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정한숙의 ‘금당벽화’ - 해설

by 송화은율
반응형

정한숙의 금당벽화’ - 해설

 

금당벽화19557사상계24호에 발표한 단편 소설이다. 작가 정한숙은 이 작품에서 금당 벽화에 투영되어 있는 역사적 사건의 단면을 담징의 삶을 통해 민족에 대한 따뜻한 애정과 민족사에 대한 깊은 통찰을 그리고 있다.금당벽화는 언어 구사에 묘미를 보여 기교주의적 성격이 잘 드러나 있는 작품이다. 또한 사건 중심의 전개가 아닌 주인공의 내면적 갈등을 가져야 하는 압축된 구조 속에 담아 정밀하고 치밀한 미학적 구조를 잘 나타내 주는 소설이다. 작가는 조국애와 예술적 포부 사이에서 주인공이 겪는 번민과 갈등을 전지적 작가 시점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담징은 승속(승속)의 세계를 오가는 종교 예술가요 고구려의 아들이다. 그는 자신의 예술적 포부를 펴기 의해 조국을 등진 것이 일종의 도피라는 죄책감에 사로잡힌다. 여기서 담징은 조국애와 예술적 포부를 두고 내적 갈등을 일으킨다. 화폭 앞에 서면 수나라 군대의 말발굽에 짓밟히는 조국과 동포의 참담한 모습이 떠올라 그림을 그리지 못한다. 그는 승려이기 이전에 고구려의 아들이었던 것이다.

 

그러던 어는 날 금당 밖을 나오던 담징은 주지로부터 고구려의 승전 소식을 듣게 된다.이 승전 소식으로 이제껏 속세에서 배회하던 담징은 모든 갈등과 번민을 일시에 떨쳐 버리고 불교 예술가의 모습으로 돌아온다. 그는 불당 앞으로 돌아와 떨어뜨렸던 염주를 주워 들고 다시 합장 배례를 한다. 그는 비로소 합장한 손끝에서 자비로운 불심을 느끼고 조국의 승전 소식에 접한 환희를 경건한 불심으로 바꾸어 벽화를 그리기 시작한다.‘붓을 든 담징의 손길이 무학(무학)같이 벽 앞에 나는가 하면, 진한 빛이 용의 초리같이 벽면을 스쳤다.’동방을 제패한 고구려의 환희는 관음상의 미소를 자아내게 하고, 오랑캐의 죽음은 그들을 조상하는 자비심을 불러일으켰다. 순간 그에게는 조국에 두고 온 여인의 환상이 떠올랐다. 담징인 그 속세에 대한 마지막 미련을 씻기라도 하듯 온 정성을 다하여 관음상의 미간에다 일점을 찍는다. 벽면에는 관음상의 미소가 빛나는 열반의 상이 된다.노 을이 물들기 시작하자 구현된 지상의 열반 세계인 관음상에 도취한 주지와 왜승들의 합장 배례가 그칠 줄 몰랐다.

 

정한숙은예술 조선에 단편흉가(1948)로 등단한 이후 근 반세기에 이르는 동안150여 편에 달하는 작품을 발표했다. 그를 가리켜 다재다양한 작가’,‘끈질긴 탐구 정신의 작가라는 평가는 그가 한마디로 요약할 수 없는 다양한 경향의 작품을 보여 주기 때문이다.

 

이 작품은 구성상 세 마디로 짜여져 있다. 󰡔1󰡕담징의 애국과 충성심을 인격화해 가는 과정이다. 더 나아가 그의 예술과 종교를 내면화시켜 융합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2󰡕관음상이 이루어져 가는 과정을 묘사하고 관음상을 예찬하는 황홀한 환상의 경지로 나타난다. 󰡔3󰡕완성된 금당 벽화를 통해 끝없는 감동과 경건한 예불의 장면으로 길게 여운을 남긴다. 이와 같이금당 벽화는 큰 제재를 단순화시켜담징의 인물됨금당 벽화의 완성 과정금당 벽화에 감동한 왜승들의 경배 등 세 마디로 나뉘어 화합의 모습을 보여 준다.이 소설에 나타나는 갈등은 주로 조국애와 예술적 포부 사이의 갈등세속적 감정과 자비의 불심 사이의 갈등으로 요약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갈등의 심화와 해소 과정은 바로 주제가 형성해 나가는 과정이기도 하다.이 가운데 담징이 겪는 갈등은 내면적 갈등이다. 그것은 구도적 열망. 예술적 포부. 조국애와 충성심 등을 융합하여 인격화하는 과정과 일치한다.

 

금당 벽화는 꿈. 좌절. 의지라는 작가의 삶에 대한 인식의 태도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인간 실존의 의지 쪽에 다가선 작품이다. 그리고 이 작품은 일본으로 건너간 고구려의 스님 담징이 법륭사 벽화를 그린 역사적 사실을 그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때 담징은 단순해 한 사람의 화공이 아니다. 그는 수없이 갈등하고 고뇌하고 실의에 빠져드는 인간 존재이며, 역사적 당위에 대응하는 의지의 증표이다. 더우기 이백 만 대군을 물리친 것은 을지문덕의 전략적 승리이다. 그러나 이백 만 대군의 군사적 우위라는 역사적 흐름의 당위를 을지문덕의 나라 사랑과 국토 수호라는 의지가 대응하여 극복한 것은 바로 좌절의 인간을 의지의 인간상으로 재창조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담징이 번민과 고뇌를 극복하고 금당 벽화를 완성하는 것 역시 이같은 의지의 표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절과 의지에 의한 인간 탐구가 근간을 이루는 정한숙의 작품으로는금당 벽화고가(古家)(1956) 이여도(1960) 등이 있다.

 

작품 요약

 

주제 : 조국애와 예술적 포부 사이에서 느끼는 번민과 갈등.

인물 : 담징-금당 벽화를 그리기 위해 일본으로 건너간 고구려 승려.조국애와 예술적 포부사이에서 내적 갈등을 일으키나 조국의 승전 소식을 듣고 금당 벽화를 완성한 정적 인물.

주지 스님-담징의 고뇌를 이해하고 꿰뚫어 보는 혜안을 지닌 스님.

배경 : 삼국시대. 고구려가 수나라의 침범을 받았을 무렵(612)일본 법륭사(공간적 배경은 조국의 현실과 동떨어진 일본 법륭사에서 담징이 내면적 갈등을 일으킨 삶의 공간이며, 시간적 배경은 현재의 상황에서 조국의 모습이 삽입되고 다시 벽화를 그리는 현재의 일상적 시간이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