅂ'이 되살아나 '멥쌀'의 모습을 취합니다. '찹쌀, 멥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다음의 단어들에서도 뒤에 오는 주된 단어를 고정시키고, 첨가되는 'ㅂ'을 앞 형태소의 받침으로 붙여서 적는 예를 볼 수 있습니다. 볍씨(벼+ㅂ씨) 댑싸리(대+ㅂ싸리) 입때(이+ㅂ때) 접때(저+ㅂ때) 냅뜨다(내+ㅂ뜨다) 부릅뜨다(부르+ㅂ뜨다) 칩떠보다(치+ㅂ떠보다) 휩싸다(휘+ㅂ싸다) 이와 유사한 예로 옛말에서 단어 뒤에 'ㅎ'이 붙어 있던 말('ㅎ'곡용어)이 다른 단어들을 만나 이루어지는 합성어나 파생어의 경우를 찾아 볼 수 있습니다. 옛말에서 'ㅎ'곡용어이던 단어는 '머리(頭), 살(肌), 수(雄), 암(雌), 안(內)' 등으로, 이들 단어는 합성어에서 'ㅎ' 음이 첨가되므로, 뒤에 오는 단어를 거센소리로 적어야 합니다. 살코기(살ㅎ+고기) 안팎(안ㅎ+밖) 단, '암-', '수-'와 결합하는 형태는 표준어 규정 제7항에 예시된 아래의 경우에만 뒷소리를 거센소리로 적는 것을 인정합니다. 수캉아지, 수캐, 수컷, 수키와, 수탉, 수탕나귀, 수톨쩌귀, 수퇘지, 수평아리 암캉아지, 암캐, 암컷, 암키와, 암탉, 암탕나귀, 암톨쩌귀, 암퇘지, 암평아리 |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