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기급인(推己及人)의 유래
by 송화은율추기급인(推己及人)
제 마음을 표준 삼아 남의 마음을 추측한다는 뜻. (推 : 밀 추, 己 : 자기 기, 及 : 미칠 급, 人 : 사람 인)
자신의 처지를 미루어 다른 사람의 형편을 헤아린다는 뜻으로, '제 배 부르면 남의 배 고픈 줄 모른다'는 속담과 그 뜻이 일맥상통하는 말이다.
중국 춘추시대 제(齊)나라에 사흘 밤낮을 쉬지 않고 큰 눈이 내렸다. 제나라의 경공(景公)은 따뜻한 방 안에서 여우털로 만든 옷을 입고 설경의 아름다움에 푹 취해 있었다. 경공은 눈이 계속 내리면 온 세상이 더욱 깨끗하고 아름다워질 거라고 생각하고 그렇게 되기를 바랐다.
그때 재상인 안자(晏子:안영)가 경공의 곁으로 다가와 창문 밖 가득 쌓인 눈을 말없이 바라보았다. 경공은 안자 역시 설경에 도취되어 흥취를 느낀 것이라고 생각하고 조금 들뜬 목소리로 "올해 날씨는 이상하군. 사흘 동안이나 눈이 내려 땅을 뒤덮었건만 마치 봄날씨처럼 따뜻한 게 조금도 춥지 않아"라고 말했다. 안자는 경공의 여우털 옷을 물끄러미 바라보더니, 정말로 날씨가 춥지 않은지 되물었다.
그러나 경공은 안자가 왜 그렇게 묻는지 그 의미를 되새겨 볼 생각도 않고 그저 웃을 따름이었다. 그러자 안자는 안색을 바꾸어 정색을 하며 이렇게 말했다.
"옛날의 현명한 군주들은 자기가 배불리 먹으면 누군가가 굶주리지 않을까를 생각하고, 자기가 따뜻한 옷을 입으면 누군가가 얼어죽지 않을까를 걱정했으며, 자기의 몸이 편안하면 또 누군가가 피로해 하지 않을까를 늘 염려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경공께서는 자신 이외에는 다른 사람을 전혀 배려하지 않으시는군요."
안자의 이 말에 경공은 부끄러워 얼굴을 붉히며 아무 말도 하지 못했다.
안자는 제나라의 정치가로 국민의 신망이 두터웠고, 관중(管仲)과 비견되는 훌륭한 재상이었다. 그는 너무나 검소하여 밥상에 반찬을 세 가지 이상 올리지 못하게 했으며, 늘 누더기 같은 낡은 옷을 입고 다녔다.
항상 백성들 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던 그는 편안한 일상에 묻혀 눈오는 경치에만 정신을 빼앗긴 채 추위에 떨고 있을 백성에 대해서는 전혀 생각이 미치지 못하는 경공의 불찰을 옛 군주들의 예를 들어 따끔하게 지적하였다.
군주라면 마땅히 도량을 넓게 하여 자기 중심적인 추기급인(推己及人)의 마음 자세를 버려야 한다고 충고하였다. 오늘날 이 말은 '내 배 부르면 종의 밥 짓지 말라 한다'는 속담이나 또는 '남의 염병이 내 고뿔만 못하다'는 속담과 같이 남의 어려움이나 불행도 자기 중심적으로 소홀히 여긴다는 의미로 쓰인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