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초 한대- 윤동주

by 송화은율
반응형

한대

- 윤동주

 

 

 

초 한대

내 방에 품긴 향내를 맡는다.

 

광명의 제단이 무너지기 전

나는 깨끗한 제물을 보았다.

 

염소의 갈비뼈 같은 그의 몸

그의 생명인 심지

 

백옥 같은 눈물과 피를 흘려

불살려 버린다.

 

그리고 책상머리에 아롱거리며

선녀처럼 촛불은 춤을 춘다.

 

매를 본 꿩이 도망하듯이

암흑이 창구멍으로 도망한

나의 방에 품긴

제물의 위대한 향내를 맛보노라.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48)


<감상의 길잡이>

이 시는 윤동주가 용정의 은진 중학교에 다닐 때인 19341224, 그의 나이 17세에 쓴 처녀작으로 알려져 있는 작품이다. 습작기에 쓴 작품으로 다소 문학성이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나, 윤동주가 나아가게 될 문학 세계를 가늠하게 해 준다는 측면에서 대단히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 후기에 접어들수록 높은 문학성을 획득하게 되는 많은 윤동주의 작품들도 이 처녀작에서 보여 주고 있는 순결참회’, 그리고 자기 희생등을 좀더 의미있게 변용한 것에 지니지 않는다. 윤동주의 시에는 남달리 순결한 마음 혹은 고결한 정신을 추구하면서 고독한 가운데 자신을 성찰하는 시인의 모습이 짙게 배어 있다. 그리고 고독한 가운데서의 자기 성찰은 자신을 참회하는 삶의 태도로 나아간다.

 

먼저 이 시에서 형상화되고 있는 것은 스스로 자신의 육신을 불살라 어둠을 밝히는 촛불의 자기 희생 정신이다. 이러한 촛불의 정신이 바로 윤동주의 삶의 태도이자 인생관의 비유로, 그는 어둠을 홀로 밝히면서 스스로 육신을 불사르는 존재가 되고자 한다. 이렇듯 타인을 위해 자신을 죽이는 삶, 다시 말해 자신이 스스로 제물이 되는 이 속죄양으로서의 삶은 원형 상징의 하나인 예수 그리스도와 같은 고독한 삶이자, 고독 속에서 자신을 성찰한 삶이라 할 수 있다. 어두운 밤 홀로 빛을 발하면서 스스로 자신의 육신을 바치는 이 촛불의 자기 희생이야말로 처절한 고독 속에서의 자기 성찰이 되는 것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이와 같은 자기 성찰은 염소의 갈비뼈 같은 그의 몸 / 그의 생명인 심지라는 말로 나타나 있다. 제단에 제물로 바쳐진 염소의 갈비뼈같은 몸이라는 표현에서 속죄양의 이미지를 연상할 수 있다. 그가 쓴 최초의 시인 이 작품과 최후의 시인 <쉽게 씌어진 시>를 관류하는 이 자기 희생의 순절 정신이야말로 그가 동시대 많은 문학인들과 차별성을 갖게 하는 점인 것이다.

 

두 번째로 이 시에 나타나는 것은 어떤 이념에 대한 순결한 시인의 의지이다. ‘그의 생명인 심지’, ‘광명의 제단이 무너지기 전 / 나는 깨끗한 제물을 보았다.’, ‘선녀처럼 촛불은 춤을 춘다.’라는 시행이 바로 그것이다. 등심(燈心)심지는 동음이의어인 마음에 품은 의지라는 뜻의 심지(心志)’를 표상하며, ‘깨끗한 제물과 신을 섬기는 선녀로 비유된 촛불의 자기 희생은 곧 어떤 이념에 대한 순결한 의지를 암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시인의 깊은 참회의 자세이다. ‘그의 생명인 심지 / 백옥 같은 눈물과 피를 흘려 / 불살려 버린다.’와 같은 시행에서 보여 주는 삶의 태도가 그 단적인 예가 된다. 백옥같이 정갈한 눈물과 피를 쏟는 희생양의 모습은 바로 참회하는 인간으로서의 전형적 모습이 되기에 충분하다고 할 것이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