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소리 / 분석 / 문순태
by 송화은율징소리 / 문순태 ( 1978년 <창작과 비평> )
독 해 의 주 안 점 |
▸ 징소리의 상징성
▸ 칠복으로 대표되는 인간상의 전형성
▸ 작품에 투영된 시대 상황
등 장 인 물 |
칠복 외가에서 머슴을 살다가 순덕이와 결혼. 자갈논을 부치며 살아가다 장성댐이 건설되 어 마을이 수몰되자 보상도 못 받고 광주로 밀려 들어와 낯선 도시에서 적응하지 못하고 아내에게마저 버림 받는다.
순덕이 칠복의 아내 시골 생활을 견디지 못하여 남편과 어린 딸을 두고 달아난다.
봉구 칠복이의 어릴 때 친구. 칠복의 처지를 이해하고 도와 주는 편이나, 끝내는 칠복을 내쫒는데 합류한다.
줄 거 리 |
칠복은 장성댐이 건설되면서 농토를 잃어 버리고 아내마저 달아나자 어린 딸을 업고 무일푼으로 호수 가로 돌아온 이래. 징을 울려 낚시꾼들을 방해하다 매를 맞곤하는 위인이다. 마을 사람들은 호수에 잠겨 버린 방울재를 떠나 낚시꾼과 관광객들을 상대로 매운탕을 만들어 팔며 생계를 이어 가는 처지인데, 칠복이가 장사를 방해하니 그를 동정하면서도 쫓아낼 궁리만 한다.
원래 칠복이는 조실부모하고 외가에서 눈치밥 얻어먹으며 머슴처럼 장성했는데 색시로 맞았다는 것이 도시물 먹은 순덕이었다. 순덕이는 결혼한 지 한 달도 못되어 도시로 나가 살자고 성화였다.
칠복이 내외는 광주시 산꼭대기 사글세 방으로 밀려 들어가 도시 생활을 한다. 순덕이는 며칠만에 식당 주방에 취업하고, 농사일 외엔 아무것도 모르는 칠복은 면목없이 아내의 수입으로 먹고 살다가 광주시 인근 장성읍에 나가 농사품을 팔며 20 만원을 벌어 집으로 돌아온다. 일부러 아내를 놀라게 해 주려고 소리 안 나게 집으로 들어가 불을 켜는 순간 순덕이가 웬놈하고 발가벗고 누워 있는 현장을 발견한다. 칠복이 식칼을 집어 들고 방으로 들어섰을 때엔 이미 도망쳐 버린 뒤였다.
거지가 되어 고향에 돌아온 칠복은 징을 애지중지 하며 잘 때에도 꼭 베고 잔다.
마을 사람들은 징을 빼앗아 보기도 했으나 칠복이는 살기를 띠며 제 징을 지킨다. 주민들은 칠복을 내쫒기로 하고 억지로 칠복이 부녀를 읍으로 들어가는 버스에 태운다. 칠복의 친구인 봉구는 칠복이에게 2 천원을 찔러 주며 다시는 오지 말라고 한다. 빗방울이 굵어지는데 봉구의 귀엔 바람 소리인지 징 소리인지 모를 소리가 끊이지 않고 들려 온다. 마을 사람들도 그 귀기 서린 소리에 몸을 떨며 뒤척인다.
♣ 구 성 |
발 단 |
장성호 주변의 수몰 마을. 칠복이 징을 두들겨대다가 낚시꾼들에게 구타 당한다. |
전 개 |
어렵게 자라 순덕과 결혼하나 정당한 보상도 받지 못하고 광주시 판자촌으로 밀려난 칠복이의 과거 회상. |
위 기 |
순덕의 불륜과 가출. 칠복 부녀의 귀향 |
절 정 |
마을 사람들이 공모하여 칠복을 내쫓아 버린다. |
결 말 |
그날 밤 마을 사람들은 빗소리에 뒤썩인 징 소리를 들으며 칠복이의 한에 몸을 떤다. |
해 설 |
1. 연작 소설의 형태로 1970년대에 성행- ‘저녁 징소리’, ‘말 하는 징소리’ 등의 연작 작품으로 농촌의 문제를 다룬 ‘우리 동네’(이문구), 도시 빈민 문제를 다룬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윤흥길), 산업화에 따른 빈부 격차와 계층간의 갈등을 다룬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조세희) 등의 작품들이 이 시기에 나타났다.
2. 연작 소설은 부분적으로 독립된 단편이면서도 전체적으로 하나의 유기적 구조를 갖는 장편의 형태를 지닌 새로운 형태의 소설이다. 이는 우리 사회가 다양화 되고 사회 계층의 반목이 뚜렷해지면서 하나의 시점으로 작가의 시각을 고정시키지 않고 여러 각도에서 당대의 문제들을 조명하고자하는 작가 의식의 소산이다.
3. 사회의 양극화 현상의 투영 ; 경제 성장에 방해되는 일체의 요소 - 농촌 진흥과 노동자 복지, 환경 보존 등은 제기조차 할수 없도록 된 경제의 불균형 상태의 심화 양상을 반영하였다. 이 과정에서 심각한 분배의 불공정성과 부정 부패, 인권 유린, 황금 만능주의, 극단적인 이기주의 등 전통 사회의 붕괴 과정이 그려져 있다 할 것이다.
4. 전통적 정서인 한(恨)의 구체화 - 전통적 공동체가 왜 무너지고 있으며 선량하지만 무지한 민중들이 어떻게 희생되고 있으며,칠복으로 대표되는 농촌 빈민(또한 이것은 도시 빈민)의 삶을 통해 고난의 길을 걸어야 했던 우리 농민들의 한의 정서가 드러나고 있다.
(갈래) 단편 소설, 연작 소설, 사회 소설 (경향) 사회 고발적, 비판적 (배경) 1970년대, 전남 장성호 수몰 마을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 (표현) 주로 서술에 의지함. 인물 묘사는 간접적인 방법이 위주 (의의) 1970년대부터 본격화된 농촌의 붕괴와 빈민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 소설로 전통 정서인 한(恨)이 현대 사회에 어떤 형태로 변용되었는지를 진지하게 모색한 작품이다. (주제) 산업화 과정에서 소외된 농촌과 농촌 출신 도시 빈민들의 고달픈 삶 |
확 인 |
1. 이 글에서 징을 두드리는 칠복의 심리 상태로 가장 알맞은 것은 ?
① 자신의 처지를 극복하기 위한 의지의 표현
② 자신의 열등 의식을 만회하기 위한 행동의 표현
③ 댐과 고향 사람들을 쫓아 낸 정부에 대한 원망의 심리 반영
④ 자신의 울분을 다소나마 잊어 버리려는 처절한 몸부림
⑤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키려는 적극적인 노력의 형태
2. 낚시꾼들이 칠복이를 싫어 하는 심리로 알맞은 것은 ?
①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방자한 심리
② 댐 건설로 인하여 농사를 잘 짓게 되었으니 일방적 손해만은 아니다라는 심리
③ 공동체 사회의 유지를 위해서는 어쩔수 없다는 심리
④ 국가와 민족을 위해 소수의 희생은 어쩔수 없다라는 심리
⑤ 자신의 일에 동참하지 않는 것에 대한 보복의 심리
3. 이 글의 마지막 부분의 ‘징 소리’는 동네 주민들에게 어떤 의미인가 ?
① 골치 아픈 일을 잘 처리 했다는 후련함.
② 칠복의 행동에 대한 감동과 동질감
③ 그를 억지로 쫓아 냈다는 죄의식과 두려움
④ 앞날에 다가올 마을의 불행한 운명의 암시
⑤ 이제는 아무런 걱정거리가 없어 진 것에 대한 안도감
4. 이 글의 ‘징 소리’가 갖는 상징적 의미를 간단히 쓰라.
1. ③ 2. ② 3. ③ 4. 댐 건설로 인하여 실향민들이 겪는 고향 상실의 아픔과 고향을 되찾으려는 몸부림의 절규 |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