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소설사전 / 김약국의 딸들 / 박경리 장편소설

by 송화은율
반응형

한실댁은 자손 귀한 집에 와서 아들 못 낳는 것을 철천지한(徹天之恨)으로 삼고 있었다. 남편 보기 부끄럽고 남 보기가 부끄러웠다. 그는 작은 댁이라도 얻어서 자손을 보는 것이 어떻겠느냐고 은근히 영감에게 비춰 봤으나 김약국은 가타부타 말이 없었다.

 

그러나 한실댁은 그 많은 딸들을 하늘만 같이 생각하고 있었다. 그는 딸을 기를 때 큰딸 용숙은 샘이 많고 만사가 칠칠하여 대갓집 맏며느리가 될 거라고 했다. 둘째 딸 용빈은 영민(英敏)하고 훤칠하여 뉘 집 아들자식과 바꿀까 보냐 싶었다. 셋째 딸 용란은 옷고름 한짝 달아 입지 못하는 말괄량이이지만 달나라 항아같이 어여쁘니 으레 남들이 다 시중들 것이요, 남편 사랑을 독차지하리라 생각하였다. 넷째 딸 용옥은 딸 중에서 제일 인물이 떨어지지만 손끝이 야물고, 말이 적고 심정이 고와서 없는 살림이라도 알뜰히 꾸며 나갈 것이니 걱정없다고 했다. 막내둥이 용혜는 어리광꾼이요, 엄마 옆이 아니면 잠을 못 잔다. 그러나 연한 배같이 상냥하고 귀염성스러워 어느 집 막내며느리가 되어 호강을 할 거라는 것이다. 용숙이 과부됨으로써 한실댁의 첫꿈은 부서졌다.

* 배경 : 1864년부터 - 1930년대에 이르는 시기, 경남 통영

* 경향 : 사실주의 소설로 가족사 소설

* 배경사상 : 샤머니즘, 운명론, 신비사상

* 시점 : 전지적 작가

 

* 등장인물

· 김봉제 : 선비 성품의 소유자. 김약국 경영. 사냥터에서 독사에게 물려 사망한 뒤 성수가 약 국을 이어받는다.

· 김봉룡 : 김봉제의 동생 : 충동적이고 격정적 성격의 소유자, 아내(숙정)이 시집 오기전 그녀 를 사모했던 송욱이 찾아오자 극단적으로 시기하여 그를 죽인다. 그후 숙정의 집안 식구의 보 복을 피해 탈가하여 자취를 감춘다.

· 봉룡의 처(숙정) : 남편의 송욱 살인을 계기로 간부를 두었다는 의심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 살한다.

· 김성수(김약국) : 봉룡이 떠나면서 삼촌 봉제에게 맡겨진 성수는 봉제 아내(송씨)에 의해 성 장하지만 죽은 동서에게 항상 열등감을 지녔던 송씨는 그 화살을 성수에게 돌려 심리적으로 괴롭힘으로써 그는 불행하게 성장한다. 이로 인한 정신적 충격으로 현실에 대한 집착도, 저항 도 않는 정적인 인물로 변한다. 김약국을 이어받고 난 뒤 딸 다섯을 두지만 전혀 지식이 없는 어장사업에 손을 댐으로써 가산이 조금씩 기운다. 계속되는 딸들의 불행과 집안의 몰락으로 인한 충격과 위암으로 죽는다.

· 한실댁 : 김성수의 처

· 장녀(김용숙) : 일찍 과부가 되었는데 아들 동훈을 치료하던 의사와 불륜 관계로 사회적 지 탄을 받는다. 바다에서 죽는다.

· 차녀(김용빈) : 교육을 받아 교원이 되나 애인(홍섭)으로부터 배신을 당한다. 비교적 집안의 비극적 결말과 거리가 멀다.

· 삼녀(김용란) : 관능적 미모를 갖추었으나 지적인 헤아림이 부족해 머슴과 놀아나는 바람에 지탄을 받는다. 후에 다시 나타난 머슴의 아들(한돌)과 함께 있다가 남편(연학)에게 발견되어 한돌과 어머니 한실댁이 연학에 의해 살해당한다. 이에 용란은 정신이상자가 된다.

· 사녀(김용옥) : 애정이 없는 남편 기두와 별거하다가 뱃길에서 죽음을 맞게 된다.

· 막내(김용혜) : 아버지의 죽음 후 용빈과 함께 통영을 떠나면서 작품은 끝이난다.

 

* 주제 : 한 집안의 욕망(慾望)과 운명(運命)에 의한 비극적 몰락

* 출전 : 1962년 을유문화사 단행본 발간, 1993년 재간행

 

󰃚 [97 수능시험]

 

35. ㉠~㉤중 중구 영감의 성격이 드러나 있지 않은 것은? ❷ (1.6점)

① ㉠ 마누라가 밥을 지으면 영감은 장작을 패고, 생선 한 마리라도 맛나게 보글보글 지져서 머리 맞대고 의좋게 먹는다.

❷ ㉡ 그러나 아들 형제를 가르치는 데 있어서 아무리 밤잠을 못 자고 일을 하여도 역시 김약 국이 알게 모르게 주는 도움에 힘입은 바가 크다.

③ ㉢ 중구 영감은 이를테면 예술가 기질 혹은 명장(明匠)의 기질이 농후한 사람이었다.

④ ㉣ 거기다가 마음에 내키지 않는 일은 결코 하지 않는다.

⑤ ㉤ 부탁하는 사람이 이래저래 해 달라고 요구를 하는 일이 있지만 그 말에 따라 일하는 법 도 없고 언제나 자기 마음대로 하기 마련이다.

36. ⓐ‘의장(意匠)’의 뜻으로 바른 것은? ❷ (1.8점)

① 공예품에 깃든 장인(匠人) 정신

❷ 공예품의 외적 모양이나 색채

③ 공예품에 달린 장식

④ 공예품을 만드는 솜씨

⑤ 공예품의 예술성

37. 이야기의 흐름으로 볼 때, ⓑ에 나타난 중구 영감의 진의(眞意)는? ❹ (1.8점)

① 일을 빠른 시일 내에 해 낼 수 없다.

② 김 약국에 대해 관심을 나타낸다.

③ 김 약국의 근황이 궁금하다.

❹ 용숙의 부탁을 무시한다.

⑤ 용숙을 믿을 수 없다.

38. 윗글의 내용을 바탕으로 상상해 낸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❸ (2점)

① 외가에서 도움을 받을 때 중구 영감이 불편해 하는 모습

② 정윤이 대구 의전을 다닐 때 김 약국이 도움을 주는 장면

❸ 중구 영감이 자개장을 시장에 가지고 나가 흥정하는 모습

④ 중구 영감이 일방에서 성실하고 꼼꼼하게 소목일을 하는 모습

⑤ 중구 영감이 소목일을 배우기로 작정하고 목수를 찾아가는 장면

39. 윗글에 대한 감상을 심화 발전시킨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❶ (2점)

❶ “나는 중구 영감과 정국주 마누라 사이의 갈등이 빈부 격차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우리 사 회의 경제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이 문제를 더 연구해 보겠다.”

② “나는 한실댁을 통해 여성 문제에 대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었다. 낡은 관습으로 인해 여성 이 받는 불이익은 없을까 하는 문제를 더 깊이 생각해 보겠다.”

③ “나는 특히 대화 부분을 읽으면서 생동감을 느낄 수 있었다. 문학 작품에서 방언을 사용하 는 효과가 무엇일까 하는 점에 대해 더 깊이 생각해 보겠다.”

④ “나는 중구 영감이 지닌 전문성과 자부심에 주목했다. 자부심을 가지고 전문적인 일을 하는 사람들이 사회에서 제대로 대접을 받고 있는가 하는 점을 더 생각해 보겠다.”

⑤ “나는 선비의 자손들이 소목일을 남 몰래 했다는 부분에 주목했다. 신분 질서가 붕괴되고 체면이 유지되기 어려운 상황에서 생활 방식은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확인해 보겠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