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저끽폭포(猪喫瀑布) - 돼지가 삼킨 폭포​

by 송화은율
반응형

저끽폭포(猪喫瀑布) - 돼지가 삼킨 폭포

한 조관(朝官)이 일찍이 진양(晋陽) 고을의 수령이 되었다. 그는 가렴주구(苛斂誅求)가 심하여 비록 산골의 과일과 채소까지라도 그대로 남겨 두지를 않았다. 그리하여 절간의 중들도 그 폐해를 입었다.

하루는 중 하나가 수령을 찾아가 뵈었더니, 수령이 말하기를, "너의 절의 폭포가 좋다더구나."라고 하였다. 폭포가 무슨 물건인지 모르는 중은 그것도 또 세금으로 거두려고 하는가 두려워하여 대답하기를 "저의 절의 폭포는 금년 여름에 돼지가 다 먹어 버렸습니다. "라고 하였다.

고을 수령의 가렴주구 풍자

강원도 한송정(寒松亭)의 산수 경치가 관동 지방에서 으뜸이었으므로 구경꾼이 끊이지 않고 말과 수레가 사방에서 모여들었다. 고을 사람들은 그 접대하는 비용이 적지 않았으므로 항상 푸념하기를 "저 한송정은 어느 때나 호랑이가 물어 갈까."라고 하였다. 어떤 시인이 다음과 같이 두 구(句)의 시를 지었다.

瀑布當年猪喫盡 (폭포당년저끽진)

寒松何日虎將歸 (한송하일호장귀)

폭포는 옛날에 돼지가 먹어버렸네만

한송정은 어느 때에 호랑이가 물어갈꼬.

양반들의 허례와 가렴주구 풍자

요점 정리

연대 : 조선 성종 때

갈래 : 설화, 패관 문학(稗官文學)

작자 : 서거정

표현 : 풍유법(풍자적, 해학적)

제재 : 양반 계층의 가렴주구(苛斂誅求)

주제 : 양반 지배 계층의 가혹한 수탈 행위에 대한 풍자

출전 : 태평한화골계전(太平閑話滑稽傳)

내용 연구

구성 : 피카레스크(plcaresque)식 구성

골계(滑稽) : 익살을 부리는 가운데 어떤 교훈을 주는 일

조관(朝官) : 조정에서 일하는 신하(臣下)

수령(守令) : 고을을 맡아 다스리던 지방관

가렴주구(苛斂誅求) : 세금을 가혹하게 거두어 들이고 무리하게 재물을 빼앗음.

폐해(弊害) : 폐단으로 생기는 해

한송정(寒松亭) : 강릉 경포대에 있는 정자(亭子)로 관동 팔경의 하나.

관동(關東) : 대관령 동쪽의 지방. 즉, 강원도 지방을 이르는 말

푸념 : 굿을 할 때에 무당이 귀신의 뜻을 받아 정성들이는 사람을 꾸짖다는 뜻과 마음에 품은 불평을 말함이지만, 여기서는 후자의 뜻

하일(何日) : 어느 날.

瀑布當年猪喫盡 (폭포당년저끽진) : 폭포는 옛날에 돼지가 다 먹어 버렸다.

寒松何日虎將歸 (한송하일호장귀) : 한송정은 어느날 호랑이가 물어갈꼬

그는 가렴주구가 ∼ 폐해를 입었다 : 고을 수령의 수탈 범위가 미치지 아니한 곳이 없음을 알 수 있다. 가혹함의 정도를 강조하기 위한 표현으로 중이 폭포를 돼지가 먹었다고 엉겁결에 대답할 수밖에 없는 사정을 설명하고 있다.

저의 절의 ∼ 먹어 버렸습니다 : 고을 수령의 가혹한 수탈 정도에 대한 일반 백성들의 반응을 짐작할 수 있는 표현. 무엇이든 빼앗기지 않으려는 민중들의 경계심을 해학적으로 표현하였으나 웃음보다 연민(憐憫)이 앞선다.

폭포는 옛날에 ∼ 물어갈꼬 : 벼슬아치에게 수탈 당하는 괴로움을 압축하여 표현한 시로 백성들의 원성은 아랑곳하지 않고 횡포를 계속하는 지배층에 대한 풍자와 더불어 당대 민중들의 어려운 삶의 현실을 동시에 반영하고 있다.

이해와 감상

 

민가(民家)가 있는 거리에 떠돌아다니는 이야기를 문헌(文獻)에 정착시킨 패관(稗官) 문학의 하나이다. 동일한 주제를 가지고 이야기를 바꾸어 가며 구성하는 레스크(picaresque)]식 구성을 택했다. 저끽폭포(猪喫瀑布-돼지가 삼킨 폭포)라는 웃지 못할 일화 속에는 당대 백성들의 한(恨)이 담겨 있다. 당대 지배(支配)층 양반들의 가렴주구(苛斂誅求)가 얼마나 극심했는지를 두 편의 이야기를 통해 극명하게 알 수 있다. "돼지가 폭포를 먹어버렸네.", "한송정은 언제 호랑이가 물어 갈꼬." 등의 표현 속에서 해학(諧謔)과 풍자(諷刺)를 발견(發見)하지만 그 속에 방식[피카담겨 있는 당대 민중들의 삶의 어려움을 발견하고 나면 웃음보다는 씁쓸함과 더 불어 당대 서민들에게 연민(憐憫)을 느끼게 된다. 그만큼 지배층은 자신들의 욕심 채우기에 급급했고 백성들은 가난에 허덕이며 자신들의 삶에 대한 희망을 가질 수가 없었다 백성들에게 가혹한 행위를 일삼는 고을 수령들을 골계(滑稽)적 수법으로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 조선 초기 관학(官學)을 주도한 서거정의 풍자(諷刺) 정신을 엿볼 수 있다.

 

 

심화 자료

서거정 徐居正 [1420~1488]

 

본관 달성(達城). 자 강중(剛中). 호 사가정(四佳亭). 시호 문충(文忠). 1444년(세종 26) 식년문과에 급제, 사제감직장(司宰監直長)을 지냈다. 1451년(문종 1) 사가독서(賜暇讀書) 후 집현전박사(集賢殿博士) 등을 거쳐 1456년(세조 2) 문과중시(文科重試)에 급제, 1457년 문신정시(文臣庭試)에 장원, 공조참의 등을 역임했다.

1460년 이조참의 때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대사헌에 올랐으며, 1464년 조선시대 최초로 양관 대제학(兩館大提學)이 되었다. 1466년 다시 발영시(拔英試)에 장원한 후 6조(曹)의 판서를 두루 지내고 1470년(성종 1) 좌찬성(左贊成)에 이르렀으며 이듬해 좌리공신(佐理功臣)이 되고 달성군(達城君)에 책봉되었다.

45년간 여섯 왕을 섬겼다. 문장과 글씨에 능하여 《경국대전(經國大典)》 《동국통감(東國通鑑)》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편찬에 참여했으며, 또 왕명을 받고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을 국역(國譯)했다. 성리학(性理學)을 비롯, 천문 ·지리 ·의약 등에 정통했다. 문집에 《사가집(四佳集)》 저서에 《동인시화(東人詩話)》 《동문선(東文選)》 《역대연표(歷代年表)》 《태평한화(太平閑話)》 《필원잡기(筆苑雜記)》 《골계전(滑稽傳)》이 있으며 글씨에는 《화산군권근신도비(花山君權近神道碑)》(忠州)가 있다. 대구(大邱) 귀암서원(龜巖書院)에 제향되었다. (자료 출처 : 동아대백과사전)

피카레스크소설<picaresca, novela>(-小說)

 

16세기 중반 에스파냐에서 나타나 17세기까지 크게 유행하였던 문학 양식. 악한소설(惡漢小說)·건달소설(乾達小說)이라고도 한다. 유럽 여러 나라에까지 파급되어 많은 독자층을 형성하였다. 1554년 에스파냐의 부르고스·아르카라 드 에나레스와 벨기에의 앙베르에서 출판된 작자 미상의 《라사리요 데 토르메스의 생애》가 처음 나타난 이 방면의 소설이지만 이 작품에서는 주인공을 아직 피카로(picaro:악한)라고 부르지 않았다.

그러나 그 후 17세기를 통해 나타난 많은 작품은 형식적으로는 《라사리요》와 거의 다를 바가 없었다. 당시 피카로라는 이름으로 불리던 에스파냐 사회의 많은 무직자(無職者)·불량배 등을 주인공으로 등장시켜 자전적(自傳的) 형식으로, 밥을 먹여주는 주인집에서 주인집으로 떠돌아다니는 자기 자신은 물론, 주인의 생활 등도 주요 풍자 대상으로 삼는 사회풍자문학이라 할 수 있다. 연애(戀愛)는 이들 피카로들의 관심사가 아니었다. 먹기 위해서 어떻게 사람을 속이고 어떤 수단을 썼는가가 문제였는데, 피카레스크 소설을 가리켜 굶주림의 기사도 소설(騎士道小說)이라 부르는 것도 이 때문이다. 피카로들은 특유의 철학을 가지고 있었는데 공복(空腹)은 인간의 지능을 예리하게 만든다는 등이 그 한 예이다. 알레만의 《구스만 데 알파라체》(1599∼1604), 케베드의 《방랑자의 본보기 대악당의 거울, 돈 파블로스의 거짓 생애》 등은 그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작품이다. (자료 출처 : 동아대백과사전)

태평한화골계전(太平閑話滑稽傳)

 

조선 초기 학자인 서거정이 편찬한 설화집으로 일반적으로 <골계전>이라고 한다. 저자가 말년에 관직에서 은퇴했을 때 집필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 한문으로 편집된 해학적 이야기책이므로 일종의 문헌 설화로 간주(看做)되며 소화(笑話)로서의 민담의 성질을 띤다고 할 수 있다.

현존하는 원본은 없고 1959년 민속 자료 간행회에서 유인본으로 출간한 <고금소총(古今笑叢)> 제 2권에 수록된 146화(話)를 비롯 4종류의 이본(異本)이 전한다. 편차의 순서나 편집상의 분류 의식은 전혀 없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편집 방법은 모든 소화집(笑話集)의 공통점이라 여겨진다.

이 책은 이야기의 연편식으로 이어간다. 대부분의 이야기가 꾸며 낸 것이라기보다는 실화에 가까운 것이 많다는 점과 다양한 인물이 등장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탐관오리와 조선 초기의 대표적인 학자관료를 중심으로 서당 훈장, 승려, 기생 등 각 층의 인물이 고루 등장한다.

관동팔경(關東八景)

 

강원도 동해안에 있는 여덟 군데의 명승지. 간성의 청간정(淸澗亭), 강릉의 경포대(鏡浦臺), 고성의 삼일포(三日浦)삼척의 죽서루(竹西樓), 양양의 낙산사(落山寺), 통천의 총석정(叢石亭), 울진의 망양정(望洋亭), 평해의 월송정(越松亭). (월송정 대신에 흡곡의 시중대를 치기도 함.)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