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별은 미의 창조 - 한용운
by 송화은율이별은 美의 創造 - 한용운
이별은 美의 創造입니다.
이별의 美는 아침의 바탕[質] 없는 黃金과 밤의 올[絲]없는 검은 비단과 죽음없는 永遠의 生命과 시들지 않는 하늘의 푸른 꽃에도 없습니다.
임이여,이별이 아니면 나는 눈물에서 죽었다가 웃음에서 다시 살아날 수가 없습니다. 오오, 이별이여.
美는 이별의 創造입니다.
(시집 님의 침묵, 1926)
작가 : 한용운(1879-1944) 본명 정옥(貞玉). 계명 봉완(奉玩). 아명 유천(裕天). 호는 만해(卍海). 용운(龍雲)은 법호(法號). 충남 홍성 출생. 1926년 시집 『님의 침묵』을 발간하며 등단. 한말에 의병운동을 했으며, 3․1 운동 당시 33인 중의 주동자로 피검되어 3년간 투옥. 승려, 급진적 불교개혁론자, 독립 지사.
그는 당시의 퇴폐적인 사조에 초연하면서, 단 한 권의 시집으로 우뚝한 시사(詩史)의 봉우리를 점했다. 그는 종교적 민족적 전통시인인 동시에 저항시인으로 평가되며, 그의 시는 깊은 사색과 신비적인 특성을 드러냈다. 특히 동인 활동을 거치지 않고 독자적이고도 전통적인 시의 세계를 이룩했다는 점에서 그의 존재는 특기할 만하다.
그의 전작(全作)은 『한용운 전집』(신구문화사, 1973)에 수록되어 있다. 장편소설로 「흑풍(黑風)」(조선일보, 1935), 「후회(後悔)」(조선중앙일보, 1936) 등이 있고, 이외에도 『불교유신론』, 『불교대전』 등의 저서가 있다.
<핵심 정리>
▶ 감상의 초점
이 시는 짧은 길이에도 불구하고 만해의 시 전체를 꿰뚫는 역설의 미학이 담겨 있는 작품이다.
님의 이별을 자기 존재의 구성 요소로 가지기 때문에 이별은 님의 존재를 깨닫게 하는 계기가 되는 것이요, 반대로 이별이 없다면 님의 존재도 깨달음도 없게 된다. 부정을 통해 긍정에 이르고, 그것을 다시 부정함으로써 더 큰 긍정에의 길을 준비하는 이러한 불교적 역설, 변증법은 만해 시의 근간을 이루며,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단조로움을 극복하여 무한한 역동감을 느끼게 해 준다.
▶성격 : 불교적, 명상적, 사색적, 역설적
▶어조 : 여성적 어조
▶특징 : 첫 행과 끝 행의 이별과 미의 등식 관계(이별=미)를 통해 이별에 형이 상학적 의미를 부여함.
▶구성 : 수미 쌍관의 구성
① 이별은 미의 창조임(1행)
② 이별의 미를 인식하는 계기(2행)
③ 이별의 의미(3행)
④ 미는 이별의 창조임(4행)
▶제재 : 이별
▶주제 : 재생의 원천으로서의 이별에 대한 예찬
<연구 문제>
1. ‘이별은 미의 창조입니다.’로 시작해서 ‘미는 이별의 창조입니다.’로 끝나는 이 시는 같은 구조가 되풀이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한편, 그의 시『포도주』에는 ‘한밤을 지나면 포도주가 눈물이 되지마는, 또 한밤을 지나면 나의 눈물이 다른 포도주가 됩니다.’라는 구절이 나오는 바, 이것도 같은 논리로 설명될 수 있다. 한용운의 시를 움직이는 철학적 논리를 60자 내외로 설명하라.
☞ 부정을 통해 긍정에 이르고, 그것을 다시 부정함으로써 더 큰 긍정에의 길을 준비하는 변증법의 논리에 기초해 있다.
2. 미의 창조로서의 이별은 시인에게 어떤 계기가 되는지 50자 내외로 답하라.
☞ 재생을 가져 오는 반전의 출발점(다시 살아날 수 있는 힘의 원천)이자 님과의 합일을 가져오는 계기
3. 미의 창조를 님과의 합일(合一, 불도에의 완전한 귀의), 또는 민족과 조국의 밝은 미래로 본다면, 시대적 상황에서 본 ‘이별’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40자 내외로 쓰라.
☞ 정체되고 미래를 기약할 수 없는, 암담한 일제 치하의 현실을 거부하는 자세
4. 이 시의 내용과 관련하여 다음 글의 ( ) 안에 적당한 한자를 쓰라.
☞ ① : 會
② : 空
離則( ① ) ( ① )則離, 色卽( ② ) ( ② )卽色
< 감상의 길잡이 1 >
이 시의 첫 행과 끝 행은 이별이 미(美) 자체라는 등식 관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는 만해의 기본적 사상과 시 자체의 형식성에 완결미를 가져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두 번째 시행에는 이별의 미적 요소를 지니지 못한 대립 심상이 제시되어 있다. ‘아침의 바탕[質] 없는 황금’, ‘밤의 올[絲] 없는 검은 비단’, ‘죽음 없는 영원한 생명’, ‘시들지 않는 푸른 꽃’에 존재하지 않는 이별의 미는 무엇일까? 이 구절에는 밝음이 어둠의 전제에서 그 의미가 있듯이, 긍정적 가치는 부정적 가치의 존재에서 그 생명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역설이 자리잡고 있다.
아침의 영롱한 빛의 바탕 없이 광휘(光輝)로움을 빛낼 수 없는 황금, 어둠의 근본 바탕이 없이 아름다움을 드러낼 수 없는 검은 비단, 죽음 없이 가치를 얻을 수 없는 생명, 시들음 없이 아름다움을 인정받을 수 없는 꽃이기에, ‘다시 만남’이라는 미의 창조를 위한 이별이 의미가 있는 것이다. 이 이별을 통해 제3행에서와 같이 역설적으로 ‘눈물에서 죽었다가 웃음에서 다시 살아날 수’가 있다. 그러니 이별은 미의 창조가 되는 것이다.
< 감상의 길잡이 2 >
이 작품은 ‘이별’과 ‘미’의 등식(等式) 관계를 통해 이별에 형이상학적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이별은 미의 창조입니다.’로 시작해서 ‘미는 이별의 창조입니다.’로 끝나는 구조는 이 시가 부정을 통해 긍정에 이르고, 그것을 다시 부정함으로써 더 큰 긍정을 준비하는, 이른바 정․반․합의 변증법적 철학 원리에 기초해 있음을 보여 준다.
또한 ‘아침의 바탕 없는 황금’, ‘밤의 올 없는 검은 비단’, ‘죽음 없는 영원의 생명’, ‘시들지 않는 하늘의 푸른 꽃’에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이별의 미는, 어둠이 있기에 밝음이 있는 것처럼 긍정적 가치는 반드시 부정적 가치의 존재에서만 그 생명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역설이 자리잡고 있음을 알게 한다. 다시 말해, 황금은 어둠을 뚫고 솟아오르는 눈부신 아침 햇살을 바탕으로 빛을 발하고, 검은 비단은 어둠 속에서만 그 아름다움을 드러낼 수 있으며, 생명은 죽음 없이는 가치를 얻을 수 없고, 시들지 않는 꽃은 결코 아름다울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님’과의 ‘다시 만남’을 전제로 한 이별은 분명 의미 있는 것이 되며, 또한 그 이별은 ‘눈물에서 죽었다가 웃음에서 다시 살아날 수가’ 있는 이별이므로 새로운 미의 창조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