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절구(絶句)

by 송화은율
반응형

절구(絶句)

江碧鳥逾白 강벽조유백

山靑花欲然 산청화욕연

今春看又過 금춘간우과

何日是歸年 하일시귀년

강물이 푸르니 새는 더욱 희고,

산빛이 푸르니 꽃은 더욱 붉네(불타는 것같네)

올 봄도 눈 앞에서 (휙)지나가니

어느날이 돌아갈 해일런고

강이 푸르니 새는 더욱 희고,

산이 푸르니 꽃 빛이 불붙는 듯하다.

보건대 올봄이 또 지나가니,

어느 날이 돌아갈 해인가?

요점 정리

 

지은이 ; 두보

형식 : 5언절구

성격 : 애상적, 시각적

구성 : 선경후정의 구성으로 기승 - 봄날의 경치 / 전결 - 고향에 대한 그리움

운자 : 연, 년

표현 : 대구법(기와 승)

배경 : 늦봄

주제 : 고향에 돌아가지 못하는 안타까움, 고향에 대한 그리움, 향수

특징 : 푸른색, 흰색 그리고 붉은 색의 대조를 통한 시각적 이미지가 돋보임

내용 연구

 

강물이 파라니 새 더욱 희오,[강과 새의 색채 대비]

산이 푸르니 꽃 빛이 불 붙는 듯하도다. [산과 꽃의 색채 대비]

- 화자는 선명한 시각적 대비를 통해 봄 경치를 아름답게 형상화하고 있다. 화자는 봄경치를 바라보면서도 자연의 모습에 심취하기보다는 향수에 젖어 있는데, 이는 화자에게 봄 경치를 낭만적으로 바라볼 만한 여유가 없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으로 볼 때 결국 봄 경치는 시적 화자가 자신의 현실적 처지를 비극적으로 인식하는 계기가 된다

올해 봄이 본댄 또[안타까움이 집약되어 있음] 지나가나니,[고향에 돌아가지 못하는 자신의 처지와 대비됨 / 고향에 돌아가지 못한 채 세월만 흘러가는 것에 대한 안타까운 심정을 드러냄]

어느 날이 이 돌아갈 해오.[고향에 돌아가고 싶은 절절한 심정이 담긴 것으로 기약할 수 없는 귀향에 대한 초조하고 안타까운 심정이 '이(是) 한 자에 절실하게 나타나 있다.]

 

 

객관적 대상(자연)

주관적 수용

산과 강을 넘나드는 아름다운 자연의 일부

현실의 괴로운 상황에 놓인 시적 화자의 심정과 대조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매개물

강물

평화롭게 흐르는 아름다운 자연의 일부

덧없이 흘러감을 인식하게 하고, 고향에 돌아가지 못하는 화자의 우울한 심리와 연결되는 매개물

'연(然)'은 '불타다(=燃)'의 뜻

이해와 감상

 

두보가 53세(764년) 때의 봄, 피난지 성도(成都)에서 지은 무제(無題)의 절구 2수 가운데, 두 번째 작품이다. 두보가 안녹산의 난을 피해 성도에 머물면서 지은 시로 기약 없이 세월만 보내면서 고향에 돌아가지 못하는 안타까운 심정을 읊은 것이다. 눈앞에 펼쳐진 화려한 봄의 정경. 그 봄이 또 지나감을 아쉬워하며 고향에 대한 애틋한 그리움을 읊은 걸작이다. 벽(碧)·백(白)·청(靑)·홍(紅)의 화려한 색채의 조화, 거기에 조응된 작가의 초라한 삶과 향수를 역력히 읽을 수 있다. 어느 날이나 고향에 돌아갈 수 있게 될 해인가를 절실히 토로하고 인생의 무상감을 강조하며 향수에 애태우던 두보는 결국 죽을 때까지 고향에 돌아가지 못한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