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여지향(何如之鄕)․일(壹) - 송 욱
by 송화은율하여지향(何如之鄕)․일(壹) - 송 욱
작가 : 송욱(1925-1980) 서울 출생. 일본 교오토대를 거쳐 서울대 문리대 영문과 졸업, 미국 시카고대 대학원에서 영문학을 연구. 영문학자, 문학박사. 「장미(薔薇)」(『문예』, 1950. 3), 「비오는 창(窓)」(『문예』, 1950. 4), 「꽃」(『문예』, 1953. 6) 등으로 서정주(徐廷柱)의 추천을 받아 문단에 등단. 서울대 교수 역임.
영미(英美) 주지주의(主知主義)의 영향을 크게 받은 실험적인 문제시(問題詩) 「하여지향(何如之鄕)」(『사상계』, 1956. 12, 1957. 7․『현대문학』, 1957. 7․『문학예술』, 1957. 8․『사상계』, 1958. 8․『현대문학』, 1958. 12․『신태양』, 1959. 1․『자유공론』, 1959. 1․『사상계』, 1959. 2)을 연속적으로 발표하여 문단에 큰 주목을 끌었다. 이 시들은 문명의 표정이라는 그의 시관(詩觀)이 잘 반영된 작품들로서 6․25사변 이후의 한국 현대의 사회 풍속, 정치적 혼란, 사상적 카오스, 이지러진 문명 등을 해학, 기지, 풍자의 수법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그 후의 「해인연가(海印戀歌) 4」(『사상계』, 1959) 등에도 계속되었으나 차차 산문적 요소는 자취를 감추기 시작했다.
제1시집 『하여지향(何如之鄕)』(一潮閣, 1961), 제2시집 『월정가(月精歌)』, 역저(譯著)에는 『시학평전(詩學評傳)』(一潮閣, 1963), 『문학평전(文學評傳)』(一潮閣, 1969) 등이 있고, 그 밖에 『나무는 즐겁다』(민음사, 1978), 『시신(詩神)의 주소(住所)』(1981) 등을 남겼다.
< 감상의 길잡이 >
이 시는 모두 12편으로 이루어진 연작시로서 영미 주지주의의 영향을 받고 쓴 실험적 작품이다. ‘시는 문명(文明)의 표정(表情)’이라는 송욱 자신의 시관(詩觀)이 잘 반영된 이 시는 북한의 남침으로 인한 6․25 이후의 한국 현대의 사회 풍속, 정치적 혼란, 사상적 카오스(Chaos), 이지러진 문명 등을 해학, 기지, 풍자, 야유의 수법으로 표현한 것이다. 송욱은 <장미>, <꽃>에서 관능과 감각을 균제한 형식 속에 응축시킨 바 있지만, 점차 풍자와 위트로 현실 비판적인 태도를 갖게 되었다. 그의 장시 <해인연가(海印戀歌)>는 불합리한 현실에 대한 자조와 역설로 이어지며, <하여지향>에서는 현실에 대한 불안과 그 극복의 의지를 역설과 기지의 언어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그의 강렬한 시 의식이 자기 혐오에 빠지거나 정서적 파탄에 이르고 있는 것도 피할 수 없는 현상이다. 그의 장시는 전체적인 시적 구성이나 균형을 거의 계산하고 있지 않으나, 지성에 근거한 시 정신의 치열성을 최대한으로 확대시키고 있음은 인정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 ‘하여지향(何如之鄕)’이란 말은 고시조의 <하여가(何如歌)>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리의 마을’로 풀이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그 마을은 ‘부조리(不條理)가 가득한 현실 세계’를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덩이’, ‘―처럼’ 등 동음(同音)의 나열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율격을 조성하고 있으며, 연쇄법과 특유의 재담(才談)에 의해 무거운 내용을 가볍게 전달하려는 시인의 의도가 나타나 보인다. 전반적으로 실험적 수법은 돋보이지만, 서정성의 결여와 지나칠 정도의 말장난으로 인해 언어적 유희로만 그치고 말았다. 가치관의 전도와 혼란으로 인한 무질서와 부조리의 현실 세계에는 오직 ‘배만 있는 남자들’과 ‘목이 없는 여자들’, 즉 주체성을 상실한 인간만이 존재할 뿐이다. 화자는 이처럼 타락해 버린 세계에서는 더 이상 ‘내가 길이 아니면 길이 없’음을 인식하고 절망하지만, ‘안개 같은 지평선’으로 제시된 불확실한 미래를 바라보면서도 ‘내일이 등극할’ 것이라며 낙관적인 전망을 펼쳐 보이고 있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