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언어(言語)란 무엇인가

by 송화은율
반응형

언어(言語)에 대해

 

- 정의

1.1 언어는 추리와 의미를 운반하는 수레로서 고도로 추상화된 의사 소통의 체계이다. ( M. Schlauch )

1.2 언어는 임의적으로 만들어진 상징적 기호 체계에 의해서 사상, 감정, 욕구 등을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것이다. ( E. Sapir 미국 )

1.3 언어는 존재의 집이다. ( M. Heidegger 독일 )

1.4 언어는 생존자에 의해 정서, 혹은 심적 내용을 표현, 타인에게 전달하는 수단이다. ( L.H Gray )

1.5 언어는 사회 집단 구성원에 의해 상호 협동하고 작용하는 임의적인 음성 기호의 체계이다. ( Block & Trayer )

1.6 인간은 언어가 형성해 주는 현실만 알고 있다. ( E. Cassirer 독일 )

1.7 언어는 문화에 대한 가장 완전한 색인(索引)이다. ( R. Lado 미국 )

 

- 협의(狹義)의 언어와 광의(廣義)의 언어

(1) 협의 : 사람의 발음 기관을 통해 나오는 분절음(分節音)으로 이루어진 <음성 언어>만을 가리킴

(2) 광의 : 음성 언어 뿐만 아니라, 문자 언어, 동작 및 표정, 신호 등의 일체의 의사 소통 수 단을 가리킴

 

- 언어의 의미

(1) 언어 기호(記號) : 특정한 의미와 연합되어 있는 음성적 기호의 체계적 집합

(2) 언어 활동(活動) : 음성이나 문자를 통해 표현(表現)하고 이해(理解)하는 일련의 활동

 

- 언어 활동(活動)의 필수 요소와 언어 기능(機能)

언어 활동은 화자(話者)와 청자(聽者), 또는 필자(筆者)와 독자(讀者)를 전제로 하는 유목적적인 인간 생활의 한 양식으로, 그 필수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화제(話題)(=대상) : 말이 관계 맺고 있는 상황 ··················  표현 기능

(2) 발신자(發信者) : 화자, 필자 ·················································  표출 기능

(3) 수신자(受信者) : 청자, 독자 ·················································  지령 기능

(4) 의사 소통(疏通) 경로(經路) : 언어가 사용된 분위기(경로  친교 기능

(5) 전언(傳言) : 쓰여진 말 자체 ················································  미적 기능

(6) 언어(言語) : 사용된 언어의 종류 ······································ 관어적(關語的) 기능

 

또한 이 요소와 언어의 기능을 대응시키면 다음과 같다.

 [화제(話題)](=대상) ······  표현기능

 

 발신자  의사 소통 경로  수신자
화자
필자
청자
독자
   전언(傳言)
 

 언어(言語)

⇓ ⇓ ⇓ ⇓ ⇓

 표출기능  친교기능  정보기능  미적 기능  지령기능

 

 표현(表現) 기능 : 말하는 사람, 필자의 감정이나 태도를 표현하는 기능으로 (1) 사실적 판 , (2) 듣는 이에 대한 화자의 태도, (3) 지시 대상에 대한 화자의 태도, (4) 자신의 판단에 대 한 확신성 여부 등이 이에 속한다.

(1) 이 금은 5g이다. (2) 어서 출발하시지요. (3) 이 책은 참 재미있다. (4) 철수는 공부하 지 않은 것 같다.

 

 친교(親交) 기능 : 청자, 독자와의 우호적인 유대를 위한 것으로 소통의 통로 구실을 함.  경우 무슨 말을 하는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무엇인지 말을 했다는 자체가 중요하다. 문안 인사, , 날씨 인사, 어린이에게 어른이 높임말을 하는 경우 등등)

- 밥 먹었니? 오늘 참 날씨 좋지요? 등등

= 사교적(社交的) 기능

 

 정보(전달)기능 : 논리적이고 지적인 것을 전달하거나 보존하는 기능

= 상징적 기능, 용구적(用具的)기능, 과학적 기능, 제보적 기능

 

 미적(美的) 기능 : 언어 예술 작품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미적 가치를 추구. 이 경우 감 정적 의미만이 아니라, 개념적 의미도 중시된다.

- 전라도 사투리의 구수한 소리는 판소리의 서정을 높인다.

 

 지령(指令) 기능 : 청자, 독자로 하여금 특정 행동을 하도록 하는 기능으로 명령형 어미를 사용한 직접 명령, 간접적인 명령문 그리고 사회 집단이 만든 법률, 각종 규칙, 단체 협약,  고문, 요청문 등이 이에 속한다.

= 감화적(感化的) 기능, 환기적(換起的) 기능

 

(1) 어서 학교에 가거라. (명령)

어서 학교에 가자꾸나. (청유)

 

(2) 지금 학교에 갈 시간이 지났어. (평서)

지금 학교에 가면 좋겠구나. (감탄)

지금 학교에 갈 수 없겠니? (명령의문)

 

(3) 광고 문구 등

 

*

(1) 명령(命令)’ 청유로서 직설적인 표현이다.

(2)는 간접적인 명령의 뜻을 담고있는 완곡(婉曲)한 표현이다.

 

 표출(表出) 기능 : 언어를 기호 이전의 용법으로 거의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기능. 표현 의도도, 듣는 이도 없는 경우이므로 다만 표출되었을 뿐, 표현한 것과는 구별된다.

( 아이구, 아파!, 에그머니나!  )

= 환정적(喚情的) 기능

 

 관어적(關語的) 기능 : 언어 수행에 필요한 매체로서 언어에 출실한 기능을 말한다.

- 국어의 아버지는 영어의 ‘father'에 해당한다.

선친’(先親)이란 말은 돌아가신 자기의 아버지를 가리키는 말이다.

 

* 의사 소통 기능 : 표현 + 정보 기능

* 특정 목적 기능 : 친교, 미적, 지령 기능

--- 오그덴(C.K. Ogden) & 리차즈(I.A. Richards) <언어기능>


언어의 일반성(一般性)

 

“A Language is a system of arbitrary vocal symbols by which members of a social groups co-operate and interact."

(언어란 하나의 사회집단 구성원들이 서로 협동하고 상호작용하는 자의적 음성기호의 체계이.)

 

 일반성

(1) 기호성, 체계성 : 음성과 의미가 결합된 기호 체계로서, 어떤 의미를 청각, 시각 기호로 상징하여 나타낸다.

 

1.1 “인간은 상징적 동물(animal symbolicum)로 정의해야 한다.”

1.2 사인(sign)은 행동의 기초, 또는 행동을 명령하는 수단,

1.3 심볼(symbol)은 사고의 도구이다.

1.4 언어기호의 3대 본질적 특성

1.4.1 분리적 기호의 유한집합(a finite of set discrete signs) : 단어와 같은 여러 단위가 일정한 규칙하에 집합하여 연결될 수 있음

1.4.2 기호의 지시적 기능(referential function of the sign) : 언어가 객관적 사물, 사실 과 대응해서 지시 또는 대신하는 기능

1.4.3 기호체계의 임의성( arbitrariness of the sign system) : 언어와 사상이나 사물,  실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규약으로서 협약성이 있는 것이지, 필연성이 있는 것은 아니다.

 

(2) 사회성(社會性) : 언어는 사회 계약물이므로 함부로 바꾸지 못한다.

 

(3) 역사성(歷史性) : 언어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한다.

 

(4) 자의성(姿意性) : 언어 형식(음성)과 내용(의미)의 결합은 자의적(arbitrary), 임의적 결합 이다.

 

(5) 음성성 : 언어는 사람의 발음 기관을 통해 표현되는 음성 기호로서 동물이나 자연계의 < 음향(音響)>과는 달리 자음과 모음으로 나뉜다. 이를 시니피앙(signifiant),  <음성(音聲)> 라 한다.

 

* 의미(意味) 시니피에(signifie)’라고 한다.

 

(6) 분절성(分節性)

6.1 기호의 분절 : 단어와 어절, 문장은 소리의 연속이나 자음과 모음으로 나눌 수 있다.

6.2 개념의 분절 - 연속적인 사물(事物)을 불연속적인 것으로 나누어 표현한다.

󰃚 무지개 색깔  7가지로 표현함

 - 손톱, 손가락, 손등, 마디 등

얼굴 - 이마, , 눈썹, 코 등

6.3 개방성(開放性) - 언어를 통해 생각과 감정을 무엇이든 자유롭게 표현 가능함.

 

 유연성(有緣性) : 음성과 의미의 결합이 각 언어 사회마다 비슷비슷하게 결합하는 성질로 (특히, 의성어와 의태어) 자의적인 언어의 성질과 다소 상반되나 언어의 본질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의견이 대부분이다.

 

한국어 영 어 불 어
꼬끼오 cock-a-doodle-doo cocorico[kɔkɔriko]
야옹 meow(mew) miaou[mʲau]
- moo meuh[mØ]
멍멍 bowwow ouâ-ouâ[wƏ-wƏ]

* cackle : 꼬꼬댁, 꽥꽥(암탉, 거위 등), 쓸데없는 잡담


언어의 체계(體系)와 구조(構造)

 

(1) 체계 : 언어 기호들은 일정한 규칙에 의해 배열되어 일정한 체계성을 지닌다. 음운 체계, 어휘 체계, 문법 체계 등이 그것이다.

1.1 구성 요소가 일정한 관계로 상호 연결

1.2 체계를 이루는 각 항목은 긴밀히 연관

1.3 체계 가운데 어느 하나가 변화를 입으면 체계 전체가 영향을 받음

1.4 언어 사용자가 체계 구성 항목 중 어느 하나를 골라 쓰는 것을 <선택>이라 하는데 체 계는 선택 가능한 항목의 집합이다.

* 종류 :

 개방적 체계 - 선택 가능항이 무한하거나 매우 많음

 폐쇄적 체계 - 선택 가능항이 제한적이거나 적음

 

(2) 구조 : 작은 구조(구성 요소)가 모여 큰 구조가 되는 계층적 구조로서, 음운 < 형태소 < 단어 < 어절 < 문장 < 이야기 등으로 구조를 이룬다.

2.1 체계는 <선택 관계>로 개념을 파악하는 반면, 구조는 통합 관계로 파악한다.

2.2 통합 관계 : 하위의 구성 요소가 모여 상위의 구조를 만들 때, 하위의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말한다.

 

언어 습득, 언어능력과 언어수행

 

(1) 언어 습득 : 인간의 근본 특성 중의 하나이며 어른들의 말을 흉내내어 반복 연습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천부적(天賦的)으로 가지고 태어나는 능력에 의해 가능하다.

1.1 인간만이 언어를 배울 수 있다.

* [실험]침팬지를 인간의 어린이와 같은 환경에서 길렀는데, 어린이만 언어 학습에 진전을 보인 것은 다른 지적(知的) 능력과 언어 습득과는 상관이 없다는 것을 알수 있다.

 

1.2 심한 정신장애가 있거나 인간 사회로부터 완전히 고립된 상태가 아니고는, 모든 어린이 가 일정한 나이가 되면 예외없이 언어를 통달하게 된다. 이는 <균일성>을 말하는 것으로, 육체적 조건, 종족(種族) 여하를 막론하고 동일하다.

 

1.3 어린이의 언어 학습은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진다.

* 언어 학습 자료로서 주위로부터 듣는 언어 표현은 불완전한 것과 틀린 것이 많으며, 외국 어 학습 교재처럼 선정, 정리된 것이 아닌데도 통달 정도에 차이가 없다.

 

1.4 언어는 극히 추상적이고 복잡한 것인데도 단기간 내에 습득한다.

 

언어 습득의 두 가지 관점 ---  <헤르더(Herder)>

 

 경험주의(행동주의)적 관점

선천적인 능력이 아니라 후천적인 경험에 의해 백지상태에서 출발하여 반복 연습과 시 행 착오와 그 교정을 거쳐 언어라는 습관을 형성한다.  <자극-반응-강화-습득>의 과정 으로 보는 관점이다.

 

 합리주의적 관점

4-5세가 되면 어린이는 말을 하게 되는데, 들어 보지도 못한 문장을 구사한다는 것은 태어날 때부터 천부적이며, 생득적(生得的)인 모종의 언어 습득 장치를 가지고 태어난다고 보는 관점이다. 이 입장은 특수한 언어 습득 능력과 일반 언어 구조에 대한 선험적(先驗的) 인 지식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본다.

 

이 이론에 따른 언어 습득 과정은 다음과 같다.

 문법적인 가설 설정 - 개별 언어(모국어)를 통해 어떤 표현을 시도, 이해하는 과정

 타당성 있는 가설 수립 - 경험의 증가에 따라 수정, 폐기

 규칙 체계 형성 - 모국어 이해

 

(2) 언어 능력(言語能力, lingustic competence)과 언어 수행(言語遂行, lingustic performance)

언어학자의 목표는 다른 곳에 있는 것이 아니라 추상적인 우리의 잠재 언어지식을 밝혀 내 는 데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우리의 언어 능력은 우리의 실언어생활, 즉 언어 수행과 구별된다. 언어 능력과 언어 수행은 종종 교향곡(交響曲)의 악보와 실제 연주와 비교된.

 

교향곡의 악보는 연주자들의 행동의 기본이 되는 것으로서, 연주가 잘 되거나 못 되거나에 관계없이 교향곡의 악보 자체는 그대로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언어 능력은 언어 수행의 기 본이 되는 추상적 개념이며, 우리는 이것을 기반으로 해서 우리말의 무한한 문장을 생성하고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능력은 모어 화자로 하여금 그 구조에 대한 직관적 지시에 의해 통사, 의미,  운론적으로 적격, 부적격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나아가 주어진 문장이 사회 문화적 상황이나 문맥에 적합한 문장인가 아닌가를 판가름할 수 있게 한다. 통사, 의미, 음운론적인 적격성이나 구조에 대한 직관적인 지식을 문법적인 능력이라 하며, 상황 또는 사실이나 믿음에 대한 지식 을 화용적(話用的) 지식이라고 한다.

 

  언어 기호 언어 활동
소쉬르 랑그(langue) 빠롤(parole)
노암 촘스키 언어 능력 언어 수행

 선천적인 언어능력과 언어교육의 필요성

모든 모어화자의 보편적인 언어능력으로 보면, 언어교육은 필요가 없는 것같이 생각될 것이 ,  습득과정에서 잘못을 교정하는 일,  모어화자의 말의 유창(流暢) 정도와 솜씨를 높이 는 일,  모어 화자가 얻은 기술과 지식의 범위를 넓히는 일,  그 언어의 한 변종인 표준어 를 익히는 일 등은 그 모어 화자 자신의 힘으로만 자연히 이루어질 성질이 못된다. 이 점이 바 로 모어화자에게 언어교육이 필요한 요인이다.

 

 언어 기호와 언어 활동의 차이

 

 언어 기호

1.1 누구나가 그렇게 사용하도록 약속되어 있는 언어 형식

1.2 심리적, 초개인적임

1.3 언어의 체계 및 구조와 관련

1.4 지시 대상이 확인되는 경우로서, 주로 단어들이 이에 해당

 

 언어 활동

2.1 음성이나 문자로 실현된 언어

2.2 물리적, 개인적임

2.3 언어의 기능과 관련

2.4 지시 대상을 찾기 어렵고 표현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음. 실제로 사용된 문장이나 이야기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