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유희(言語遊戱, pun)
by 송화은율언어유희(言語遊戱, pun)
: 말이나 문자를 소재로 하는 유희, 말재롱. 펀은 단순한 말장난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기지가 풍부하고 어조가 날카로우며 인생을 풍자하기도 함.
1.1 새 말 만들기
( ‘콩글리쉬’ 등 영어 + 한국어 조합 )
1.2 어려운 말 외기(빨리 발음 하기)
( 마당에 콩깍지 깐 콩깍지냐 안 깐 콩깍지냐. )
1.3 말꼬리 잡기
( 가랑잎, 잎사귀, 귀엣말, 말장난 ··········· )
( 원숭이 궁둥이는 빨개, 빨간 것은 사과, 사과는 ········· )
1.4 동음이의어 만들기
( 눈에 눈이 들어가니 눈물(淚)이냐 눈물(雪液)이냐 )
1.5 해자(解字)·파자(破字)놀이
( 丁口竹夭 = 가소(可笑), 八十八 = 米 )
1.6 차자(借字) 놀이
( You are a dog ( 有雅羅毒 ) )
[예시문]
- 판소리 ‘춘향가’에서
1.1 각 읍 수령 모여들제~울고 나니 곡성(谷城) 원님, 운수 좋다 강진 원님······
* 哭聲(곡성-우는 소리)와 지명 이름 곡성(谷城)을 연결(동음이의어)
1.2 춘향이 내달아,
“여보 도련님. 이제 가시면 언제나 오시려오. 사철 소식 끊어질 절(絶), 보내느니 아주 영절 (永絶), 녹죽(綠竹) 창송(蒼松),백이·숙제 만고충절(萬古忠節), 千山에 조비절(鳥飛絶), 와병(臥 病)에 인사절(人事絶), 죽절(竹節), 송절(松節), 춘하추동(春夏秋冬) 사시절(四時節), 끊어져 단절 (斷絶), 분절(分節), 훼절(毁節), 도련님은 날 버리고 박절(迫切)히 가시니 속절없는 이 내 정절 (貞節) 독숙공방(獨宿空房) 수절(守節)할 때 어느 때나 파절(破節)할꼬. 첩의 원정(寃情) 슬픈곡 절(曲折) 주야(晝夜) 생각 미절(未節)할 제, 부디 소식 돈절(頓絶)마오.”
<열녀춘향수절가>
“너의 서방인지 남방인지 걸인 하나 내려 왔다.” (西方)
“허허 이게 웬 말인가. 서방님이 오시다니?” (낭군)
<문체와 사회>
이도령 : “져 농군 여봅시. 검은 소로 밧 가니 컴컴지 아니지?”
여기 보시게(예사낮춤) 밭(田) 아니한가?(예사낮춤)
여보시게
농뷔(농부1) 답,
농부1 : “그러키의 (쟁기에) 밝으라고 볏 다랏지오.”
그렇기에(컴컴하기에)
①쟁기 부분명칭
②‘햇볕(日光)’과 음이 유사함
이도령 : “볏 다라시면 응당 더우려니? ”
농부1 : “뎝기의 셩장 붓쳐지오.”
덥기 때문에 ①쟁기 부분명칭(현대어 : 성에(장))
②‘성에’(물위에 뜬 얼음덩이)와 음이 유사
이도령 : “셩장 붓쳐시니 응당 지?”
붙였으니 당연히
농부1 : “기의 쇠게 양지머리 잇지오.”
① 1)쟁기 부분명칭, 2)소의 가슴에 붙은 뼈.살 총칭
② 양지(陽地)와 음이 유사
- 김삿갓(본명 김병연)
김병연이 어느날 길을 가다 한 여인의 미모에 반해 글을 한 자 써서 보냈는데 그 여인의 답은 이러했다.
# 김 삿갓 : 榴
# 한 여인 : 漁
[풀이]
# 김 삿갓 - “석류나무 유(碩儒奈無遊)”,
: 현명한 선비가 (이 아름다운 풍경을 보고) 어찌 놀고 가지 않을 수 있으리오.
# 한 여인 - “고기자불어(고기잡을어)(高妓自不語)”
: 고고한 기생은 먼저 (놀고 가라고) 말을 하지 않는다.
“대학에 합격하는 꿈”을 다섯 자로 줄이면 ?
--- 재수(再修)없는 꿈
임제의 시조
북천이 맑다거늘 우장 없이 길을 가니
산에는 눈이 오고 들에는 찬비로다.
오늘은 찬비 맞았으니 얼어잘가 하노라.
· 찬비 : 한우(寒雨)라는 기생을 의미
· 얼어 잘가 : 한우(기생)과의 동침
심청가
“영감아, 지난 달부터 밥 구미는 뚝 떨어지고 신 것만 구미가 당기니 어째서 그런가 모르겄 오.” “파아하하 거 그러면 태기가 있을란가 부네. 어쩌튼 하나만 낳아라. 그런디 신 것이 구미 가 당기면 무엇을 먹는가?” “아 살구 먹었지요.” “살구는 얼마나 먹었는고?” “아 씨 되어 보니 닷말 섯 되입니다.” “거 신 것을 그리 많이 먹어. 그 놈은 낳드라도 안 시건방질까 몰라. 이것 농담이요.”
* 시다 - 시건방지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