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운전(蘇雲傳)
by 송화은율소운전(蘇雲傳)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일명 ‘ 소운전(簫雲傳) ’ · ‘ 소학사전 ( 蘇學士傳 ) ’ 이라고도 한다. 〈 월봉산기 月峰山記 〉 · 〈 월봉기 月峰記 〉 등의 작품과도 같은 계열이다. 신소설기에 출간된 〈 봉황금 鳳凰琴 〉 도 같은 작품이다.
필사본 및 활판본으로 많은 이본이 있는데, 중요한 몇 본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① 〈 소윤전 〉 : 2책. 국문필사본.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② 〈 소운젼 〉 : 1책. 국문 필사본. 낙질본. ‘ 규중문어(閨中門語) ’ 라는 별칭이 기재되어 있으며, 무신(戊申) 정월이라는 필사일이 표제에 쓰여 있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 있다. ③ 〈 소운뎐 〉 : 활자본. 1918년 보성사 ( 普成社 )에서 간행한 것으로 75면이다. 활자본을 중심으로 작품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탁주 구계촌에서 생장한 소운은 과거에 급제한 뒤 남쪽 변방고을인 남계현 현령직을 제수받고, 어머니 장씨와 아우 소우와 작별하고 부인 정씨와 함께 임지로 향한다. 가는 도중 서룡이라는 도적의 배에 속아 탔다가 황천탄이라는 무인도에서 서룡에 의해 소운은 대해 속에 던져지고, 부인은 감금된다.
소운은 널빤지에 의지하여 표류하다가 후주 땅 도곤에게 구출되었으나, 다리에 병을 얻어 고향을 찾지 못하고 도곤의 집에서 학동을 가르치며 세월을 보낸다. 한편, 부인 정씨는 서룡의 아우 서봉의 도움으로 서룡의 마수에서 벗어나고, 여승의 구원을 받아 산사에 의탁한다.
이 때 부인은 만삭이었는데, 산사에서 해복을 하여 옥동자를 낳는다. 부인은 여승들만 거처하는 산사에서 아이를 기르기 곤란함을 알고 나삼에 아이의 생년일시를 적고 지환과 함께 아이를 싸서 길에 버린다.
때마침 부인의 종적을 탐지하던 서룡이 아이를 주워다가 서계조라고 이름을 짓고, 자기 아들로 삼아 양육한다. 서계조가 자라 18세 때 과거를 보려고 황성으로 오다가 탁주 구계촌 소지현의 집에 들러 장씨 노파로부터 극진한 대우를 받고 아들을 찾아달라는 청탁을 받는다.
서계조는 과거에 급제하여 순무어사가 된 다음, 자신의 출생에 비밀이 있음을 알고 자기를 기른 조덕삼을 문초하여 자기가 서룡의 친아들이 아님을 확인한다. 또한 도어사 앞으로 제출한 어머니 정씨의 원정서를 보고 나삼과 단금을 증거로 소운의 아들임을 알게 된다.
서계조는 성명을 소태로 고치고 주점에서 소운을 만나 이야기 끝에 아버지임을 확인한 다음, 월봉산 산사에 은거한 어머니 정씨를 찾아낸다. 또 서룡 일당을 잡아 부모의 원수를 갚고 귀환하여 할머니 장씨와 일가 단란하였다.
소태는 과거급제 직후 왕상서의 딸과 정혼한 바 있었는데, 다시 공주와 혼사가 이루어져서 한 번에 두 부인과 성례한다.
또한, 어사로 순행할 때 물에 빠진 정소저를 구출해주었는데, 후일 정소저가 구혼함으로써 셋째부인으로 맞이한다. 정소저는 뒤에 소태의 위급한 병에 다리의 살을 베어 치료하는 절행을 행한다.
이 작품은 중국 명대(明代)의 소설 〈 소지현나삼재합 蘇知縣羅衫再合 〉 을 번안한 작품이다. 소운 · 소우 · 장씨 · 정씨 등 등장인물의 이름은 일치되나 서룡 · 서봉 · 도곤 등은 변개되었다. 또 세부적 사건이나 작품의 정조(情調)는 한국적으로 개작되어 있다.
〈 소학사전 〉 은 〈 소운전 〉 보다도 훨씬 개작의 폭이 넓어 〈 소운전 〉 이 번안된 뒤 다시 개작된 작품이다. 〈 봉황금 〉 역시 후대에 개작된 작품이다. 〈 월봉산기 〉 는 작품 후반부에 소태의 셋째부인으로 들어온 정씨의 절행을 확대 부연하고 있으나, 전반부는 〈 소운전 〉 과 일치한다.
특히 〈 소학사전 〉 은 소태를 영웅으로 부각시키고 군담을 첨가하고 있어 조선조 군담소설 ( 軍談小說 )의 작품으로 번안한 것이라 볼 수 있다. 〈 봉황금 〉 은 사건 서술에 회상 수법을 사용하여 현대소설적 기법을 과감하게 도입하였다.
여인의 고난상을 부각시키고 비환이합(悲歡離合)을 주된 정조로 했다는 점에서 신소설식으로 번안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 나손문고(舊 金東旭 소장본)에 있다.
≪ 참고문헌 ≫ 李朝小說의 比較文學的 硏究(李明九, 大東文化硏究 5, 成均館大學校大東文化硏究院, 1968), 蘇知縣羅衫再合系 飜案小說硏究(徐大錫, 東西文化 5, 啓明大學校東西文化硏究所, 1972).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